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on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278 - 290  

배지현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박정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7년부터 10년 동안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 중 학술정보서비스(http://www.riss.kr)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임신 출산에 관련된 연구(74편)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은 학문분야, 연구설계, 주요 주제 및 중재 연구에 사용된 결과 변수에 의해 분석되었다. 74편의 논문 중 학위논문은 28편(38.6%), 학회지는 46편(61.4%)으로 조사 되었으며, 이중 37편(50.0%)은 간호학에서 수행되었다. 양적 연구의 경우 45편(60.8%), 질적 연구가 29편(39.2%)으로 질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더 적은 편이었고, 양적 연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설계는 서술적 연구가 22편(29.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주요 개념은 간호의 패러다임인 간호, 환경, 건강, 인간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네 가지에 속하지 않은 것은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연구 주제는 건강 영역인 사회 심리 측면이었으며, 다음은 인간 영역 순이었다. 8편의 중재 연구 분석에서 7편은 산욕기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고, 나머지 1편은 산욕기 결혼이주여성과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가장 빈번하게 측정 된 결과 변수는 적응에 대한 중재에서 양육과 관련된 모성역할 수행자신감, 지지, 지식에 대한 내용이었다. 연구 유형별 연구 설계에서는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 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양적 연구에서도 실험연구 보다는 서술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실험연구의 경우에서도 연구의 대상자가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 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을 포함한 새로운 간호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nvestigation reviewed 74 studie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at were selected from national dissertations and others in journals released in the past 10 years from 2007 that were identified using http://www.riss.kr. Analysis on the trend of research was d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10년간 수행된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파악하여 향후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연구 방향 및 실질적 중재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문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10년간 수행된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연구 방향 및 실질적 중재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descriptive study)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학문분야, 연구설계, 주요 주제 및 개념, 간호중재와 관련변수를 포괄적으로 파악함으로서 향후 간호학 분야의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효율적 중재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수의 결혼이주여성만이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로 인해 최근 보건복지부와 여성가족부 등 행정부처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임신과 출산, 양육에 관련된 다양한 생애주기별 가족 지원 사업을 확대시키고 있으나 현행법상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인 남성과 혼인신고가 이루어져야만 결혼이주 비자를 받아 의료보험을 적용받게 되어 실제적으로 남편이 피부양자 등록을 하지 않거나, 등록이 중도 해지되는 경우 의료보험에서 제외되어 임신과 출산으로 생식건강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결혼이주여성만이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10,13]. 이처럼 노동이 아닌 결혼을 통한 한국사회 정착을 목적으로 하는 결혼이 주여성의 수적 증가는 이들이 우리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건강한 결혼생활을 영위하고, 향후 우리나라 전체 출산력은 물론 모자건강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집단이라는 면에서 결혼이주여성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임신과 출산 관련 요구를 사정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 국제적 결혼이 확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국제적 지위 향상과 세계화로 인한 물적· 인적 교류의 확산, 혼인수급의 불균형 및 결혼관의 변화 등의 다양한 이유로 인구의 세계적 이동의 증가와 국제적 결혼이 확산되고 있다[1]. 최근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07년 누적된 여성 결혼 이민자의 수는 97,236명에서 2016년 128,518명으로 10년 사이에 1.
결혼이주여성의 임신기 건강과 출산 수준이 우리나라 여성에 비하여 열악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여성에게 있어 임신과 출산, 양육은 생애의 중요한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결혼이주여성의 상당수가 평균 30대 이후에 출산을 경험하게 되는 우리나라 여성에 비해 30대 이전이라는 비교적 어린나이에 출산이 이루어지게 되면서[7], 결혼생활 및 문화와 언어에 대한 충분한 적응 없이 어머니가 되어감에 따라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문화 간 충돌, 자녀양육 어려움, 가정폭력 및 정신적·신체적 피해, 빈곤, 지역 사회 및 한국 사회로의 통합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여성에 비해 스트레스 정도가 더 가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8,9]. 또한 결혼이주여성은 대부분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취약계층에 속하며 비용에 대한 부담감, 의료 기관의 접근성장애, 의사소통 어려움, 의료급여 문제, 정보부족, 가족의 무관심 등으로 기본적인 보건의료서비스 조차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게 되면서 고위험 임신과 그에 따른 저체중아 출산, 조산율과 사산율 증가와 같은 출산결과의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10,11]. 이처럼 결혼이주여성의 임신기 건강과 출산 수준은 단순히 출생 시 건강뿐 아니라 성장 후 성인기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는 향후 우리나라 인구 자질 향상뿐 아니라 건강한 인구 확보를 위해 인구보건 정책과제의 중요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7,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 K. Ki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 a Policy Perspectiv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65, pp. 5-18, 2010. 

  2. Statistics Korea. A Portrait of the married couples through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6 [cited 2017 July 26],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 idx_cd2430 

  3. S. H. Kim,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s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 16, no. 2, pp. 170-185, 2013. 

  4. C. S. Chung, "Pregnancy, Delivery and Cultural In tegr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Busan, 2010. 

  5. J. S. Jeong, "Pregnancy, Delivery and Cultural Integr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Graduate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Chungnam, 2010. 

