$\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시지 프레이밍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Effects of Message Framing o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and Product Typ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8, 2010년, pp.177 - 185  

김성재 (경북전문대학 영상미디어학과) ,  유명길 (신라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시지 프레이밍의 설득효과는 마케팅과 광고 분야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된 연구주제의 하나이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시지 프레이밍 표현방식이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조절초점과 제품유형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실증분석 결과, 메시지 프레이밍 표현방식에서 부정적 메시지의 광고효과가 긍정적 메시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표현방식이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have been major research themes in marketing and advertising field and several studies on these effects have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rect effects of message framing on the ad and brand attitud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g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 표현방식이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초점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동안 메시지 프레이밍의 설득효과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조절초점과 제품유형을 조절변인으로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었음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시의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상술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메시지 프레이밍(긍정/부정)이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초점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림 1]은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이다.
  • 더욱이 소비자들의 성향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향상초점 소비자와 부정적인 결과를 더욱 중요시하는 방어초점 소비자들로 분류될 수 있다는 점은 조절초점이 메시지 프레이밍의 광고효과에 매우 중요한 조절변인이 될 수 있다는 예측을 가능케 한다[8].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메시지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프레이밍 된 광고에 있어 그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와 조절변인으로서 소비자 조절초점과 제품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1: 부정적으로 프레이밍 된 메시지의 광고태도는 긍정적으로 프레이밍 된 메시지의 광보태도보다 높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2: 부정적으로 프레이밍 된 메시지는 긍정적인 것에 비해 브랜드 태도가 더욱 높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3: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에 따른 광고태도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4: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에 따른 브랜드 태도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5: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에 따른 광고태도는 제품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6: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에 따른 브랜드 태도는 제품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 표현방식이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품유형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 본 연구의 모형에서 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 표현방식이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조절초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조절초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절초점 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동기체계는 향상초점과 방어초점으로 구분 될 수 있는데 그 중 향상초점은 무엇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나요? 조절초점 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동기체계는 향상초점과 방어초점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두 유형은 서로 대조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13]. 그중, 향상초점은 이상, 동경, 희망 등의 욕구와 관련되고, 방어초점은 당위, 의무, 책임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향상초점 소비자들은 진보나 성취와 같은 목표를 추구하며, 특히 이득과 기회 등의 긍정적인 결과에 민감한 성향을 보이게 된다.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를 지지하는 이론적 근거는 무엇인가요?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를 지지하는 이론적 근거는 프로스펙트 이론이다. 프로스펙트 이론에 의하면 소비자들은 그 어떤 위험이 내포된 행동을 채택하도록 권고하는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그 행동을 채택함으로써 얻게 될 이익과 손실의 관점에서 메시지를 처리하게 된다고 본다.
방어 초점 소비자들은 무엇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나요?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향상초점 소비자들은 진보나 성취와 같은 목표를 추구하며, 특히 이득과 기회 등의 긍정적인 결과에 민감한 성향을 보이게 된다. 반면, 방어 초점 소비자들은 자신을 보호하고 안전을 유지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실수와 손실을 예방하고자 하며, 부정적인 결과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차별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조절초점은 소비자 행동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재휘, 신진석, “공해방지 광고의 프레이밍 효과: 환경에 대한 주의각성과 행위정보 제공의 매개적 영향,” 광고연구, 제49권, 55-75, 2004. 

  2. 김재휘, 전진안, “목표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정도에 따른 메시지 프레이밍의 설득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0권, 제3호, 419-435, 2009. 

  3. 이경렬, 최민욱, 허정무,“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선유경향과 자아감시 수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추계학술대회, 47-55, 2006. 

  4. 이유재, 이지영,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감정, 브랜드 로열티의 관계에 관한 연구-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 간의 비교,” 광고연구, 제65권, 101-125, 2004. 

  5. 조형오, 김병희, “비만예방 광고의 메시지 유형별 설득효과 차이분석,” 광고학연구, 제11권 제4호, 165-185, 2000. 

  6. 허종호, “옵션 프레이밍 효과에 대한 옵션 유형과 조절적 동기의 조절적 역할,” 마케팅연구, 제22 권, 제1호, 141-159, 2007. 

  7. A. Y. Lee and J. L. Aaker, "Bringing the Frame into Focus: The Influence of Regulatory Fit on Processing Fluency and Pers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6(February), 205-218, 2004. 

  8. B. E. Meyerowitz and C. Shelly,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Breast Self-Examination Attitudes, Intentions, and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3), 500-510, 1987. 

  9. Cobb-Walgren, J. Cathy and A. Cynthia Ruble, "Naveen Donthu, Brand Equity,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 Journal of Advertising, Vol.24(3), 25-40, 1995. 

  10. C. K. DeDreu, J. Lualhati and C. McCusker, "Effects of Gain-Loss Frames on Satisfaction with Self-other Outcome Difference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24, 497-510, 1994. 

  11. D. Grace and A. O'Cass, "Attributions of Service Switching: A Study of Consumers' and Providers' Perceptions of Child-care Service Delivery,"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Vol.15(4), 300-321, 2001. 

  12. E. T. Higgins, "Beyond Pleasure and Pain," American Psychologist, Vol.52(December), 1280-1300, 1997. 

  13. G. E. Smith, "Framing in Advertising and the Moderating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36(5), 49-64, 1996. 

  14. J. Anderoni, "Cooperation in Public-Goods Experiments: Kindness or Confus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5, 891-904, 1995. 

  15. Kees Jeremy, B. Scot and H. T. Andrea,"The Impact of Regulatory Focus, Temporal Orientation, and Fit on Consumer Responses to Health-Related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Vol. 39(1), 19-34, 2010. 

  16. L. G. Block and P. A. Keller, "When to Accentuate the Negative: The Effects of Perceived Efficacy and Message Framing on Intentions to Perform a Health-Related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2(2), 192-203, 1995. 

  17. M. A. Gerend and J. E. Shepherd, "Using Message Framing to Promote Acceptance of the Human Papillomavirus," Health Psychology, Vol. 26(6), 745-752, 2007. 

  18. M. B. Holbrood and E. C. Hirchman, "The Experiential Aspect of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5(Sep), 132-140, 1982. 

  19. N. Liberman, L. C. Idson, C. J. Camacho and E. T. Higgins, "Promotion and Prevention Choices between St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7(6), 1135-1145, 1999. 

  20. Y. Gnazach and N. Karsahi, "Message Framing and Buying Behavior: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32, 11-17,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