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참나무 잎의 열분해 및 연소 특성 연구
Pyrolysi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n Oriental Oak Leaf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1 no.5, 2010년, pp.575 - 580  

서영훈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진모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화학공학과) ,  이명욱 (한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진수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승수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전국토의 70%가 산림지역으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산불발생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그 규모 또한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산림 내에 퇴적된 낙엽, 초본류, 침엽수 및 활엽수 등이 산불발생 시 매개체가 되며, 이들 수종별 연소 및 열분해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발표에서는 국내 산림의 대표적 활엽수인 굴참나무 잎을 대상으로 TGA를 이용해 열분해반응 및 연소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굴참나무 잎은 $239^{\circ}C$ 부근에서 발화가 시작되며 열분해는 $250^{\circ}C$에서부터 시작되었다. TGA 분석으로부터 얻은 실험데이터는 미분법을 적용하여 전화율 변화에 따라 활성화에너지와 전지수인자를 계산하였다. 열분해반응에서 활성화에너지는 전화율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연소과정에서의 활성화에너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fires in Korea, having forest coverage of 70%, have kept increasing in number and scale since the middle of 1990's. Although deposited fallen leaves in forests such as herbaceous plants, conifers, and broadleaf trees are used as a medium for forest fires, the pyrolysis and combustion chara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불이 일어났을 때 산불의 지중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퇴적된 나뭇잎 중 대표적인 굴참나무 잎을 대상으로 열분해 및 연소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기초연구와 향후 국내 산림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수목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산불발생 시 산불이동의 매개체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산림구성물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산불예방을 위한 조림 등 산림자원의 효율적 관리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산불 발생 시 지중화와 연관성이 큰 굴참나무 잎을 대상으로 연소 및 열분해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향후 산불예방을 위한 조림 등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우리나라는 1990년 중반 이래 대형 산불 발생에 대한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산불발생 시 수종별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산림 중 대표적 활엽수인 굴참나무 잎을 대상으로 열분해와 연소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참나무 잎 발화 후 연소 과정에서 열중량곡선의 기울기가 변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반면, 연소의 경우 239 ℃에서 발화가 되었으며, 발화 후 연소되는 과정에서 열중량곡선의 기울기가 변하였다. 이것은 반응과정 중 무게감소가 열분해와는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굴참나무 잎의 연소와 열분해과정에서 전화율이 10∼80%일 때 각각의 활성화에너지 분포를 계산하였다.
국내 산불의 계절별 발생 빈도는 어떠한가? 산불은 대기중의 습도, 기온, 풍속, 계절적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불은 봄철에 81%, 겨울철에 16%, 가을과 여름에 각각 2%, 1%가 발생하며, 기상조건과 매우 밀접함 관계를 갖고 있다[1]. 산림은 수목이 집단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토지, 임목과 임지를 합한 것이다.
지중화의 특성은 무엇인가? 수간화는 서 있는 나무의 줄기를 태우며, 나무의 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만을 태우며 지나가는 산불이다. 그리고 지중화는 마른 지피물층과 이탄층, 부식층에서 일어나는 불로 나무의 뿌리를 죽이는 특성이 있다. 이 경우 지표에 연료가 쌓여있기 때문에 산소 공급량이 적고 바람으로부터 보호되어 연소속도가 느리지만 지중화가 발생할 경우 산불 진화 뒷불정리가 어려운 특징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ttp://sanfire.forest.go.kr/foahome. 

  2. M. W. Lee, Analysis of occurance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of Yeongdong and Yeongseo regions in Gangwon-do,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Project No. 09-05 (2009). 

  3. D. L. Fry and S. L. Stephens, Forest Ecol. Manag., 223, 428 (2006). 

  4. K. L. Metlen and C. E. Fiedler, Forest Ecol. Manag., 222, 355 (2006). 

  5. R. P. Guyette and M. A. Spetich, Forest Ecol. Manag., 180, 463 (2003). 

  6. M. M. Boer, R. J. Sadler, R. S. Wittkuhn, L. McCaw, and P. F. Grierson, Forest Ecol. Manag., 259, 132 (2009). 

  7. S.-Y. Lee and H.-P. Lee, J. Korean Institute Fire Sci. Eng., 20, 54 (2006) 

  8. H.-P. Lee, S.-Y. Lee, Y.-J. Park, J. Korean Institute Fire Sci. & Eng., 23, 21 (2009). 

  9. Y. J. Chung, J. Ind. Eng. Chem., 16, 15 (2010). 

  10. Annual Book of ASTM Standard (1997). 

  11. Y.-H. Park, J. Kim, S.-S. Kim, and Y.-K. Park, Bioresource Technol., 100, 400 (2009). 

  12. S.-S. Kim and F. A. Agblevor, Waste Manage., 27, 135 (2007). 

  13. A. Demirbas, Fuel, 76, 431 (1997). 

  14. M. Muller-Hagedorn, H. Bockhorn, L. Krebs, and U. Muller, J. Anal. Appl. Pyrol., 68-69, 231 (2003). 

  15. T. B. Reed and S. Gaur, Biomass Bioenerg., 7, 143 (1994). 

  16. T. Fisher, M. Hajaligol, B. Waymack, and D. Kellogg, Ind. Eng. Chem. Res., 36, 1444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