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출산.양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젠더관점과 다문화관점을 중심으로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ies for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3 no.1, 2010년, pp.51 - 73  

김영주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임신 출산 및 자녀 양육 정책의 관점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즉, 다문화가족의 출산 및 양육 관련 정책은 젠더 관점과 다문화 관점을 동시에 견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이 두 관점에서의 다문화가족 출산 및 양육과 관련한 정책 관점과 내용을 점검한 후, 현재의 관련 정책들을 살펴보고 향후 정책 방향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관련 정책은 젠더 관점에서 볼 때 크게 네 가지 점에서 새로운 방향설정과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현재의 정책들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을 좁은 의미에서의 모자보건에 치중하고 있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주기 전반을 고려하는 접근과 지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결혼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장과 관련한 정책이 강화되어야 하고, 셋째,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원이 생물학적 건강 유지의 성격을 넘어 정신 및 심리적 건강 등 다양한 차원의 지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가족의 자녀양육 지원 정책이 대체로 이들을 '자녀양육의 전담자'로 설정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성별분업 체계를 넘어서는 정책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다문화적 관점에서는 소수자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출산 및 양육 정책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차이들을 인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그러한 점에서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권의 확보와 소수자로서 차별을 받지 않도록 관련 법령들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관련 정책들이 보다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도록 강화되어야 하고, 셋째, 자녀 양육 지원 정책을 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문제가 아닌 자녀양육 환경의 개선과 지원으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rais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riage migrant women's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ies. In other words, the study starts with the basic perspective that policies concerning the childbirth and childcare of marriage migrant women should be looked at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출생신고서에 부모의 국적(혹은 출신국가)을 표기하도록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문화가족의 자녀수에 대한 통계를 토대로 간접적으로 자녀의 규모나 연령별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부득이하게 여기서는 남성결혼이민자를 포함한 전체 국제결혼가정자녀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남성결혼이민자의 자녀가 포함되어 있지만, 남성결혼이민자의 비율이 10%에 불과하기 때문에 결혼이주여성 자녀의 현황을 전반적으로 파악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정책적 대응이 어떠한 관점에서 접근되고 추진되는가에 따라 그 정책의 효과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두 차원에서 현재 다문화가족의 임신ㆍ출산 및 자녀 양육 정책의 특성과 한계를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다문화가족의 임신·출산 및 자녀 양육에 대한 정책과 그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다문화가족의 자녀출산 및 양육 지원 정책은 젠더 관점에서 접근되고 있는가?

  • 2) 다문화가족의 임신 · 출산 및 자녀양육 지원 정책은 다문화적으로 접근되고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주여성이 직면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한국 입국 이후 결혼이주여성의 상당수는 임신ㆍ출산을 경험하고, 자녀양육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그 과정에서 결혼이주여성은 건강에의 취약함과 자녀양육의 부담 및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한다.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과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양육 환경의 조성은 한국 사회의 책무이자 과제이다.
다문화가족이 처한 가장 큰 어려움의 중의 하나로 지적되는 것은 무엇인가?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족은 생활상의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다문화가족이 처한 가장큰 어려움의 중의 하나로 자녀양육과 교육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김오남, 2006;서홍란 외, 2008; 왕한석, 2006; 이진숙, 2007; 조영달, 2006; 한건수,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도희, 김성이, 신효진 (2007)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사회 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9(3): 53-78. 

  2. 김두섭 (2006) "한국인 국제결혼의 설명틀과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의 분석 29(1): 25-56. 

  3. 김두섭 (2008) "외국인 배우자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31(3): 1-26. 

  4. 김선희, 전영평 (2008) "결혼이주여성정책의 정체성 분석: 인권보호인가, 가족 유지인가?" 46(4): 305-330. 

  5. 김영주 (2006) 충남 국제결혼가족 실태 및 지원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여 성정책개발원. 

  6. 김영주, 김희경, 이현주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생애주기별 건강실태 및 건 강증진 방안 연구, 충남여성정책개발원. 

  7. 김인춘, 최정원 (2008)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와 성평등정책" 16(1): 312-244. 

  8. 김혜순 (2008)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 담론의 사회학" 42(2): 36-71. 

  9. 김혜자 (2008)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 건강교육 요구와 삶의 질" 14(1): 5-11. 

  10. 보건복지가족부 (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 

  11. 빈부격차, 차별시정위원회 (2006) 여성결혼이민자가족의 사회통합 지원대책. 

  12. 서현, 이승은 (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12(4): 25-47. 

  13. 서홍란, 김기언, 김양호 (2008)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3(3): 121-143. 

  14.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정책방안, 보건복지부. 

  15. 송미경, 지승희, 조은경, 임영선 (2007)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16. 오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32(3): 186-213. 

  17. 오성배 (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교육기회 실태와 대안모색" 12; 33-56. 

  18. 이삼식, 박종서, 김필숙, 김형석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 출산 행태 와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이재분 (2008)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실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 이진숙 (2007) "국제결혼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12(6): 21-42. 

  21. 장명선, 이옥경 (2008) 서울시 다문화가족 실태 및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2. 전홍주, 배소영, 곽금주 (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 원의 실제와 의미" 20(3): 161-186. 

  23. 정은희 (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13(3): 33-52. 

  24. 조영미 (2007) "모자보건 정책분석을 통한 여성건강개념 확대방안" 8(2): 69-87. 

  25. 차승은, 김두섭 (2008) "혼인이주 여성의 출산 및 경제활동과 우울증" 31(3): 131-157. 

  2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 실태와 정책과제. 

  27. 행정안전부 (2009) 외국인주민현황조사. 

  28. 홍승아 (2008) "젠더관점에서 본 아동양육지원정책" 선진화시대를 여는 여성, 가족정책의 전망과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개원25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 

  29. 황나미 (2007) "여성건강 관점에서의 공공 모자보건사업 현황과 발전방안" 8(2): 49-68. 

  30. Okin, S. M. (1999) "Is Multiculturalism Bad for Women?", Cohen, J. (ed.) Is Multiculturalism Bad for Women? Princeton Univ. Press: 9-24. 

  31. Ponzanesi, S. (2007) "Feminist theory and Multiculturalism" Feminist Theory 8(1): 91-103. 

  32. Oonagh, R. (2005)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Hompatibility, Compatibility, or Synoymity?" Ethnicities 5: 216-24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