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세포의 텔로미어 함량을 이용한 소의 연령예측
Cattle Age Prediction by Leukocytes Telomere Quantification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5, 2010년, pp.367 - 374  

최나은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김현섭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최창용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전광주 (한경대학교 생명공학과) ,  손시환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텔로미어란 진핵세포의 염색체 양 말단에 있는 DNA-단백질 복합체로서, 특정단백질과 TTAGGG의 반복염기서열로 구성되어있다. 이들의 기능은 핵 내 염색체의 안정성에 본질적으로 작용함으로 세포의 노화와 직접적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의 간기상태의 백혈구 세포를 대상으로 연령별, 품종별, 성별간 telomeric DNA 함량을 분석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텔로미어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한, 텔로미어 함량을 이용한 개체의 연령예측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의 텔로미어의 함량 분석은 1개월령에서 166개월령의 한우 및 홀스타인종 460두를 대상으로 telomeric DNA probe를 이용한 Q-FISH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에 있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telomeric DNA 함유율이 일관되게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소의 품종간 telomeric DNA 함유율을 비교한 결과 한우의 telomeric DNA 함량이 홀스타인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간에도 수컷이 암컷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telomeric DNA 함유율을 나타내어 품종별, 성별 모두 텔로미어 함유율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확인 할 수 있었다(P<0.01). 따라서 요인별 유의적 차이가 있음으로 한우 암컷 및 홀스타인 암컷에 대한 각기 연령예측 회귀함수를 추정하였다. Telomeric DNA 함량을 독립변수(X)로 하고, 연(월)령을 종속변수(Y)로 설정하여 2차회귀식을 도출한 바 한우 암컷의 경우 $\hat{Y}$=$38.102X^2$-220.103X+318.309(P<0.0001, $R^2$=0.8019)이고, 홀스타인 암컷은 $\hat{Y}$=$42.799X^2$-199.682X+242.106(P<0.0001, $R^2$=0.8379)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두 회귀식 모두 유의한 함수로 결정계수($R^2$) 또한 0.8 이상의 높은 상관 값을 보임에 따라 본 회귀식으로 소의 연령 예측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lomeres at the end of chromosomes consist of tandem repeats of (TTAGGG)n DNA sequence and associated proteins. Telomeres have the essential functions in chromosome stability and genome integrity and are hence related to cell senescence and canc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quantify the amount ...

주제어

참고문헌 (36)

  1. Brummendorf, T. H., Mak, J., Sabo, K. M., Baerlocher, G. M., Dietz, K., Abkowitz, J. L. and Lansdorp, P. M. 2002. Longitudinal studies of telomere length in feline blood cells: implications for hematopoietic stem cell turnover in vivo. Exp. Hematol. 30: 1147-1152. 

  2. Benetos, A., Okuda, K., Lajemi, M., Kimura, M., Thomas, F., Skurnick, J., Labat, C., Bean, K. and Aviv, A. 2001. Telomere length as an indicator of biological aging: the gender effect and reltion with pulse pressure and pulse wave velocity. Hypertension 37(2):381-385. 

  3. Blackburn, E. H. 1991. Structure and function of telomere. Nature 350:569-573. 

  4. Cherif, H., Tarry, J. L., Ozanne, S. E. and Hales, C. N. 2003. Ageing and telomeres: a study into organ- and gender-specific telomere shortening. Nucleic Acids Res. 31(5):1576-1583. 

  5. Epel, E. S., Blackburn, E. H., Lin, J., Dhabhar, F. S., Adler, N. E., Morrow, J. D. and Cawthon, R. M. 2004. Accelerated telomere shortening in response to life stress. Proc. Natl. Acad. Sci. USA 101(49): 17312-17315. 

  6. Faragher, R. G. and Kipling, D. 1998. How might replicative senescence contribute to human ageing? Bioessays 20:985-991. 

  7. Frenck, R. W. Jr., Blackburn, E. H. and Shannon, K. M. 1998. The rate of telomere sequence loss in human leukocytes varies with age. Proc. Natl. Acad. Sci. USA 95(10):5607-5610. 

  8. Greider, C. W. and Blackburn, E. H. 1985. Identification of a specific telomere terminal transferase activity in Tetrahymena extracts. Cell 43:405-413. 

  9. Hall, M. E., Nasir, L., Daunt, F., Gault, E. A., Croxall, J. P., Wanless, S. and Monaghan, P. 2004. Telomere loss in relation to age and early environment in long-lived birds. Proc. Biol. Sci. 271:1571-1576. 

  10. Harley, C. B. 1991. Telomere loss: mitotic clock or genetic time bomb? Mutat. Res. 256:271-282. 

  11. Hewakapuge, S., van Oorschot, R. A., Lewandowski, P. and Baindur-Hudson, S. 2008. Investigation of telomere lengths measurement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to predict age. Leg Med. 10(5):236-242. 

  12. Hunt, S. C., Chen, W., Gardner, J. P., Kimura, M., Srinivasan, S. R., Eckfeldt, J. H., Berenson, G. S. and Aviv, A. 2008. Leukocyte telomeres are longer in African Americans than in whites: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family heart study and the Bogalusa heart study. Aging Cell 7(4):451-458. 

