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저자들은 양성 골종양의 이차적 악성 변화로 인한 속발성 연골육종 환자의 특성 및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183명의 연골육종 환자 중 양성 골종양의 악성 변화로 생긴 속발성 연골육종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여 환자의 특성 및 국소재발, 원격전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 속발성 연골육종 환자 18명을 원발성 병변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골연골종 4명, 다발성 골연골종 11명, 다발성 내연골종 3명이었다. 추시 기간은 평균 85개월(21-166)이었다. 최종 추시상 5년 무병 생존율은 $85.9{\pm}9.3%$였으며 평균 기능적 점수는 25.2점(84%)으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추시 기간 중 3명의 환자에서 국소 재발이 발생하였으며 원격 전이는 없었다.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양성 골종양에서 발생한 속발성 연골 육종의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해부학적 위치와 수술적 절제연이 중요한 예후 인자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analyzed the oncological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 of the chondrosarcoma arising from benign bone tumor due to malignant transform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1986 to April 2009, 18 cases were considered eligible.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이는 속발성 연골육종이 대다수 골연골종에서 발생하고 이들의 종양 성장속도가 느려 장기간의 추시를 필요로 하는 등 연구에 따른 어려움 때문으로 판단된다.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성 골종양의 이차적 악성변화에 의한 속발성 연골육종 환자의 특성,종양학적 결과 및 기능적 결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종양의 해부학 위치, 종양의 크기, 병리학적 등급, 수술적 절제연 등 예후인자에 따른 국소재발과 원격전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 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성 골종양의 이차적 악성변화에 의한 속발성 연골육종 환자의 특성,종양학적 결과 및 기능적 결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종양의 해부학 위치, 종양의 크기, 병리학적 등급, 수술적 절제연 등 예후인자에 따른 국소재발과 원격전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16) 대부분의 속발성 연골육종은 저등급이며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속발성 연골육종이 종양성장 속도가 느려 발견 되어질 당시 대부분 저등급이며 저등급일 경우 원격 전이율이 상당히 낮기 때문에 예후가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골육종이란? 연골육종은 종양 유골(tumor osteoid)의 형성 없이 연골을 형성하는 악성 종양으로 골육종 다음으로 흔한 골종양이며 대개 원발성 악성 골종양의 10-20% 정도를 차지한다. 연골육종은 선행병변 없이 발생하는 원발성 연골육종과 골연골종, 내연골종 등의 악성변화에 의한 속발성 연골 육종으로 구분하며 대부분 원발성으로 발생하나 약 15% 정도에서 속발성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속발성 연골육종의 조직학적 등급이 저등급이며 예후가 좋은 이유는? 16) 대부분의 속발성 연골육종은 저등급이며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속발성 연골육종이 종양성장 속도가 느려 발견 되어질 당시 대부분 저등급이며 저등급일 경우 원격 전이율이 상당히 낮기 때문에 예후가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2,4) 저자들의 경우 총 18명의 환자 중 15명의 환자가 조직학적으로 1등급, 3명의 환자가 2등급이었으며 3등급인 환자는 없었다.
속발성 연골육종은 어떤 질환에서 발생하는가? 연골육종은 선행병변 없이 발생하는 원발성 연골육종과 골연골종, 내연골종 등의 악성변화에 의한 속발성 연골 육종으로 구분하며 대부분 원발성으로 발생하나 약 15% 정도에서 속발성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속발성 연골육종은 주로 골연골종, 다발성 골연골종, 내연골종, 다발성 내연골종, 활막성 연골종, 연골모세포종, 연골 유점액 섬유종, 섬유성 이형성증, 파제트 병, 방사선 치료 합병증 등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Gelderblom H, Hogendoorn PC, Dijkstra SD, et al. The clinical approach towards chondrosarcoma. Oncologist. 2008;13:320-9. 

