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정보처리학회논문지. The KIPS transactions. Part A. Part A, v.17A no.5, 2010년, pp.213 - 220
김준모 (단국대학교 컴퓨터학부) , 김인범 (김포대학 IT학부)
본 논문에서는 스타이너 트리를 이용하여 최소 길이로 입력 선분들을 모두 연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선분은 통신선, 도로 및 철도망 또는 움직이는 물체의 궤적 등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이러한 선분들을 최소 비용으로 연결하는 응용 등에 활용가능하다. 입력 선분의 수와 각 선분 당 최대 연결 선분의 수를 입력 인자로 설정한 실험 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최소 신장 트리를 이용한 방법과 비교하여 연결 생성 시간은 평균 192.0% 증가하였으나, 연결 길이는 평균 6.8%에 감소하였다. 이는 연결 방법을 찾는 시간보다는 연결 길이를 단축하는 것이 더 중요한 응용에 제안된 방법이 유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In this paper, a mechanism connecting all input edges with minimum length through Steiner tree is proposed. Edges are convertible into communication lines, roads, railroads or trace of moving object. Proposed mechanism could be applied to connect these edges with minimum cost. In our experiments wh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입력 선분 연결 문제가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ad-hoc 네트워크, 회로 설계, 항로 결정, 도로 연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본 논문에서 스타이너 포인트를 적절히 생성하고 이를 이용한 스타이너 트리를 활용하여 최소 비용으로 입력 선분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입력 선분은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선 또는 동적 객체의 정해진 이동궤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선분 연결 문제는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ad-hoc 네트워크, 회로 설계, 항로 결정, 도로 연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 |
선분의 정의는 무엇인가? | 선분(edge)은 정적으로 연속적으로 인접한 노드들의 집합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것은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선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적으로 공간 또는 평면상에 위치한 특정 노드의 예측 가능한 이동궤적이 될 수 있다. | |
연결선이란 무엇인가? | 이것은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선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적으로 공간 또는 평면상에 위치한 특정 노드의 예측 가능한 이동궤적이 될 수 있다. 연결선(connecting line)은 이러한 선분(edge)을 서로 연결하는 선으로, 통신선 또는 경로가 이미 예정된 동적 장치들의 효율적인 연결에 활용될 수 있다. 입력 선분(input edge)들의연결은 동적 라우팅, ad-hoc 네트워크, 회로 설계, 항로 결정, 도로 연결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
F.K. Hwang, D.S. Richards and P. Winter, “The Steiner Tree Problem,” Annals of Discrete Mathematics, Vol.53, North-Holland, 1992.
W. Shi and C. Su, “The Rectilinear Steiner Arborescence Problem is NP-Complete,” Proceedings of the Eleventh Annual ACM-SIAM Symposium on Discrete Algorithms, pp.780-787, 2000.
http://en.wikipedia.org/wiki/Steiner_tree, December, 2009.
http://en.wikipedia.org/wiki/Minimum_spanning_tree, December, 2009.
R.L. Grahan and P. Hell, “On the History of the Minimum Spanning Tree Problem,” Annals of the History of Computing, Vol.7, No.1, pp.43-57.
T.H. Cormen, C.E. Leiserson, R.L. Rivest and C. Stein, Introduction to Algorithm, 2ndEd., MITPress, 2001.
A. Hayrapetyan, C. Swamy and E. Tardos, “Network Design for Information Networks,” Proceedings of the Sixteenth Annual ACM-SIAM Symposium on Discrete Algorithms, pp.933-942, 2005.
김재각, 김인범, 김수인,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근사 최소 스타이너 트리를 이용한 집중기 및 중계기의 효율적인 배치와 연결, 한국통신학회논문지: 네트워크 및 서비스, Vol.34 No.10, pp.994-1003, 2009.
B. Bell, “Steiner Minimal Tree Problem”, http://www.css.taylor.edu/-bbell/steiner/, January, 199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