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발생 빈도가 드문 골연골종(증)에서 기인한 속발성 연골육종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병리학적 소견과 더불어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골연골종(증)에서 발생한 속발성 연골육종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받은 14명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임상기록, 단순 방사선 및 전산화 단층촬영/자기공명영상, 병리조직 슬라이드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남성 9명, 여성 5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4세(14-75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4개월이었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소아기나 사춘기 전, 후부터 종괴를 가지고 있었으며, 방사선학적 소견은 종양의 표면이 불규칙하거나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분산된 무기질 침착 소견을 동반한 골파괴 음영 및 점상 석회화를 동반한 연부조직 종괴가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소견은 상기 방사선학적 소견을 반영하는 불균등신호 강도(inhomogeneous signal)의 불규칙한 경계를 지닌 종괴가 보이며, 연골모(cartilage cap)의 두께가 2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1 cm 이상으로 두꺼웠다. 수술적 치료는 10명에서 광범위절제술, 3명에서 변연절제술 그리고 1명에서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골연골종(증)에서 드물기는 하나 속발성 연골육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 방사선학적 그리고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주의 깊게 추시 관찰 하여, 조기에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할 경우 좋은 치료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analyze clinical,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as well as clinical outcome after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secondary chondrosarcoma arising from osteochondroma(tosi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linical records, radiographs, pathologic slide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7,8) 비록 원격 전이는 드물고, 국소재발이 발생하여도 장기 생존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기에 발견하여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국소재발을 줄이고 장기 생존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9) 이에 저자들은 골연골종에서 기인한 속발성 연골육종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소견과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속발성 연골육종은 어디에 주로 발생하는가? 골연골종은 골격계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수부나 족부의 단골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속발성 연골육종은 장골 및 치골지 등의 골반골과 대퇴골, 견갑골 등에 잘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4) 골반골에서 특히 잘 발생하는 이유는 이곳에 위치한 골연골종이 늦게 진단되기 때문일것으로 추측 된다.
연골육종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대부분 원발성으로 발생하나 드물게 속발성으로 발생하기도 하여, 전체 악성 골종양의 1%, 연골육종의 10-12% 가량을 차지한다.1) 대개 골연골종(증) 또는 다발성 내연골종(Ollier’s disease or Maffuci’s syndrome)에서 기원하고, 아주 드물게 활액막성 연골종증, 섬유성 이형성증 혹은 양성 연골종양에 대한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1,2) 속발성 연골육종은 다발성 골연골종 환자의 5-25%에서, 단발성 환자의 1-2% 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연골육종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연골육종은 악성 골종양의 10-20% 정도를 차지하고, 대퇴골, 골반골 및 상완골 등에 잘 발생되나, 수부나 족부에서의 발생은 드물다. 대부분 원발성으로 발생하나 드물게 속발성으로 발생하기도 하여, 전체 악성 골종양의 1%, 연골육종의 10-12% 가량을 차지한다.1) 대개 골연골종(증) 또는 다발성 내연골종(Ollier’s disease or Maffuci’s syndrome)에서 기원하고, 아주 드물게 활액막성 연골종증, 섬유성 이형성증 혹은 양성 연골종양에 대한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med AR, Tan TS, Unni KK, Collins MS, Wenger DE, Sim FH. Secondary chondrosarcoma in osteochnodroma: Report of 107 patients. Clin Orthop Relat Res. 2003;411:193-206. 

  2. Garrision RC, Unni KK, McLeod RA, Pritchard DJ, Dahlin DC. Chondrosarcoma arising in ostechondroma. Cancer. 1982;49:1890-7. 

  3. Nojima T, Yamashiro K, Fujita M, Isu K, Ubayama Y, Yamawaki S. A case of osteosarcoma arising in a solitary osteochondroma. Acta Orthop Scand. 1991;62:290-2. 

  4. Wuisman PI, Jutte PC, Ozaki T. Secondary chondrosarcoma in osteochondromas. Medullary extension in 15 of 45 cases. Acta Orthop Scand. 1997;68:396-400. 

  5. Barnes R, Catto M. Chnodrosarcoma of bone. J Bone Joint Surg. 1966;48:729-64. 

  6. Hong KD, Ha SS, Park YK, Lee HJ, Cha HJ. Chondrosarcoma of the Calcaneus in 13 year old Aged Patient- A Case Report -. J Korean Bone Joint Tumor Soc. 2001;7:59-63. 

  7. Campanacci M. Peripheral chondrosarcoma. In: Campanacci M, ed. Bone and soft tissue tumors. 2nd ed. New York: Springer; 1999. 335-61. 

  8. Murphey MD, Choi JJ, Kransdorf MJ, Flemming DJ, Gannon FH. Imaging of osteochondroma: variants and complications with radiologic-pathologic correlation. Radiographics. 2000;20:1407-34. 

  9. Peterson HA. Multiple hereditary osteochondromata. Clin Orthop. 1989;239:222-30. 

  10. Mirra JM. Malignant Cartilaginous Exostoses. In: Mirra JM, ed. Bone tumors: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Correlations. Vol 2. Philadelphia: Lea & Febiger; 1989. 1660- 73. 

  11. O'neal LW, Ackerman LV. Chondrosarcoma of bone. Cancer. 1952;5:551-77. 

  12. Norman A, Sissons HA. Radiographic hallmarks of peripheral chondrosarcoma. Radiology. 1984;151:589-96. 

  13. Bernard SA, Murphey MD, Flemming DJ, Kransdorf MJ. Improved differentiation of benign osteochondromas from second ary chondrosarcomas with standardized measurement of car tila ge cap at CT and MR imaging. Radiology. 2010;255:857- 65. 

  14. Pritchard DJ, Lunke RJ, Taylor WF, Dahlin DC, Medley BE. Chondrosarcoma: A clinicopathologic and statistical analysis. Cancer. 1980;45:149-57. 

  15. Dahlin DC, Henderson ED. Chondrosarcoma, a surgical and pathological problem: Review of 212 cases. J Bone Joint Surg. 1956;38:1025-38. 

  16. Evans HL, Ayala AG, Romsdahl MM. Prognostic factors in chondrosarcoma of bone: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with emphasis on histologic grading. Cancer. 1977;40:818-31. 

  17. Gitels S, Bertoni F, Picci P, Campanacci M. Chondrosarcoma of bone: The experience at the Istituto Ortopedico Rizzoli. J Bone Joint Surg. 1981;63:1248-57. 

  18. Solomon L. Chondrosarcoma in hereditary multiple exostosis. S Afr Med J. 1974;48:6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