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묘포에서 질소, 인, 칼륨 비료주기가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의 생장 및 양분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Tissue Nutrient Responses of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Fertilized with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at a Nursery Culture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1=no.188, 2010년, pp.85 - 95  

박병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변재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김우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료주기는 묘목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제림 육성 수종인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를 대상으로 포지에서 질소, 인, 칼륨 비료주기가 묘목의 생장과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비료주기에 대한 생장반응과 양분 동태를 각각 품질지수(Dickson's quality index, QI)와 양분벡터분석(Vector diagno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는 질소 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수고와 근원경 생장을 보였으며, 잣나무의 경우 질소 비료 처리구에서 수고 생장이 약간 감소했고, 전나무는 비료주기 효과가 없었다. 물푸레나무의 QI는 질소 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칼륨 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들메나무의 QI도 질소 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다. 잣나무와 전나무의 QI는 비료주기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인 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질소 비료주기는 대조구에 비하여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의 건중량을 각각 43, 41, 26, -9% 증가시켰고, 인 비료주기는 -2, 4, -11, -10% 증가시켰으며, 칼륨 비료주기는 -25, 23, 18, -11% 증가시켰다. 비료주기에 대한 양분벡터반응은 수종과 양분종류에 따라 상이한 경향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물푸레나무의 경우 질소 비료주기에 대해 양분 N은 농도 변화 없이 양분함량이 증가하는 "양분최적" 상태를 보이고, 양분 P는 농도와 양분함량이 모두 감소하고, 양분 K는 농도 변화 없이 양분함량만 감소했다. 잣나무의 경우 질소 비료주기에 대해 양분 N, P, K 농도는 감소하고 양분함량은 증가하는 "양분희석" 현상이 나타났으며, 인 비료주기는 양분 N, P, K 농도 변화 없이 양분 함량이 감소하는 "과량집적" 현상이 나타났다. 묘목 생산 단계에서 우량한 것으로 판정된 묘목이 산지에서도 높은 적응성을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하지만,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경우 질소 비료주기 처리에서 높은 산지 적응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measure both growth performances and nutrient responses of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which are commercially planted in Korea, to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ation.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생장과 같은 형태적 측정뿐 아니라 양분벡터 분석을 통한 묘목 품질 정량화 방법을 제시했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앞으로 여러 수종과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묘목 품질을 정확히 정량화할 수 있는 형태적, 생리생태적 특성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비료주기 효과로 나타나는 식물체 생장 증가와 양분상태 개선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반응에 대해 정량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으로 계량된 결과는 그리 많지 않다(Timmer and Stone, 1978; Imo and Timmer, 1999; Quoreshi and Timmer, 2000). 이 연구에서는 양분벡터분석을 통해 묘목의 생장과 양분상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양분벡터분석은 식물체 양분농도와 양분함량, 생장 사이의 복잡한 상관관계를 주관적 편견없이 해석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경제림 육성 수종인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질소, 인, 칼륨 비료주기 효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묘목 품질지수와 양분벡터분석을 통하여 비료주기 처리와 수종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질소 13.8 g m−2의 비료주기가 적은 양 또는 과량으로 묘목에 영향을 안줄 수도 있고 피해를 입힐 수도 있었을 것이다.
  • 그럼에도 잣나무와 전나무에서 질소 비료주기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를 여러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 토양 내 질소 과다로 질소가 더 이상 생장 제한 인자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 포지에서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는 질소 비료주기 처리구에서 높은 생장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토양 내 과다 질소가 원인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묘목에 비료주기를 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이득은 무엇인가? , 1999; Jacobs and Timmer, 2005). 묘목에 비료주기를 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이득으로는1) 묘포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고, 2) 묘목 생장을 개선하며, 3) 묘목의 내건성, 내한성, 내병성을 키워주고, 4) 묘목을 옮겨 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5) 묘목의 초기 활착률을 증가시켜 옮겨심기 성공률을 높여준다(Carlson, 1981; Imo and Timmer, 1999; Quoreshi and Timmer, 2000). 묘목의 형태적, 생리적 특성은 묘목의 높은 생존률, 생장 효율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성공적인 조림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비료주기는 어떠한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는가? 비료주기는 묘목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제림 육성 수종인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를 대상으로 포지에서 질소, 인, 칼륨 비료주기가 묘목의 생장과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묘목 품질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인 지상부 건중량 비율은 어떠한 순서를 보이는가? 서로 다른 처리에 따른 수고와 근원경의 비율을 보면, 비료주기 처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이 없었지만 수종 간에 물푸레나무 > 들메나무 > 잣나무 > 전나무의 순서를 보이고 있다(Table 4). 묘목 품질을 나타내는 또 하나의 척도인 지하부와 지상부 건중량 비율은 들메나무 > 물푸레나무 > 전나무 > 잣나무 순서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yala, J., Dianda, M., Wilson, J., Ouedraogo, S. and Sanon, K. 2009. Predicting field performance of five irrigated tree species using seedling quality assessment in Burkina Faso, West Africa. New Forests 38: 309-322. 

