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C구조의 내진설계를 위한 감쇠비
Damping Ratios for Seismic Design of SC Structures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2 no.5 = no.108, 2010년, pp.487 - 496  

이승준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  김원기 (호서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국의 NRC(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에서 발간된 "Regulatory Guide 1.61 of United States NRC(2007)"는 원전구조물의 내진설계에 적용되는 구조감쇠비를 철근콘크리트(이하 RC)구조의 경우 4%(OBE)와 7%(SSE), 강구조의 경우 3%(OBE)와 4%(SSE)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개발된 강판-콘크리트(이하 SC)구조의 경우 구조감쇠비에 대한 규정이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RC구조와 SC구조감쇠비의 상대적 차이를 비교함으로서 SC구조의 감쇠비를 조사하는 것이다. 4개의 실험체, RC-S, RC-M, SC-S 그리고 SC-M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뒷 글자 S와 M은 실험체의 거동이 전단에 의해 지배되는 것과 휨에 의해 지배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방법은 엑츄에이터와 실험체의 질량사이를 연결하는 인장시험편이 파단되면서 실험체의 자유진동을 발생하게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실험데이타를 분석하여 하중의 크기에 따른 기본진동수와 감쇠비를 결정하였다. 4개 실험체의 감쇠비를 비교분석하여 SC구조의 감쇠비는 OBE해석에 RC구조와 동일하게 4%를 제안하였으며 SSE해석의 경우 RC구조의 감쇠비보다 1% 적은 6%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ructural damping ratios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 structures are specified in Regulatory guide 1.61 of the United States NRC for RC structures of 4%(OBE) and 7%(SSE), and for steel structures of 3%(OBE) and 4%(SSE), but not for steel-plate concrete (SC) structures that have b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C구조의 내진설계를 위한 감쇠비를 제시할 목적으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RC구조와 SC구조의 실험체에 대한 자유진동(free vibration)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SC구조의 감쇠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예비 실험으로서 실험체의 상부 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좌우에 가속도계를 부착하여 상부 질량의 비틀림에 의한 진동모드를 조사하였으나 비틀림에 의한 영향은 무시할 정도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체를 설치한 실험실의 바닥과 실험체의 하부플레이트에 가속도계를 설치하여 이 부분의 진동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림 9는 실험실 바닥(CH2)과 실험체 하부 플레이트(CH1)에 설치된 가속도계를 보여주고 있다.
  • 본 실험연구는 실험체가 자유진동을 할 때 단자유도계의 거동을 할 것으로 분석한 후 계획되었다. 실험으로부터 가속도를 측정하여 시간이력-가속도 곡선으로부터 실험체의 감쇠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 설계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원전구조물의 감쇠비는 완성될 원전구조물의 내진설계에 적용하기 위하여 결정된 값이다. 본 실험연구의 개념은 SC구조의 절대적인 감쇠비를 결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RC실험체와 SC실험체에 대한 실험결과인 감쇠비의 상대적 차이를 분석하여 아직 아무런 규정이 없는 SC구조의 감쇠비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실험은 RC구조와 SC구조의 감쇠비를 조사하고자 계획되었다. 구조물의 정확한 감쇠비의 추정은 매우 중요하다.
  • 본 연구는 원전 구조물에 적용하고자 개발한 SC구조의 감쇠비를 추정하고자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기존의 RC구조와 대비하여 SC구조의 내진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감쇠비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C구조의 내진설계를 위한 감쇠비를 제시할 목적으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RC구조와 SC구조의 실험체에 대한 자유진동(free vibration)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SC구조의 감쇠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연구는 실험체가 자유진동을 할 때 단자유도계의 거동을 할 것으로 분석한 후 계획되었다. 실험으로부터 가속도를 측정하여 시간이력-가속도 곡선으로부터 실험체의 감쇠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균열단면의 강성산정에서 휨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만 가정하였음. 즉 전단에 의한 콘크리트균열은 설계기준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서 콘크리트의 비균열단면으로 가정하였음.
  • 61 of United States NRC(2007)에서 규정하고 있는 원전구조물의 OBE해석과 SSE해석을 위한 하중의 크기를 기술하고 있는 문헌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OBE해석과 SSE해석에 해당하는 하중의 크기를 설계하중의 0.3배와 0.7배로 가정하였다. 표 5는 하중의 크기에 따른 감쇠비의 직선식으로부터 하중크기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으로 유가의 상승이 일으킨 영향은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유가의 상승으로 대체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원자력발전소의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현재 원전구조물의 구조체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이하 RC구조)로 건설되고 있다.
원전구조물의 구조체는 무엇으로 건설되고 있는가? 또한 원자력발전소의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현재 원전구조물의 구조체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이하 RC구조)로 건설되고 있다. RC구조는 내진성능을 포함한 여러 가지 구조적 장점을 갖고 있어서 세계적으로 원전구조물에 이용되고 있는 구조형식이다.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어떠한 장점을 가지는 구조형식인가? 현재 원전구조물의 구조체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이하 RC구조)로 건설되고 있다. RC구조는 내진성능을 포함한 여러 가지 구조적 장점을 갖고 있어서 세계적으로 원전구조물에 이용되고 있는 구조형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대한전기협회(2009) 전력산업기술기준 : 원전 SC구조 한계상태설계지침(안), KEPIC-SNG-09. 