  2. Ahmed AR, Tan TS, Unni KK, Collins MS, Wenger DE, Sim FH. Secondary chondrosarcoma in osteochondroma: report of 107 patients. Clin Orthop Relat Res. 2003;411:193-206. 

  3. Lin PP, Moussallem CD, Deavers MT. Secondary chondrosarcoma. J Am Acad Orthop Surg. 2010;18:608-15. 

  4. Altay M, Bayrakci K, Yildiz Y, Erekul S, Saglik Y. Secondary chondrosarcoma in cartilage bone tumors: report of 32 patients. J Orthop Sci. 2007;12:415-23. 

  5. Bieling P, Rehan N, Winkler P, et al. Tumor size and prognosis in aggressively treated osteosarcoma. J Clin Oncol. 1996;14:848-58. 

  6. Gobel V, Jurgens H, Etspuler G, et al. Prognostic significance of tumor volume in localized Ewing's sarcoma of bon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Cancer Res Clin Oncol. 1987;113:187-91. 

  7. Dahlin DC, Henderson ED. Chondrosarcoma, a surgical and pathological problem; review of 212 cases. J Bone Joint Surg Am. 1956;38-A:1025-38. 

  8. Enneking WF, Spanier SS, Goodman MA. A system for the surgical staging of musculoskeletal sarcoma. Clin Orthop Relat Res. 1980;153:106-20. 

  9. Enneking WF, Dunham W, Gebhardt MC, Malawer M, Pritchard DJ. A system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reconstructive procedures after surgical treatment of tumor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Clin Orthop Relat Res. 1993; 286:241-6. 

  10. Murphey MD, Choi JJ, Kransdorf MJ, Flemming DJ, Gannon FH. Imaging of osteochondroma: variants and complications with radiologic-pathologic correlation. Radiographics. 2000;20:1407-34. 

  11. Coley BL, Higinbotham NL. Secondary chondrosarcoma. Ann Surg. 1954;139:547-59. 

  12. Garrison RC, Unni KK, McLeod RA, Pritchard DJ, Dahlin DC. Chondrosarcoma arising in osteochondroma. Cancer. 1982;49:1890-7. 

  13. Merchan EC, Sanchez-Herrera S, Gonzalez JM. Secondary chondrosarcoma. Four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cta Orthop Belg. 1993;59:76-80. 

  14. Schaison F, Anract P, Coste F, De Pinieux G, Forest M, Tomeno B. Chondrosarcoma secondary to multiple cartilage diseases. Study of 29 clinical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Rev Chir Orthop Reparatrice Appar Mot. 1999;85:834-45. 

  15. Wuisman PI, Jutte PC, Ozaki T. Secondary chondrosarcoma in osteochondromas. Medullary extension in 15 of 45 cases. Acta Orthop Scand. 1997;68:396-400. 

  16. Evans HL, Ayala AG, Romsdahl MM. Prognostic factors in chondrosarcoma of bone: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with emphasis on histologic grading. Cancer. 1977;40:818-31. 

  17. Flemming DJ, Murphey MD. Enchondroma and chondrosarcoma. Semin Musculoskelet Radiol. 2000;4:59-71. 

  18. Marcove RC, Mike V, Hutter RV, et al. Chondrosarcoma of the pelvis and upper end of the femur.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time in one hundred and thirteen cases. J Bone Joint Surg Am. 1972;54:561-72. 

  19. Lee FY, Mankin HJ, Fondren G, et al. Chondrosarcoma of bone: an assessment of outcome. J Bone Joint Surg Am. 1999;81:326-38. 

  20. Gitelis S, Bertoni F, Picci P, Campanacci M. Chondrosarcoma of bone. The experience at the Istituto Ortopedico Rizzoli. J Bone Joint Surg Am. 1981;63:1248-57. 

  21. Pierz KA, Womer RB, Dormans JP. Pediatric bone tumors: osteosarcoma ewing's sarcoma, and chondrosarcoma associated with multiple hereditary osteochondromatosis. J Pediatr Orthop. 2001;21:4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