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0, 2010년, pp.255 - 266  

배상열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고대식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노지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병훈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박형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예방의학)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 자료 중 65세 이상의 노인 778명에 대해 응답이 불충실한 58명을 제외한 720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연령, 교육상태, 수면시간, 스트레스, 만성질환 수, 주관적 건강인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고신체 활동군저신체 활동군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고강도 신체활동 수행능력을 가진 사람이 활동력의 증대와 함께 삶의 질적 가치도 높일 수 있었을 거라고 판단되며, 추후 좀 더 다양한 요인과의 분석과 다양한 기간을 두고 분석하는 다면적 연구 및 운동기간과의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study, it targeted 720 of the 778 elderly persons whose ages were above 65 for a final analysis except 58 whose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4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타당성과 효율성에 관련하는 정량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타당성과 효율성에 관련하는 정량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절한 신체활동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을 주어 한 개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Rowe & Kahn(1987)[9]은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질병이 없고, 삶을 즐길 수 있는 상태를 긍정적인 노화과정으로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노화과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이고 장기적인 운동이 노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항목이라고 제안하였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심장병, 고혈압, 골다공증, 비만, 내분비계와 대사기능 및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노화와 관련된 사망률을 낮출 뿐만 아니라[10],[11], 정서적인 안녕감을 제공한다[12]. 이와 같이 적절한 신체활동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을 주어 한 개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어떤 요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 자료 중 65세 이상의 노인 778명에 대해 응답이 불충실한 58명을 제외한 720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연령, 교육상태, 수면시간, 스트레스, 만성질환 수, 주관적 건강인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고신체 활동군이 저신체 활동군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고강도 신체활동 수행능력을 가진 사람이 활동력의 증대와 함께 삶의 질적 가치도 높일 수 있었을 거라고 판단되며, 추후 좀 더 다양한 요인과의 분석과 다양한 기간을 두고 분석하는 다면적 연구 및 운동기간과의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노령화에 따른 대표적인 사회문제 중 신체적인 노화에 따른 몸의 변화는? 0%를 차지하여 이에 따른 노인 문제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 노령화에 따른 대표적인 사회문제 중 신체적인 노화는 건과 인대의 석회화, 근력 및 근지구력이 약화되고[3], 신경전달 속도의 지연, 근섬유수의 점진적인 감소로 근수축력과 관절의 가동범위가 축소되어[4][5], 자세의 불안정과 보행의 어려움을 초래하여 운동능력의 저하와 심리적 위축을 경험하게 된다[6].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심혈관계 질환 및 대사성 증후군과 같은 다양한 2차적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 노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2008 OECD 건강데이타, 보건복지가족부, 2008. 

  2. 배주환, 이혜경, 김한수, 오현주,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정신건강상태, 생활만족도 비교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 Vol.20, No.2, pp.33-41, 2008. 

  3. J. Schlicht, D. N. Camaione, and S. V. Owen, "Effect of intense strength training on standing balance, walking speed, and sit-to-stand performance in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56, No.5, pp.281-286, 2001. 

  4. W. R. Frontera, V. A. Hughes, R. A. Fielding, M. A. Fiatarone, W. J. Evans, and R. Roubenoff, "Aging of skeletal muscle: a 12-yr longitudinal study," J Appl Physiol, Vol.88, No.4, pp.1321-1326, 2000. 

  5. F. H. Jr. Brennan, "Exercise prescriptions for activity seniors; a team approach for maximizing adherence," Phys SportsMed, Vol.30, No.2. pp.19-29, 2002. 

  6. B. Gallagher, E. Corbett, L. Freeman, A. Riddoch-Kennedy, S. Miller, C. Smith, L. Radensky & A. Zarrow, "A fall prevention program for the home environment," Home Care Provid, Vol.6, No.5, pp157-163, 2001. 

  7. S. R. Lord, S. M. Murray, K. Chapman, B. Munro, and A. Tiedemann, "Sit-to-Stand performance depends on sensation, speed, balance and psychological status in addition to strength in older peopl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57, No.8, pp.539-543, 2002. 

  8. D. C. Kerrigan, M. K. Todd, U. Della Croce, L. A. Lipsitz, and J. J. Colllins, "Biomechanical gait alteration independent of speed in the healthy elderly: Evidence for specific limiting impairments," Arch Phys Med Rehabil, Vol.79, No.3, pp.317-322, 1998. 

  9. J. W. Rowe and R. L. Kahn, "Human aging: Usual and Successful, Science," Vol.237, No.4811, pp.143-149, 1987. 

  10. 차준태, 지용석, "규칙적인 운동이 노인의 심혈 관계 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Vol.43, No.5, pp.331-340, 2004. 

  11. ACSM,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12. A. S. Nalin and A. F. Maria, "Exercise and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 Nutr Clin Care, Vol.3, No.4, pp197-208, 2000. 

  13. B. Spilker and D. A. Revicki, "Taxonomy of quality of life. In: Spilker B, editor, Quality of life and pharmacoeconomics in clinical trails. 2nd ed," 25-31,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1996. 

  14. M. A. Testa and D. C, Simonson,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outcome," N Engl J Med, Vol.334, No.13, pp835-840, 1996. 

  15. S. D. Barnett and L. S. Halpin, "Functional status improvement in elderly follow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J Nurs Care Qual, Vol.18, No.4. pp281-287, 2003. 

  16. 한미아, 류소연, 박종, 강명근, 박종구, 김기순, "일부 농촌지역 성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 관련 삶의 질", 예방의학회지, Vol.41, No.3, pp.173-180, 2008. 

