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의 진료대기시간 및 환자만족도, 재이용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Waiting Time, Patient's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of Outpatients in General Hospital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6 no.3, 2010년, pp.219 - 228  

고유경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gree of delay in waiting time, and the relationships of waiting time, patient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of outpatient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2 to July 4, 2009. A total of 536 outpatien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외래진료 대기시간과 환자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방에 소재하는 2차 종합병원에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의 유형에 따라 진료대기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실태를 파악하고 환자의 불편사항인 대기시간 해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외래를 내원하는 환자의 실제 진료 대기시간을 확인하고, 환자 진료의 질지표로 중요한 환자만족도(Wagner & Bear, 2009), 의료기관 재이용의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인 조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외래에 내원하는 환자의 외래진료대기시간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외래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료대기시간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외래에서의 진료시간 실태조사 및 환자만족도, 재이용의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외래진료 예약시스템 운영과 환자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외래에 내원하는 환자의 외래진료대기시간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외래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료대기시간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외래에서의 진료시간 실태조사 및 환자만족도, 재이용의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외래진료 예약시스템 운영과 환자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료대기시간이란? 진료대기시간은 외래진료 예약시각과 담당진료의사와의 진료를 위해 진료과로 입실한 시각의 차이로 정의하며, 외래진료 예약시간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환자가 외래에 도착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그 차이를 측정한 시간차이로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예약한 환자의 진료대기시간은 3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예약시간보다 일찍 도착하여 진료시간이 예약시간보다 빨라진 경우와 예약시간보다 일찍 도착한 경우, 예약시간보다 늦게 도착한 경우이다.
의료기관에서 진료대기시간이 가지는 의미는? 진료대기시간은 의료기관 평가나 성과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과정적 질 지표 중의 하나이며 개별 의료기관들도 내부 서비스 향상 활동의 일환으로 대기시간에 대한 모니터링과 다양한 개선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Hwang, 2005). 다시 말해서 대기시간은 환자만족도 측정요소 중의 하나로서 선행문헌에서 일관되게 제시하고 있다(Dansky & Miles, 1997; Knudtson, 2000).
예약한 환자는 어떤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나? 예약한 환자는 다시 3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약시간보다 일찍 도착하여 진료시간이 예약시간보다 빨라진 경우와 예약시간보다 일찍 도착한 경우, 예약시간보다 늦게 도착한 경우이다. 당일접수환자는 정규예약이 아닌 경우에 진료대기시간이 예약환자에 비해 길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day, L. A. (1996). Designing and conducting health surveys-A comprehensive surveys. (2nd ed.). San Francisco: John Wiley & Sons, Inc. 

  2. Cho, W. H., Lee, S. H., Lee, H. J., & Jeon, K. H. (1999). Healthcare service marketing. Seoul: Taesoldang. 

  3. Choi, M. K., Jong, J. C., & Cho, M. S. (2000). Difference in Patient Satisfaction on the Attitude of Hospital Workers. J Institute Health Environ, 10(1), 9-20. 

  4. Cole, F. L., Mackey, T. A., & Lindenberg, J. (2001). Wait time and satisfaction with care and service at a nurse practitioner managed clinic. JAANP, 13(10), 467-472. 

  5. Dansky, K. H., & Miles, J. (1997). Patient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healthcare services: Waiting time and filling time. Hosp Health Serv Adm, 42, 165-177. 

  6. Eilers, G. (2004). Improving patient satisfaction and waiting time. J Am Coll Health, 53(1), 41-45. 

  7. Fogarty, C., & Cronin, P. (2008). Waiting for healthcare: a concept analysis. J Adv Nurs, 61(4), 463-471. 

  8. Giske, T., & Gjengedal, E. (2006). Preparative waiting and coping theory with patients going through gastric diagnosis. J Adv Nurs, 57(1), 87-94. 

  9. Kim, Y. S., Park, J. W., & Park, Y. O. (1997). A study on reducing solution time about patient's a complaint. J Korean Soc Qual Assur Health Care, 4(1), 64-81. 

  10. Knudtson, N. (2000).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e practitioner service in a rural setting. JAANP, 2, 405-412. 

  1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s (2008). 2007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Survey report (2008-34).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s. 

  12. Hwang, J. I. (2005). Factors influencing consultation time and waiting time of ambulatory patients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J Korean Soc Qual Assur Health Care, 12(1), 6-16. 

  13.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nd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 New York. 

  14. Lebel, S., Jakubovits, G., Rosberger, Z., Loiselle, C., Seguin, C., Cornaz, C., Ingram, J., August, L., & Lisbona, A. (2003). Waiting for a breast biopsy. Psychosocial consequences and coping strategies. J Psychosom Res, 55, 435-443. 

  15. Lee, M. A.(2007). A study of nursing services quality, general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s, and revisiting intent of hospital. J Korean Nurs Adm Acad Soc, 13(3), 362-372. 

  16. Min, E. H.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repurchase and nonrelational repurch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17.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1994). Reassessment of expectation in measuring service quality: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J Marketing, 58(January), 111-124. 

  18. Park, G. J. (1994). Factors influencing over medical and surgical outpatients' choice of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Pitt, D., Noseworthy T., Guilbert, J., & Williams, J. R. (2003). Waiting Lists: Management, Legalities and Ethics. Can J Surg, 46(3), 170-175. 

  20. Park, S. H. (2001). Analysis of factors delaying on waiting time for medical examination of outpatient on a hospital. J Korean Soc Qual Assur Health Care, 8(1), 56-72. 

  21. Reichheld, F. F., & Sasser, W. E. (1990). Zero, defection: Quality comes to service. HBR, 68(1), 105-111. 

  22. Son, Y. M. (2004). The effect of relationship marketing implement factors on the Customer Trust, customer loyalty, and repurchase in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Pusan. 

  23. Spaite, D. W., Bartholomeaus, F., & Guisto, J. (2002). Rapid process redesign in a university-based emergency department: decreasing waiting time intervals and improving patient satisfaction. Ann Emerg Med, 39(2), 168-177. 

  24. Wagner, D., & Bear, M. (2009).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 concept analysis within a nursing framework. J Adv Nurs, 65(3), 692-7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