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운동신경전도검사
Electrophysiological Features of Diabetic Polyneuropathy: Motor Nerve Conduction Stud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0, 2010년, pp.237 - 245  

강지혁 (경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윤섭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경전도검사는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 및 당뇨병의 불현성 신경병증환자를 진단하기위한 중요한 검사이며 신경의 기능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 환자에서 보이는 전기생리학적 특징을 평가하기위하여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으로 진단된 120명과 정상대조군 77명의 운동신경전도검사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상지와 하지의 각 운동신경에서 정상기준치에 대해 비정상 값을 보인 비율의 특징을 신경전도속도, 말단잠복기, 복합근육활동전위의 진폭, No potential의 빈도, 전도차단의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은 상지에 비해 하지를 더욱 침범하는 전신성 탈수초성 말초다발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이 관찰되었고, 특히 비골신경에서 비정상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전도차단의 특징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신경전도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 하지의 비골신경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는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의 중요한 전기생리학적 소견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rve conduction studies (NCS) are the most objective measure of nerve function and essential for the diagnosis of sub-clinical neuropathy in diabetes mellitus and diabetic polyneuropathy (DPN). This study evaluates the characteristic of electrophysiological abnormalities in DPN. Electrodiagnostic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PN군과 대조군에 대한 신경전도검사상의 운동신경전도검사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당뇨병성 다발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을 살펴보 았다.
  • 본 연구에서는 혈액학적 검사 및 임상적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증상과 징후가 관찰되는 환자와 신경병증의 병력과 임상증상 및 징후가 없는 대조군에 대한 신경전도 검사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서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진단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대사성신경병증인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 환자의 운동신경전도검사상의 결과를 상지와 하지의 말초신경 및 parameter별로 구분하여 전기생리학적 특징을 단계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의 진단을 위한 지표설정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전도검사는 무엇인가? 이처럼 DPN은 감각신경 및 운동신경과 자율신경의 복합적인 비정상성을 보이며[5][6], 일반적으로 무증상의 당뇨환자군에서도 운동신경전도검사에서는 16~27%의 이상 소견을 보이는 반면, 감각신경전도검사에서는 36~48%의 비정상소견을 보인다고 한다[7]. 신경전도검사는 전기생리학적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신경의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의 초기의 당뇨병환자나 임상증상이 없는 불현성신경병증 환자(subclinical stage neuropathy)에서도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8][9]. 일반적으로 신경전도검사를 통해 나타난 DPN환자군의 전기생리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당뇨병성 다발신경병증과 관련하여 하지의 운동신경 중 쉽게 손상 받을 수 있고 가장 민감한 척도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상지와 하지의 모든 신경을 침범하는 전신성 다발신경병증으로 하지의 신경침범이 우세한 탈수초성신경병증에 가까운 특징적 소견이 관찰되었다. 하지의 운동신경 중에서는 특히 비골신경이 가장 민감한 척도이며, 또한 쉽게 손상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신경병증의 중등도는 당뇨병의 이환기간 및 혈당관리 등의 요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경전도검사를 통해 나타난 DPN환자군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다섯 가지는 무엇인가? ① 신경병증의 중등도와 신경전도검사상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비골신경의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복합근육활동전위의 진폭(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amplitude)과말단잠복기(distal latency)가 주로 침범된다[10]. ② 질환에 이환된 기간과 신경전도검사의 이상소견 간에 상관관계가 있으며, 당뇨의 시작으로부터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비골신경의 운동 신경전도 속도의 감소가 관찰된다. ③ 혈당의 조절이 잘된 환자군이 그렇지 못한 환자군에 비하여 신경전도검사상 비정상 소견이 감소한다. 비 골신경의 운동신경전도검사상 당의 조절이 잘되지 않은 군이 조절이 잘된 군에 비해 전도속도가 현저히 감소한다. ④ 당뇨의 경과에 따른 추이에서 신경전도검사상의 비 정상소견은 이미 조기에 발생하며, 신경병증의 소견은 신경섬유의 길이에 의존성을 보인다[6]. ⑤ DPN환자들을 대상으로 탈수초화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하여 분절성탈수초화의 특징인 전도차단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 당뇨병성 신경병증에서는 전도차단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여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탈수초화 보다는 축삭의 변성이 주로 일어남을 시사한바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 Noel, "Sensory nerve conduction in the upper limbs at various stages of diabetic neuropath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ol.36, No.5, pp.786-796, 1973. 