  6. H. S. Lim, "The Experience of Health Care in Pregnancy and Childbirth among Married Immigr- 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 15, no. 2, pp. 117-129, 2014. DOI: https://doi.org/10.22284/qr.2014.15.2.117 

  7. H. R. Kim, J. Y. Yeo, J. J. Jung, S. H. Baek,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 da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8. T. I. Kim, Y. J. Kwon, M. J. Kim, " Phenomenolog- ica Study on Mothering Experience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Urban Are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8, no. 2, pp. 177-213, 2012. DOI: https://doi.org/10.4069/kjwhn.2012.18.2.85 

  9. E. J. Oh, J. S. Park, Y. K. Kim, H. S. Lee, "The Meaning of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 17, no. 2, pp. 256-269, 2013. DOI: https://doi.org/10.21896/jksmch.2013.17.2.256 

  10. W. S. Lee,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on Pregnancy.Childbearing.Infant Ca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Seoul, 2013. 

  11. K. S. Joo,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Tailored Maternal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Maternal Adaptation of Immigrant Pregnant Women",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2015. 

  12. H. R. Kim,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pp. 50-64, 2009. 

  13.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pplic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ternet]. Seoul: Ministry of Foreign, c2017 [cited 2017 December 15], Affairs. Available from: http://www.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47&ccfNo3&cci No1&cnpClsNo4 

  14. H. H. Cho, Y. M. Yoon, S. H. Moon, "Research Trends on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and Their Families in Korea",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 18, no. 1, pp. 97-108, 2014. DOI: https://doi.org/10.21896/jksmch.2014.18.1.97 

  15. E. O. Lee., N. Y. Lim, H. A. Park, "Statistical an analysis for nursing and medical research.(3rd ed.)", Soomunsa, 1998. 

  16. J. S. Kim, J. Y. Lim, I. S. Kwon, T. I. Kim, H. R. Park, H. Y. Ahn, S. Y. Lee, H. M. Jung,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5-2009)",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e, vol. 17, no. 2, pp. 100-110, 2011. DOI: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2.100 

  17. H. H. Cho, J. W. Yoon, "Trend in research on children with cancer and their families in korea",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 16, no. 1, pp. 73-83, 2010. DOI: https://doi.org/10.4094/jkachn.2010.16.1.73 

  18. H. S. Kim, J. Y. Ban, J. Y. Yoon, Y. H. Na, J. Y. Jeon, "Analysis of research on the nursing of hematology in korea", Asian Oncology Nursing, vol. 10, no. 1, pp. 146-155, 2010. DOI: https://doi.org/10.5388/jkon.2010.10.2.146 

  19. H. Y. Lee, G. C. Park, M. K. Kim, O. K. Lee, "Factors Influencing on Perinatal Outcomes of Asian Marriage Immigrant Women : Ten-year Experience in a Single Center", vol. 24, no. 3, pp. 168-179, 2013. 

  20. M. K. Park, S. H. Moon, "Effects of an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Nurses Academic Society. vol. 46, no. 1, pp. 128-139, 2016. DOI: https://doi.org/10.4040/jkan.2016.46.1.128 

  21. E. H. Kim, E. J. Lee, M. J. Kim, D. Y. Park, S. H. Lee,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of Pregnancy and Delivery on Pregnancy related Knowledge, Newborn Care Knowledge, and Postpartum Care Self-efficac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Korean Nurses Academic Society, vol. 40, no. 1, pp. 78-87, 2010. DOI: https://doi.org/10.4040/jkan.2010.40.1.78 

  22. K. S. Bang, B. Y. Huh, M. K. Kwon, "The Effect of a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migrant Mothers",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 20, no. 1, pp. 11-19, 2014. DOI: https://doi.org/10.4094/chnr.2014.20.1.11 

  23. S. Y. Kim, S. Y. Choi, "Effects of a Customized Birth Control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Postpartum Mothers", Korean Nurses Academic Society, vol. 46, no. 6, pp. 780-792, 2016. DOI: https://doi.org/10.4040/jkan.2016.46.6.780 

  24. J. Y. Seo, E. Y. Kim, "Effects of an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in Infant and Child for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25, no. 4, pp. 422-431, 2013. DOI: https://doi.org/10.7475/kjan.2013.25.4.422 

  25. J. H. Lee, S. E. Oh, "Effects of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vol. 24, no. 3, pp. 220-230, 2016.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6.24.3.220 

  26. H. M. Ahn, M. O. Kim, "Analysis of Health Related Intervention Research for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tgence, vol. 14, no. 12, pp. 245-256, 2016.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6.14.12.245 

  27. M. S. Jeon, K. J. Kang, S. H. Park, "A Study on Pregnancy, Delivery, and Infant Rearing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vol. 36, no. 3, pp. 179-190, 2011. DOI: https://doi.org/10.5393/JAMCH.2011.36.3.179 

  28. H. H. Shin, Y. H. Shin,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ntepartum Depress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Southeast A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6, no. 2, pp. 108-118, 2015.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2.108 

  29. J. H. Lee, S. J. Jin, H. J. Ju, Y. S. Cho, "The Impa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Ability, Self-esteem,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Family Health: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4, no. 1, pp. 87-98, 2013.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87 

  30. Y. H. No, "The Study on the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f Married Women Immigrated", Graduate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Chungnam, 2011. 

  31. H. Y. Bae,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Strength of Puerperium Marriage Migrant Women",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Busan, 2016. 

  32. E. S. Kim,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Problems of Married Immigrant Women- Focused on Acculturation Stres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Graduate School o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14. 

  33. B. Y. Kim, "Action Research for Parent Empo- wer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2, no. 1, pp. 65-76, 2013.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1.65 

  34. E. J. Oh, "A Surve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a Postnatal Self-Care and Parenting Program for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Busan,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