  17. K. Burstrom, M. Johannesson, and F. Diderichsen, "Swedish populat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using the EQ-5D," Qual Life Res, Vol.10, No.7. pp.621-635, 2001. 

  18. N. A. Singh, K. M. Clements, and M. A. Fiataron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in depressed elder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52, No.1, pp.27-35, 1997. 

  19. J. E. Abell, J. M. Hootman, M. M. Zack, D. Moriarty, and C. G. Helmick,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arthrit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59, No.5, pp380-385, 2005. 

  20. X. Liu, Y. D. Miller, N. W. Burton, and W. J. Brown, "A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s of Tai Chi and Qigong medical exercise on indicators of metabolic syndrome, glycaemic contro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in adults with elevated blood glucose," Br J Sports Med, doi:10.1136/bjsm2008.051144. Accessed at http://bjsm.bmj.com, 2008. 

  21. K. J. Stewart, A. C. Bacher, K. Turner, J. G. Lim, P. S. Hees, E. P. Shapiro, M. Tayback, and P. Ouyang, "Exercise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older adults," Am J Prev Med, Vol.28, No.1, pp.9-18, 2005. 

  22. A. Shibata, K. Oka, Y. Nakamura, and I. Muraoka, "Recommended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Japanese adults," Health Qual Life Outcomes, 5:64. doi: 10.1186/1477-7525-5-64, 2007. 

  23. A. Lobo, P. Santos, J. Carvalho, and J. Mota, "Relationship between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rtuguese institutionalized elderly," Geriatr Gerontol Int, Vol.8, No.4, pp.284-290, 2008. 

  24. 장은정, 김희승, "운동요법이 혈액투석 환자의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Vol.39, No.4. pp.584-593, 2009. 

  25. 신진희, 강성구, 김민정, 황유나, 송상욱,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대사증후군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비만학회지, Vol.17, No.4. pp.182-187, 2008. 

  26. 김용국, 강유석, "지체장애인의 운동참가유형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건강관련 삶의 질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6, No.2, pp.573-582, 2009. 

  27.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제4기 1차년도", 서울, 질병관리본부, 2007. 

  28. M. H. Kim, Y. S. Cho, W. S. Uhm, S. H. Kim, and S. C. Bae,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in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s," Qual Life Res, Vol.14, No.5, pp1401-1406, 2005. 

  29. 강은정, 신호성, 박혜자, 조민우, 김나연, "EQ-5D 를 이용한 건강수준의 가치 평가",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2, No.2, pp.19-43, 2006. 

  30. B. E. Ainsworth, W. L. Haskell, M. C. Whitt, M. L. Irwin, A. Z. Swarts, S. J. Strath, W. L. O′Brien, D. R. Jr Bassett, K. H. Schmitz, P. O. Emplaincourt, D. R. Jr Jacobs & A. S. Leon,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n update of activity codes and MET intensities," Med Sci Sports Exerc, Vol.32, No.9, pp.498-516, 2000. 

  31. M. J. Calvert and N. Freemantle, "Us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rescribing research, Part 1: why evaluat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 Clin Pharm Ther, Vol.28, No.6. pp.513-521, 2003. 

  32. J. E. Brazier, R. Harper, N. M. Jones, A. O`Cathain, K. J. Thomas, T. Usherwood, and L. Westlake, "Validating the SF-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 New outcome measure for primary care," BMJ, Vol.305, No.6846, pp.160-164, 1992. 

  33. M. L. Matteson and E. S. McConell, "Gerontological Nursing, Concepts and Practice," W. B. Saunders Co. Philadelphia, 1988. 

  34. ACSM, "ACSM`s resource manual for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3rd ed)," Philadelphia : Williams & Wilins, A Waverly Company, 1998. 

  35. A. Daskapan, E. H. Tuzun, and L. Eker,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Saudi Med J, Vol.26, No.6. pp.1026-1028, 2005. 

  36. E. Atlantis, C. M. Chow, A. Kirby, and M. F. Singh, "An effective exercise-based intervention for improving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measures: a randomized controlled trail," Prev Med, Vol.39, No.2. pp.424-434, 2004. 

  37. M. T. Richardson, B. E. Ainsworth, H. C. Wu, D. R. Jr. Jacobs, and A. S. Leon, "Ability of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ARIC)/ Baecke Questionnaire to assess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Int J Epidemiol, Vol.24, No.4, pp.685-693, 1995. 

  38. T. T. Baker, D. Allen, K. Y. Lei, and K. K. Willcox, "Alteration in lipid and protein profiles of plasma lipoproteins in middle aged men consequent to an aerobic exercise program," Metabolism, Vol.35, No.11. pp.1037-1043, 1986. 

  39. ACS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Physical activity and bone health," Med Sci Sports Exerc, Vol.36, No.11, pp.1985-1996, 2004. 

  40. J. J. Keysor and A. M. Jette, "Have we oversold the benefit of late-life exercis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56, No7. pp.412-423, 2001. 

  41. D. Rai and H. Finch, "Physical activity from our point of view: Quality research among South Asian and Black Communities," London: Health Education Authority, 1997. 

  42. 이순영, 서일, "주요 건강실천행위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역학회지, Vol.17, No.1, pp.48-63, 1995. 

  43.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Vol.20, No.34, pp.61-76, 2000. 

  44. 고승덕, 조숙행,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 추출", 한국노년학회, Vol.17, No.2, pp.17-36,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