  2. 이승준, 최병정, 김태경(2009) 수직보강된 SC벽체의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제21권, 제3호, pp.277-287. 

  3. 일본전기협회(1987) 원자력발전소내진설계기술지침 (JEAG 4601-11987. 

  4. 일본전기협회(2005) 강판콘크리트구조내진설계지침 (JEAG 4618-2005. 

  5. 阿部琢志, 山下利夫, 田淵正昭, 古和田明, 原潔, 山口恒雄 (1996) 강판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실험적 연구(part 1), AIJ대회 학술강연개요집, pp.1069-1070. 

  6. 船越淳久, 松本尙志, 松尾一平, 秋田昇道, 原潔, 林信之 (1997) 강판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실험적연구(복원력특성실험, 실험 계획과 결과개요), AIJ대회학술강연개요집, pp.1063-1064. 

  7. 林信之, 船越淳久, 秋田昇道, 松本尙志, 宇佐美滋, 松尾一平, (1997) 강판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실험적연구(복원력특성 실험, 하중변형관계의 검토), AIJ대회학술강연개요집, pp.1065-1066. 

  8. 林信之, 船越淳久, 秋田昇道, ?田朝浩, 鈴木紀雄, 松尾一平, (1998) 강판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실험적연구(복원력특성 실험, 전단종국내력평가법), AIJ대회학술강연개요집, pp. 1123-1124 

  9. 松尾一平, 船越淳久, 秋田昇道, ?田朝浩, 原潔, 宇佐美滋, (1998) 강판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실험적연구(복원력특성 실험, 휨과전단복원력특성), AIJ대회학술강연개요집, pp. 1127-1128. 

  10. ACI (2005) Building Code Requirement for Structural Concrete and Commentary, ACI Committee 318. 

  11. AIJ (1993) AIJ Standard for Structural Calcu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IJ, version 6. 

  12. AISC (2005)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Chicago. 

  13. Akiyama, H. et al. (1989) 1/10th Scale Model test of Inner Concrete Structure Composed of Concrete Filled Steel Bearing Wall, SMiRT 10. 

  14. CORUS (2004) Bi-Steel Design and Construction Guide, UK. 

  15. Fukumoto, T. (1987) Concrete Filled Steel Bearing Walls, IABSE Symposium Report, Volume 55, pp.467-472. 

  16. Hart, G.C. and Vasudevan, R. (1975) Earthquake Design of Buildings:Damping,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 ASCE, Vol. 101, No. ST1, pp.11-30. 

  17. Hudson, D.E. (1977) Dynamic Tests of Full-Scale Structures, Journal of the Engineering Mechanics Division, ASCE, Vol. 103, No. EM6, pp.1141-1157. 

  18. Raggett, J.D. (1975) Estimating Damping of Real Structures,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 ASCE, Vol. 101, No. ST9, pp.1823-1835. 

  19.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2007) Damping Values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Regulatory Guide 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