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생존백세장수지표에 미치는 건강요인의 영향력
Influence of Health Factors on the Longevity Index in Korean Centenarian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2, 2010년, pp.109 - 119  

김종인 (원광대학교 복지보건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heath factors for longevity index of survival rate in Korean centenarians, which contribute to longev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paper included 996 centenarians in 276 regions of Korea that the data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the N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견지에서 현재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65세 이상 노인들의 ‘생존백세장수지표’에 미치는 건강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현재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65세 이상 노인들의 ‘생존백세장수지표’에 미치는 건강요인과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가설 설정

  • 현재 연구에서의 생존율은 다음 (모형2)생존함수(David, 2003)를 활용한다. 즉, 생존율(S)은 임의변수(T)에 대한 생존확률(Pr)이므로 65세이상 노인들의 생존율은 현재의 노인인구에서 노인사망률을 제외한 것으로 가정한다.
  • 사회적인 변수는 직간접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섭생의 식품요인(근채소류, 마늘)과 대기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환경요인(대기오염, 미세먼지)을 설정한다. 현재의 연구에서 다양한 변수를 모두 선정하여 연구하는 것은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설정된 변수이외 건강요인은 모두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수요인은 무엇인가? 한편, 인간수명에 기여한 요인들은 개인적인 습관, 보건의료제도, 유전적인 영향, 생활방식, 신체적인 활동, 영양, 사회적 관계, 긍정적인 태도 등으로 제시되고 있고(Akiko Ozaki et al, 2007), 이들 요인이 장수요인들로서 인식되어왔다.
아플라톡신이란 무엇인가? 한편, 최근에 발표된 식품요인 중, 아플라톡신(Aflatoxin :곡물의 곰팡이가 내는 발암성 독소, 특히 한국 메주에 있는 진균독의 일종)은 대장암, 간암, 폐암의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야채는 대장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Kono, 2010)와, 식품요인의 마늘이 치매를 저하시키고,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을 예방하고, 기억력 유지와 학습능력을 개선하며, 혈관 수축에 의한 국소 빈혈, 암, 뇌졸중, 노화 등을 예방한다(Borek, 2006)는 연구결과를 볼 때, 마늘과은 수명을 연장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판단된다. 특히, 마늘주산지는 마늘을 마늘장아찌, 마늘식혜, 마늘과자, 마늘빵 등 다양한 메뉴로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어 체내의 과산화지방생성을 방지하여 노화를 예방(김종인, 2007a, Kim, 2008)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생존백세장수지표가 높은 것으로 이해된다.
노인들의 폐렴은 환경요인 중 어떤 대기오염물질과 연관성이 있는가? 최근 연구를 보면, 노인들의 폐렴은 잠재적인 위험요인으로 평가되는 대기오염과 흡연에 노출되는 물리적인 환경, 영양공급 상태, 사회경제적인 요인 등에 의해 광범위하게 결정된다(Kim, 2008). 특히,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얻은 폐렴(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과 같은 호흡기감염으로 입원하는 것은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NO2)과 연관성이 있다(Neupane, 2010)는 것이다. 이와 같이 노인들의 건강요인을 저해하는 환경요인을 규명한다면 노인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종인 (1998). 백살이상 노인의 장수요인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보건복지학회, 보건과복지, 창간호(1).9-38. 

  2. 김종인 (2002). 백살 이상 장수노인의 거주 지역에 대한 사회 환경요인.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1(3).157-168. 

  3. 김종인 (2005). 노인의 사망원인에 대한 거주지역간 사회 환경요인분석.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5(2).1-14. 

  4. 김종인 (2007a). 백세인의 지역별 장수지표와 사회 환경요인의 영향력.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7(3).653-647. 

  5. 이은하, 박수경, 고광필, 조인성 등. (2010). 한국인의 흡연과 사망위험에 관한 코호트 연구. 예방의학회지 43(2). 151-158. 

  6. 지방자치단체(2010a). 시도 2005 통계연보. 지방자치단체. 

  7. 통계청(2010b). 2005년 인구조사통계. 서울: 통계청. 

