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주조개를 모방한 생체모방 복합재료의 저속충격 해석
Analysis of Low Velocity Impact on Biomimetic Composites Mimicking Nacre 원문보기

복합재료 : 한국복합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v.23 no.4, 2010년, pp.1 - 6  

조승운 (인하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범현규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주조개를 모방한 생체모방 복합재료의 저속충격 하에서의 동적 거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복합재료는 단백질과 미네랄 층이 계층구조를 이루고 있다. 유한요소해석을 사용하여 복합재료의 충격거동을 해석하였다. 복합재료의 계층구조가 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생체모방구조물은 계층구조의 차수가 높아짐에 따라 저속충격에 대해 충격지점에서 구조물이 받는 최대 응력과 변위, 접촉하중을 감소시킨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ynamicresponse of biomimetic composites mimicking nacre under low velocity impact is investigated. The composites have hierarchical structures with a staggered pattern consisting of a protein and a mineral. To analyze the impact response of the composites,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use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다층구조물에 충격이 가해지는 동적인 문제의 해석을 다루고 있다. 충격에 관한 문제는 통상적으로 댐핑 (damping)을 무시하고 시간에 따른 과도응답 특성의 동적 평형 방정식(transient dynamic equilibrium equation)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8].
  • 본 논문은 조개의 계층구조 형상을 모방한 복합재료의 저속충격 하의 동적 거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외부 충격에 의해 단종재료와 이를 조합한 이종재료, 그리고 계층구조재료의 시간에 따른 응력, 변위, 접촉하중 등의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 진주조개의 벽돌-모르타르의 구조적 형상과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는 생체모방 복합재료의 저속충격에 대한 동적 거동을 알아보았다. 발사체가 구조물에 충격을 가하고 충격점 부근에서 시간에 따른 응력과 변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다층구조물의 사용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종재료의 장점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경량화를 이룰 수있다는 이점 때문에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다층구조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층복합재료로 이루어진 기계 부품들은 불가피하게 동적 하중이나 충격 하중 하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저속충격은 어떤 조건으로 나눌 수 있는가? 저속충격은 일반적으로 충격체의 질량이 작고 속도가 빠르 거나, 질량이 크고 속도가 다소 느린 두 가지의 조건으로 나눌 수가 있다. 충격체가 구조물과 부딪힐 때의 충격에너지는 통상 15J 이하의 에너지로 규정한다.
본 연구에서 진주조개의 벽돌-모르타르의 구조적 형상과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는 생체모방 복합재료의 저속충격에 대한 동적 거동을 확인한 결과는 어떠한가? 발사체가 구조물에 충격을 가하고 충격점 부근에서 시간에 따른 응력과 변위를 알아보았다. 일정한 속도의 외부 발사체 강구의 충격에 대해 단일재료인 미네랄과 단백질이 받는 큰 응력을 이종재료로 구성되어 다층구조를 이룸으로써 구조물이 받는 최대응력과 최대변위가 감소했다. 계층구조의 차수가 높아짐에 따라 단백질의 부피비율이 증가 하고 전체적으로 유연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단백질의 밀도가 작기 때문에 전체 구조물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계층구조의 생체모방 다층구조물은 외부 충격에 대한 응력과 변위를 감소시키는 경향성을 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S. Kamat, X. Su, R. Ballarini and A. H. Heuer, "Structural Basis for the Fracture Toughness of the Shell of the Conch Strombus Gigas," Nature, Vol. 405, 2000, pp.1036?1040. 

  2. T. L. Norman, D. Vashishth and D. B. Burr, "Fracture Toughness of Human Bone under Tension," Journal of Biomechanics, Vol. 28, 1995, pp. 309?320. 

  3. B. Ji and H. Gao,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structure of Biological Materials," Journal of the Mechanics and Physics of Solids, Vol. 52, 2004, pp. 1963-1990. 

  4. H. Gao, "Application of Fracture Mechanics Concepts to Hierarchical Biomechanics of Bone and Bone-like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Fracture, Vol. 138, 2006, pp. 101-137. 

  5. N. C. Broedling, A. Hartmaier, M. J. Buehler and H. Gao, "The Strength Limit in a Bio-inspired Metallic Nanocomposite," Journal of the Mechanics and Physics of Solids, Vol. 56, 2008, pp. 1086-1104. 

  6. J. D. Currey, "Bones: Structure and Mechanics,"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7. J. H. Lee, C. D. Kong and Soutis Cotstas, "Modeling of Low Velocity Impact Damage in Laminated Composites,"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19, No. 4, 2005, pp. 947-957. 

  8. ANSYS/ LS-DYNA User's Guide. 

  9. K. Bertoldi, D. Bigoni and W. J. Drugan, "Nacre: An Orthotropic and Bimodular Elastic Material,"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Vol. 68, 2008, pp. 1363-1375. 

  10. J. K. Chen and C. T. Sun, "Dynamic Large Deflection Responseof Composite Laminates Subjected to Impact," Composite Structures, Vol. 4, 1985, pp. 59-73. 

  11. 최익현, "초기 면내하중을 받는 복합적층판의 저속충격 거동 및 손상해석," 한국복합재료학회지, 제22권 제1호, 2009, pp. 1-7. 

  12. S. H. Yang and C. T. Sun, "Indentation Law for Composite Laminates," ASTM STP 787, 1981, pp. 425-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