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마늘 생즙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Fresh Juice of Wild-Garlic, Allium victorialis L.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4, 2010년, pp.541 - 546  

권정은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운학 (해산촌) ,  정인창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급 산나물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울릉도 산마늘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을 위해 산마늘 생즙 및 열처리 생즙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산마늘은 우수한 영양성분을 가지며, 산마늘 생즙은 $4^{\circ}C$ 저장시 10일 이상 색차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산마늘 생즙의 가열 처리시에는 brix, 환원당, total flavonoid의 변화는 미미한 반면, 총당은 25%, total polyphenol은 55% 감소하였으며, pH 감소와 함께 산도가 2배 증가되었다. 산마늘 생즙은 우수한 DPPH 소거능환원력을 나타내며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미약한 환원력과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무처리 및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항혈전 활성과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매우 미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마늘이 우수한 항산화력 및 항균력을 가지며, 관련 활성성분은 휘발성, 또는 열에 약한 성분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산마늘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은 비열 처리공정의 제품으로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ld-garlic (Allium victorialis L.) is a perennial plant found in worldwide and has been considered as a favorite vegetable due to its particular smell and taste. However, the study of biological activity of wild-garlic and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are in rudimentary. In this study, we e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rombin은 혈전 생성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serine계 proteinase로 fibrinogen을 fibrin으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24,25). 따라서 thrombin 저해제는 항혈전제로 사용 가능하므로, 생즙의 인간 thrombin에 대한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산마늘 생즙 100% (반응 최종농도 1.
  • 본 연구에서는 고급 산나물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울릉도 산마늘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을 위해 산마늘 생즙 및 열처리 생즙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산마늘은 우수한 영양성분을 가지며, 산마늘 생즙은 4℃ 저장시 10일 이상 색차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 또한 산마늘의 낮은 저장성과 제한된 시기에 공급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산마늘의 가공식품 개발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가공식품 제조를 위한 산마늘의 건조방법 및 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마늘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을 위해 산마늘 생즙 및 열처리 생즙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생리활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마늘의 국내 자생지는? 산마늘(Allium victorialis L.)은 백합과의 Allium속 다년생 식물로 아시아, 아메리카, 히말라야 등의 산지에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울릉도, 지리산, 오대산, 설악산 등지에 자생하고 있다. 산마늘은 실제 마늘 냄새가 강하게 나며 생약학적 용도가 마늘과 매우 유사하며 마늘과 동일한 Allium속에 속하지만(1,2), 그 형태는 마늘과 전혀 다르다.
산마늘에서 보고된 활성물질로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까지 산마늘에서 보고된 활성물질로는 마늘에서 발견되는 allicin, ferulic acid, astragalin, methylallyldisulfide, diallydisulfide, kaempferol, quercetin, furostanol glycosides 등이 있으며(13,14,15), 이에 따라 항산화 활성(16), 항돌연 변이 및 암세포 생육억제 활성(17,18), 동맥경화, 고지혈증및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19,20,21)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산마늘의 생리활성 평가는 여전히 미비한 단계에 있으며, 생리활성에 기초한 고부가가치 가공식품 개발은 초보 적인 상태에 있다.
민간에서 산마늘은 어떤 질환에 이용되어 왔는가? 산마늘은 과거 울릉도 등지에서 구황식물로 이용되어 명의나물 또는 명이나물로 불리고 있으며, 마늘과 같이 전통적인 스테미너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민간에서는 고혈압, 동맥경화증, 위염, 변비, 복통, 건망증, 불면증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사회적 웰빙 분위기 확산에 따라 그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4). 따라서 야생채 취에 따른 공급부족의 문제로 인해 인공 재배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산마늘의 최적 재배환경(4,5), 재배지에 따른 식물학적 변화(6) 및 기내 대량배양(7,8,9)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S.T., Lee, J.T. And Park, W.C. (1993) Growth environment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nativ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Ulrung island. Hanguk Nonghwahak Hoechi, 36, 502-509. 

  2. Huh, M.K., Sung, J.S., Choi, J.S., Jeong, Y.K., Rhu, E.J. and Chung, K.T. (2006)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diversity of garlic in Korea by ISSR marker. J. Life Sci., 16, 253-258. 

  3. Jeong J.C., Ok, H.C., Hur, O.S., Kim, C.G., Kim, S.Y. and Kim, W.B. (2005) Food value and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garlic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Korea. Korean J. Hort. Sci. Technol., 23, 164-169. 

  4. Kim, G.N., Cho, M.S. and Kwon, K.W. (2010) Analysis growth performance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under changing light intensity. J. Korean For. Soc., 99, 68-74. 

  5. Kwon, K.W., Kim, G.N. and Cho, M.S. (2009)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hree wild vegetable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 J. Korean For. Soc., 98, 106-114. 

  6. Yoo, K.O., Kim, W.B., Park, H.J. and Kim, H.T. (1998) Investigation on the ultrastructure of epidermis, anatomical, palynological and cytological charateristic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byllum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habitats. J. Korean Soc. Hort. Sci., 39, 260-265. 