  2. R. J. Graf, J. B. Halter, and E. Halar, "Nerve conduction abnormalities in untreated maturity-onset diabetes: relation to levels of fasting plasma glucose and glycosylated hemoglobin," Ann Intern Med, Vol.90, No.3, pp.298-303, 1979. 

  3. E. Rota, R. Quadri, and E. Fanti,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of peripheral neuropathy in newly diagnosed type II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Vol.10, No.4, pp.348-353, 2005. 

  4. M. S. Liu, B. L. Hu, and L. Y. Cui, "Clinical and neurophysiological features of 700 patients with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Zhonghua Nei KeZa Zhi, Vol.44, No.3, pp.173-176, 2005. 

  5. S. Karsidag, S. Morali, and M. Sargin, "The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of subclinical neuropathy in patients with recently diagnosed type 1 diabetes mellitu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67, No.3, pp.211-219, 2005. 

  6. G. Said, "Diabetic neuropathy; a review," Nat Clin Pract Neurol, Vol.3, No.6, pp.331-340, 2007. 

  7. P. H. Hendriksen, P. L. Oey, and G. H. Wieneke, "Subclinical diabetic polyneuropathy; early detection of involvement of different nerve fibre type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ol.56, No.5, pp.509-514, 1993. 

  8. Z. Li, X. Hu, and N. Tang, "Significance of nueroelectrophysiological tests in the early diagnosis of sub-clinical neuropathay with diabe-tes mellitus," J Huazhong Univ Sci Technolog Med Sci, Vol.26, No.4, pp.429-431, 2006. 

  9. A. Asad, M. A. Hameed, and U. A. Khan, "Comparison of nerve conduction studies with diabetic neuropathy symptom score and diabetic neuropathy examination score in type-2 diabetics for detection of sensorimotor polyneuropathy," J Pak Med Assoc, Vol.59, No.9, pp.594-598, 2009. 

  10. P. J. Dyck, C. J. Overland, and P. A. Low, "Signs and symptoms versus nerve conduction studies to diagnose diabetic sensorymotor polyneuro-pathy: Cl Vs. NPhys Trial," Muscle Nerve, Vol.42, No.2, pp.157-164, 2010. 

  11. S. R. Abu-Shakra, D. R. Cornblath, and O. L. Avila, "Conduction block in diabetic neuropathy," Muscle Nerve, Vol.14, No.9, pp.858-862, 1991. 

  12. S. J. Oh, "Clinical electromyography: Nerve cond-uction studies," third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U.S.A, pp.86-135, 2003. 

  13. R. L. Braddom, J. B. Hollis, and D. O. Castell,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a correlation of nerve conduction studies and clinical findings," Arch Phys Med Rehab, Vol.58, No.7, pp.308-313, 1977. 

  14. R. Celiker, O. Basgoze, and M. Bayraktar, "Early detection of neurological involvement in diabetes mellitus," Electromyo Clin Neurophysiol, Vol.36, No.1, pp.29-35, 1996. 

  15. G. Felsenthal and M. E. McIvor, "Reappraisal of the electroneurographic and electromyographic diag-nosis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Am J Phys Med, Vol.63, No.6, pp.278-288, 1984. 

  16. P. J. Dyck, J. L. Karnes, and P. C. O'Brien, "The Rochester diabetic neuropathy study: reassess-ment of tests and criteria for diagnosis and staged severity," Neurology, Vol.42, No.6, pp.1164-70,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