  8. 통계청(2010c). 2005년 마늘 수확 및 채소 재배 면적. 서울: 통계청 

  9. 통계청(2010d). 2010년 행정구역(시군구)/성/연령별 1인(단독) 이동자수. 서울: 통계청 

  10. 통계청(2010e). 2006년 음주 및 음주횟수, 흡연 및 흡연량. 서울:통계청 

  11. 통계청(2010f). 2006-2007년 의료만족, 주요도시 오염도변화추이. 서울: 통계청 

  12. 통계청(2010g).2005-2007년 노인 간병사 요구도, 노인건강. 서울:통계청 

  13. Akiko Ozaki, Makoto Uchiyama et al. (2007). The Japanese Centenarian Study: Autonomy Was Associated with Health Practices as Well as Physical Status. J. Am. Geriatr. Soc., 55(1): 95-101. 

  14. Borek C. (2001). Antioxidant health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J. Nutr. 131:1010S-1015S. 

  15. Borek C. (2006). Garlic Reduces Dementia and Heart-Disease Risk. J. Nutr. 136:810S-812S. 

  16. Cakmak S, Dale RE, et al. (2007).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Chile: Susceptibility among the Elderly.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5(4):524-527. 

  17. David Collett (2003). Modelling Survival Data in Medical Research, Second Edition. Boca Raton: Chapman & Hall/CRC. ISBN 978-1584883258. 

  18. De Benedictis G, Tan Q, Jeune B. et al. (2001). Recent advances in human gene-longevity association studies. Mech. Aging Dev., 122:909-920. 

  19. Fielo SB et al. (2001). Home adaptation: Helping Older People In Age Place. Geriatric Nursing 22(5):239-247. 

  20. Hirakawa Y, Kuzuya M, Enoki H, et al. (2010). Information needs and sources of family caregivers of home elderly patients.Arch Gerontol Geriatr. Apr 15.[Epub ahead of print]. 

  21. Kim JI (2008).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for Korean and Australian Centenaria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5):1-20. 

  22. Kim JI(2007b). Differences in Longevity Factors amongst Korean Centenarians, Octogenarians, and Sexagenaria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5):55-68. 

  23. Kono S. (2010). Host and environmental factors predisposing to cancer development. Gan To Kagaku Ryoho, Apr;37(4):571-6. 

  24. Magnolfi SU., Petruzzi E, E,Pinzani P, et al (2007). Longevity index (LI%) and centenarity index (CI%): New indicator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process in the Italian populatio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4(3):272-276. 

  25. Magnolfi SU., Noferi I., Petruzzi E. et al (2008). Centenarians in Tuscany: The rol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8(2):263-266. 

  26. Morgan G, Corbett S, Wlodarczyk J, et al (1998).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in Sydney, Australia, 1989 through 1993. Am J Public Health, 88:759-764. 

  27. Mossakowska M, Pawlinska-Chmara R, Broczek KM. (2008). Asthma, allergy, and respiratory symptoms in centenarians living in Poland. J Physiol Pharmacol;59 Suppl 6:483-9. 

  28. Neupane B, Jerrett M, Burnett RT, et al. (2010). Long-term exposure to ambient air pollution and risk of hospitalization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older adult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0 Jan 1;181(1):47-53. 

  29. Park Sk, O''Neill MS, Vokonas PS, et al. (2008). Air Pollu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Effect Modification by Chronic Lead Exposure. Epidemiology, 19(1):111-120. 

  30. Raimondi S, Maisonneuve P, Lowenfels AB.(2009). Epidemiology of pancreatic cancer: an overview.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6(12):699-708. 

  31. Ramadas K, Sauvaget C, Thomas G. et al. (2010). Effect of tobacco chewing, tobacco smoking and alcohol on all-cause and cancer mortality: A cohort study from Trivandrum, India. Cancer Epidemiol. 2010 May 3. [Epub ahead of print]. 

  32. Robine JM, Paccaud F. (2005). Nonagenarians and centenarians in Switzerland, 1860-2001: A demographic analys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9:31-37. 

  33. Rockenfeller P, Madeo F.(2010). Ageing and eating. Biochim Biophys Acta, 1803(4):499-506. 

  34. Rongjun Sun and Danan Gu. (2008). Air Pollution, Economic Development of Communities, an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in Urban China. Am J Epidemiol, 168:1311-1318. 

  35. Szyszkowicz M, Rowe BH, Kaplan GG. (2009). Ambient sulphur dioxide exposure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migraine in Vancouver, Canada.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2009;22(1):7-12. 

  36. United Nations (2007),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About World Population Ageing 2007. New York, United Nations Publications. 

  37. Willcox DC, Willcox BJ, Todoriki H, Suzuki M. (2009). The Okinawan diet: health implications of a low-calorie, nutrient-dense, antioxidant-rich dietary pattern low in glycemic load. Aug;28 Suppl:500S-516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