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자유단조 프레스와 방사형 단조 프레스의 기공 압착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Pore Closing in Open Die Forging by Conventional Forging Press and Radial Forging Machine 원문보기

소성가공 = Transactions of materials process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s, v.19 no.7 = no.121, 2010년, pp.399 - 404  

김성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이민철 (경상대학교) ,  장성민 ((사)경상대 수송기계부품기술혁신센터) ,  엄재근 ((사)경상대 수송기계부품기술혁신센터) ,  전만수 (경상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opose an analysis model for simulating the detailed procedure of pore closing in open die forging of shafts. In the analysis model, an artificial symmetric plane is used, on which initial pores are located to be traced. The analysis model is employed to carry out three-dimensional simula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대칭면을 가진 해석모델을 제안한다. 대칭면에 기공을 적절한 위치에 분포시켜 이를 추적함으로써 기공의 소멸 과정을 효과적으로 해석하고 관찰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형 축의 제조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축의 자유단조 시에 발생하는 기공의 압착 과정의 해석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축의 자유단조 시 기공 압착 관점에서 일반자유단조 프레스와 방사형 단조기를 비교한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이 해석모델의 제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기공이 적절한 크기에 이르면 압착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해석 중에 기공 상의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이 4mm 이하에 이르면 기공이 닫힌 것으로 가정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가정은 요소 수 또는 요소망생성 기술의 문제이지, 해석모델이 갖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는 아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박용 엔진 부품이나 풍력발전용 대형 부품은 무엇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는가? 선박용 엔진 부품이나 풍력발전용 대형 부품은 자유단조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으며, 단강품으로 분류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20년간의 조선산 업의 눈부신 발전으로 대형 자유단조업의 기반을 구축하였고, 최근의 풍력발전 부품산업의 호황으로 도약의 전기를 맞고 있다.
단강품은 어떻게 제조하고 있는가? 우리나라는 최근 20년간의 조선산 업의 눈부신 발전으로 대형 자유단조업의 기반을 구축하였고, 최근의 풍력발전 부품산업의 호황으로 도약의 전기를 맞고 있다. 단강품은 자유단조의 기본요소인 업셋팅과 코깅 공정을 통하여 주조로 제작된 소재를 반복적으로 타격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고 있다.
자유단조의 목적에는 소재를 절약하는 것도 있지만, 품질의 개선도 매우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인 이유는? 자유단조의 목적에는 소재를 절약하는 것도 있지만, 품질의 개선도 매우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인고트 내부, 특히 중심 부근에 기공과 결함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유단조 중 기공의 압착이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 Tomlinson, J. D. Stringer, 1958, The Closing of Internal Cavities in Forgings by Upsetting, J. Iron. Steel Res. Int., March, pp. 209-217. 

  2. R. Kopp, E. Ambaum, 1976, Analysis of Void Closure in Open-Die Forging, Int. J. Mach. Tools Manuf., Vol. 30, pp. 65-75. 

  3. E. Erman, N. M. Medei, A. R. Roesch, D. C. Shah, 1989, Physical Modeling of Blocking Processes in Open-Die Press Forging, J. Mech. Working Technol., Vol. 19, pp. 165-194. 

  4. E. Erman, N. M. Medei, A. R. Roesch, D. C. Shah, 1989, Physical Modeling of Upsetting Processes in Open-Die Press Forging, J. Mech. Working Technol., Vol. 19, pp. 195-210. 

  5. M. Tanaka, S. Ono, M. Tsuneno, T. Ivadate, 1987, An Analysis of Void Crushing during Flat Die Free Forging, Adv. Technol. Plast., Vol. 11, pp. 1035-1042. 

  6. U. Stahlberg, H. Keife, M Lundberg, A. Melander, 1980, A Study of Void Closure during Plastic Deformation, J. Mech. Working Technol., Vol. 4, pp. 51-63. 

  7. K. N. Shah, B. V. Kiefer, J. J. Gavigan, 1986, Finite Element Simulation of Internal Void Closure in Open-Die Forging, Mater. Manuf. Processes, Vol. 1, pp. 501-516. 

  8. S. P. Dudra, Y. T. Im, 1990, Investigation of Metal Flow in Open-Die Forging with Different Die and Billet Geometries, J. Mater. Process. Technol., Vol. 21, pp. 143-154. 

  9. B. V. Kiefer, K. N. Shah, 1991, Three-Dimensional Simulation of Open-Die Press Forging, J. Eng. Mater. Technol., Vol. 112, pp. 477-485. 

  10. C. Y. Park, J. R. Cho, D. Y. Yang, D. J. Kim, I. S. Park, 1992, Analysis of Void Closure in the Upsetting Process of Large-Ingot, Trans. Kor. Soc. Mech. Eng., Vol. 16, No. 10, pp. 1877-1889. 

  11. J. R. Cho, D. K. Kim, Y. D. Kim, B. Y. Lee, 1996, Study of Internal Void Closure in Slab Ingot during Hot Plate Forging, Tran. Mater. Process., Vol. 5, No. 1, pp. 18-26. 

  12. C. Y. Park, D. Y. Yang, 1996, Large Pores in Forg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of squeezed GLOBAL/LOCAL Scheme, Proc. Kor. Soc. Precision Eng., pp. 819-823, 

  13. M. S. Chun, J. S. Ryu, Y. H. Moon, 2004, FEM Analysis of Void Closure Behavior during Open Die Forging of Rectangular Billets, Trans. Mater. Process., Vol. 13, No. 2, pp. 148-153. 

  14. Y. C. Kwon, J. H. Lee, S. W. Lee, Y. S. Jung, N. S. Kim, Y. S. Lee, 2007, A Study on Cavity Closure Behavior during Hot Open Forging Process, Trans. Mater. Process, Vol. 16, No. 4, pp. 293-298. 

  15. M. C. Lee, M. S. Joun, J. K. Lee, 2007, Adaptive tetrahedral element generation and refine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bulk metal forming simulation, Finite Elem. Anal. Des. Vol. 43, No. 10, pp. 788-802. 

  16. http://www.afdex.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