  7. Kim, W.B., Kim, J.G., Lee, E.A., Kim, B.H., Kim, J.K. and Lim, H.T. (1996) Plant regeneration from bulb expla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byllum Makino.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3, 123-127. 

  8. Park, S.Y., Ahn, G.K., Lee, W.Y. and Park, H.C. (2004) Effect of methyl jasmonate on in-vitro bulblet formation and enlargement from shoot clump of Allium victorialis. Korean J. Plant Biotechnol., 31, 79-82. 

  9. Park, S.Y., Lee, W.Y., Ahn, G.K., Kwon, Y.J. and Park, H.C. (2004) High efficiency bioreactor culture system for mass proliferation and bulblet formation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byllum Makino. Korean J. Plant Biotechnol., 31, 127-132. 

  10. Park, G.S. and Kim.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lium victorialis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829-836. 

  11. Jung, S.Y., Lee, M.H., Oh, T.K. and Yoon, J.H. (2007) Herbaspirillum rhizosphaerae sp. nov.,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t. J. Syst. Evol. Microbiol., 57, 2284-2288. 

  12. Jung, S.Y., Lee, S.Y., Oh, T.K. and Yoon, J.H. (2007) Agromyces allii sp. nov.,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t. J. Syst. Evol. Microbiol., 57, 588-593. 

  13. Lee, H.J., Lee, S.K., Choi, Y.J., Jo, H.J., Kang, H.Y., Lee, S.S. and Choi, D.H. (2007) Extractives from the Allium victorialis. J. Korean For. Soc., 98, 106-114. 

  14. Lim, S.C., Park, H.J., Yun, S.Y., Lee, M.S. and Kim, W.T. (1996) Structure of flavonoids and furostanol glycosides isolated from the bulbs of Allium victorialis L. J. Korean Soc. Hort. Sci., 37, 675-679. 

  15. Nishimura, H.T., Takahashi, T., Wijaya, C.H., Satoh, A. and Ariga, T. (2000) Thermochemical transformation of sulfur compounds in Japanese domestic Allium, Allium victorialis L. Biofactors, 13, 257-263. 

  16. Shirataki, Y., Motohashi, N., Tani, S., Sunaga, K., Sakagami, H., Satoh, K., Nakashima, H., Kanamoto, T., Wolfard, K. and Molnar, J.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Allium victorialis L. extracts. Anticancer Res., 21, 3331-3339. 

  17. Ham, S.S., Cui, C.B., Choi, H.T. and Lee, D.S. (2004)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llium victoriali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1, 221-226. 

  18. Lee, K.T., Choi, J.H., Kim, D.H., Son, K.H., Kim, W.B., Kwon, S.H. and Park, H.J. (2001) Constituents and the antitumor principle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Arch. Pharm. Res., 24, 44-50. 

  19. Choi, J.W., Lee, K.T., Kim, W.B., Park, K.K., Chung, W.Y., Lee, J.H., Lim, S.C., Jung, H.J. and Park, H.J. (2005) Effect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eaves on triton WR-1339-Induced and poloxamer-407-induced hyperlipidemic rats and on diet-induced obesity rats. Korean J. Pharmacogn., 36, 109-115. 

  20. Kim, T.G., Kim, S.H., Kang, S.Y., Jung, K.K., Choi, D.H., Park, Y.B., Ryu, J.H. and Han, H.M. (2000) Antiatherogenic effect of the extract of Allium victorialis on the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the rabbit and transgenic mouse. Korean J. Pharmacogn., 31, 149-156. 

  21. Lee, S.S., Mun, S.H., Lee, H.J., Choe, D.H. and Jo, M.H. (2004) Cholesterol inhibitory activities of kaempferol and quercetin isolated from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byllum. Mokchae Konghak, 32, 17-27. 

  22. Kwon, J.B., Kim, M.S. and Sohn, H.Y. (2010)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in activity of the rhizome of different Diosorea spp. Korean J. Food Preserv., 17, 391-397. 

  23. Sohn, H.Y., Kum, E.J., Ryu, H.Y., Jeon, S.J., Kim, N.S. and Son, K.H. (2006) Antifungal activity of fistuloside, steroidal saponins, from Allium fistulosum L. J. Life Sci., 16, 310-314. 

  24. Kim, J.I., Jang, H.S., Kim, J.S. and Sohn, H.Y. (2009)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oscorea batatas Decn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133-139. 

  25. Sohn, H.Y., Ryu, H.Y., Jang, Y.J, Jang, H.S., Park, Y.M. and Kim, S.Y. (2008)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part of Saxifraga stolonifer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195-200. 

  26. Kim, M.S., Ahn, S.M., Jung, I.C., Kwon, G.S. and Sohn, H.Y. (2010) Screening of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from brazilian plant extracts for treatment of rumen acidosis. Korean J. Food Preserv., 17, 290-296. 

  2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