  13. Kotrschal, A., Ilmonen, P. and Penn, D. J. 2007. Stress impacts telomere dynamics. Biol. Lett. 3:128-130. 

  14. Londond-Vallejo, J. A., DerSarkissian, H., Cazes, L. and Thomas, G. 2001. Differences in telomere length between homologous chromosomes in human. Nucleic Acids Res. 29:3164-3171. 

  15. Metcalfe, N. B. and Monaghan, P. 2001. Compensation for a bad start: grow now, pay later? Trends Ecol. Evol. 16:254-260. 

  16. Miyashita, N., Shiga, K., Yonai, M., Kaneyama, K., Kobayashi, S., Kojima, T., Goto, Y., Kishi, M., Aso, H., Suzuki, T., Sakagudhi, M. and Nagai, T. 2002. Remakable differences in telomere lenghts among cloned cattle derived from different cell types. Biol. Reprod. 66:1649-1655. 

  17. Monaghan, P. and Haussmann, M. F. 2006. Do telomere dynamics link lifestyle and lifespan? Trends Ecol Evol. 21(1):47-53. 

  18. Monaghan, P. 2008. Early growth conditions, phenotyp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hange.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3:1635-1645. 

  19. Nakamura, K., Takubo, K., Izumiyama-Shimomura, N., Sawabe, M., Arai, T., Kishimoto, H., Fujiwara, M., Kato, M., Oshimura, M., Ishii, A. and Ishikawa, N. 2007. Telomeric DNA length in cerebral gray and white matter is associated with longevity in individuals aged 70 years or older. Exp. Gerontol. 42:944-950. 

  20. Okuda, K., Bardeguez, A., Gardner, J. P., Rodriguez, P., Ganesh, V., Kimura, M., Skurnick, J., Awad, G. and Aviv, A. 2002. Telomere length in the newborrn. Pediatr. Res. 52:377-381. 

  21. Pauliny, A., Wagner, R. H., Augustin, J., Szep, T. and Blomqvist, D. 2006. Age-independent telomere length predicts fitness in two bird species. Mol. Ecol. 15:1681-1687. 

  22. Perner, S., Bruderlein, S., Hasel, C., Waibel, I., Holdenried, A., Ciloglu, N., Chopurian, H., Nielsen, K. V,, Plesch, A., Hogel, J. and Moller, P. 2003. Quantifying quantitative telomere lengths of human individual chromosome arms by centromere-calibrate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and digital imaging. Am. J. Path. 163:1751-1756. 

  23. Ren, F., Li, C., Xi, H., Wen, Y. and Huang, K. 2009. Estimation of human age according to telomere shortening in peripheral blood leukocytes of Tibetan. Am. J. Forensic Med. Pathol. 30(3): 252-255. 

  24. Rollo, C. D. 2002. Growth negatively impacts the life span of mammals. Evol. Dev. 4:55-61. 

  25. Roux, A. V., Ranjit, N., Jenny, N. S., Shea, S., Cushman, M., Fitzpatrick, A. and Seeman, T. 2009. Race/ethnicity and telomere length in the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Aging Cell 8(3):251-257. 

  26. Shay, J. W. 1999. At the end of the millennium, a view of the end. Science 288:1377-1379. 

  27. von Zglinicki, T. 2000. Role of oxidative stress in telomere length regulation and replicative senescence. Ann. N. Y. Acad. Sci. 908:99-110. 

  28. Wright, W. E., Tesmer, V. M., Huffman, K. E., Levene, S. D. and Shay, J. W. 1997. Normal human chromosomes have long G-rich telomeric overhangs at one end. Gen. Dev. 11:2801-2809. 

  29. Zakian, V. A. 1995. Telomeres: beginning to understand the end. Science 270:1601-1607. 

  30. Zannolli, R., Mohn, A., Buoni, S., Pietrobelli, A., Messina, M., Chiarelli, F. and Miracco, C. 2008. Telomere length and obesity. Acta. Paediatr. 97(7):952-954. 

  31. Zeichner, S. L., Palumbo, P., Feng, Y., Xiao, X., Gee, D., Sleasman, J., Goodenow, M., Biggar, R. and Dimitrov, D. 1999. Rapid telomere shortening in children. Blood 93:2824-2830. 

  32. 김영주, 박지애, 이수희, 박원철, 손시환. 2007. 닭의 품종별, 성별 및 연령 별 각 조직의 텔로미어 함량 분석. 2007. 한국동물자원과학회 학술발표회 Proceedings Vol. II:64 . 

  33. 손시환, 정현진, 최덕순. 2008. 양적형광접합보인법 (Q-FISH)에 의한 돼지 백혈구 세포의 텔로미어 함량 분석.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0(4): 465-474. 

  34. 손시환, Multani, A. S., Pathak, S. 2004. 소, 돼지 염색체의 telomeric DNA 분포양상.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6(4):547-554. 

  35. 정길선, 조은정, 최덕순, 이민정, 박철, 전익수, 손시환. 2006. 한국재래닭의 주령별 각 조직의 텔로미어 양적분포 양상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분석. 한국가금학회지. 33(2):97-103. 

  36. 최덕순, 조창연, 손시환. 2008. 소의 생리적 특성에 따른 세포내 텔로미어 함량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분석.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0(4):445-4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