  2. Brady, N.C. and Weil, R.R. 2002.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13rd edition. Prentice Hall, New York, USA. pp 960. 

  3. Carlson, W.C. 1981. Effects of controlled-release fertilizers on the shot and root development of outplanted western hemlock (Tsuga heterophylla Raf. Sarg.) seedling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1: 752-757. 

  4. Davis, A.S. and Jacobs, D.F. 2005. Quantifying root system quality of nursery seedlings and relationship to outplanting performance. New Forests 30: 295-311. 

  5. De Visser, P.H.B. and Keltjens, W.G. 1993.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Douglas-fir seedlings at different rates of ammonium supply, with or without additional nitrate and other nutrients. Netherland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41: 327-341. 

  6. Deans, J.D., Mason, W.L., Cannell, M.G.R., Sharpe, A.L. and Sheppard, L.J. 1989. Growing regimes for bare-root stock of Sitka spruce, Douglas fir and Scots pine. 1. Morphology at the end of the nursery phase. Forestry Supplement 62: 53-60. 

  7. Haase, D.L. and Rose, R. 1995. Vector analysis and its use for interpreting plant nutrient shifts in response to silvicultural treatments. Forest Science 41: 54-66. 

  8. Imo, M. and Timmer, V.R. 1999. Vector competition analysis of black spruce seedling responses to nutrient loading and vegetation control.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9: 474-486. 

  9. Ingestad T. and Agren G.I. 1992. Theories and methods on plant nutrition and growth. Phsiologia Plantarum 84: 177-184. 

  10. Jacobs, D.F. and Timmer, V.R. 2005. Fertilizer-induced changes in rhizosphere electrical conductivity: relation to forest tree seedling root system growth and function. New Forests 30: 147-166. 

  11. Kang, H.S., Lim, J.H., Chun, J.H., Lee, I.K., Kim, Y.K. and Lee, J.H. 2007. Invasion of Korean pine seedlings originated from neighbor plantations into the natural matur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Gwangneung,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1): 107-114. 

  12. Marschner, H. 2002.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2nd edi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pp 889. 

  13. Quoreshi, M. and Timmer, V.R. 2000. Early outplanting performance of nutrient-loaded containerized black spruce seedlings inoculated with Laccaria bicolor: A bioassay study.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0: 744-752. 

  14. Salifu, K.F. and Timmer, V.R. 2003. Nitrogen retranslocation response of young Picea marianna to nitrogen-15 supply.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7: 309-317. 

  15. Shin, J.A., Son, Y., Hong, S.G. and Kim, Y.K. 1999. Effect of N and P fertilization on nutrient use efficiency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eedling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8(4): 304-309. 

  16. Son, Y., Kim, Z.S., Hwang, J.H. and Park J.S. 1998. Fertilization effects on growth, foliar nutrients and extract concentrations in ginkgo seedling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7(1): 98-105. 

  17. Teng, Y. and Timmer, V.R. 1995. Rhizosphere phosphorus depletion induced by heavy nitrogen fertilization in forest nursery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9: 227-233. 

  18. Timmer, V.R. 1996. Exponential nutrient loading: a new fertilization technique to improve seedling performance on competitive sites. New Forests 13: 275-295. 

  19. Timmer, V.R. and Stone, E.L. 1978. Comparative foliar analysis of young balsam fir fertilized with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lim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42: 125-130. 

  20. Vitousek, P.M., Cassman, K., Cleveland, C., Crews, T., Field, C.B., Grimm, N.B., Howarth, R.W., Marino, R., Martinelli, L., Rastetter, E.B. and Sprent, J.I. 2002. Towards an ecological understanding of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Biogeochemistry 57-58(1): 1-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