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7가지 시비처리가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 묘목의 생장 및 양분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7 Fertilizers on the Growth and Nutrient Concentrations of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2, 2016년, pp.177 - 185  

한시호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변재경 (한국임업진흥원) ,  조민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안지영 (교토대학교 산림생물자원학과) ,  박관수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김세빈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박병배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비는 고정포지에서 연속적인 묘목 생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양분 부족을 예방하고 건전한 묘목 생산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무처리인 대조구를 포함하여, 단일원소비료 질소(N $13.8g{\cdot}m^{-2}$), 인(P $6.1g{\cdot}m^{-2}$), 칼륨(K $7.5g{\cdot}m^{-2}$) 처리와 NPK복합비료 1x(N $6.9g{\cdot}m^{-2}$, P $3.05g{\cdot}m^{-2}$, K $3.75g{\cdot}m^{-2}$), 2x(1x의 2배량), 4x(1x의 4배량) 처리가 묘목의 생장과 양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양분벡터분석법(Vector diagnosis method)으로 정량화하였다. 토양 pH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치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은 질소와 복합비료 처리에서 감소하였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는 질소와 복합비료 시비에서 수고와 근원경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잣나무와 전나무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는 대조구에 비해 복합비료 처리에서 약 2배의 물질량 증가를 보였다. 양분벡터반응은 수종과 시비처리에 따라 상이한 경향을 보였는데, 물푸레나무는 식물체 내 질소 농도와 함께 질소함량이 감소되는 "양분희석" 현상이 나타났고, 식물체 인과 칼륨은 4x처리에서 식물체 농도 변동 없이 함량이 증가하는 "양분최적" 현상을 보였다. 들메나무는 질소, 인, 칼륨의 단일원소비료 처리에서 건중량의 변화 없이 질소 함량을 감소시키는 "체내이동" 현상을 보였으며, 복합비료 처리는 정도는 다르지만 "양분희석"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양묘과정에서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는 적절한 시비가 요구되지만, 잣나무와 전나무는 시비가 필수적이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rtilization is required to keep the balance of tissue nutrients and to produce high quality seedlings at the permanent nurse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optimum fertilization method for Fraxinus rhynchophylla, F.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with v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제림 육성 수종이면서 시비량과 원소비율에 반응이 다른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단일원소비료인 질소, 인, 칼륨 처리와 NPK 복합비료 처리량에 따른 생장 및 양분변화를 양분벡터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수종에 맞는 적절한 시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분벡터분석이란 무엇인가? 양분벡터분석(Vector diagnosis analysis)은 시비에 따른 묘목의 양분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한대수종을 대상으로 개발된 기술이며(Timmer and Stone, 1978), 식물체의 건중량, 양분 농도, 식물체가 흡수한 양분량의 변화를 한 지면에서 동시에 생장과 양분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양분벡터분석 방법은 양묘장 포지의 양분균형, 혼농임업에서 양분동태 파악에 활용되어 왔다(Haase and Rose, 1995; Issac and Kimaro, 2011).
양분벡터분석 방법의 활용 분야는? 양분벡터분석(Vector diagnosis analysis)은 시비에 따른 묘목의 양분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한대수종을 대상으로 개발된 기술이며(Timmer and Stone, 1978), 식물체의 건중량, 양분 농도, 식물체가 흡수한 양분량의 변화를 한 지면에서 동시에 생장과 양분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양분벡터분석 방법은 양묘장 포지의 양분균형, 혼농임업에서 양분동태 파악에 활용되어 왔다(Haase and Rose, 1995; Issac and Kimaro, 2011). 국내에서는 활엽수와 침엽수 묘목을 대상으로 질소, 인, 칼륨 비료의 시비효과를 정량화하는데 양분벡터분석이 시도되었다(Park et al.
알맞은 비료주기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 1998). 토양환경과 수종에 맞는 시비는 묘목 생산으로 인해 부족해진 양분을 공급하고, 묘목 생장의 개선, 묘목의 내건성, 내한성, 내병성을 증가시키며, 묘목을 이식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를 저감시켜 초기 활착률을 증가시킨다(Carlson, 1981; Imo and Timmer, 1999; Quoreshi and Timmer,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drich, D.G., Parker, E.R., and Chapman, H.D. 1945. Effects of several nitrogenous fertilizers and soil amendments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n irrigated soil. Soil Science 59(4): 299-312. 

  2. Andersen, L. and Hansen, C.W. 2000. Leaching of nitrogen from container plants grown under controlled fertigation regimes. Journal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18: 8-12. 

  3. Bayala, J., Dianda, M., Wilson, J., Ouedraogo, S., and Sanon, K. 2009. Predicting field performance of five irrigated tree species using seedling quality assessment in Burkina Faso, West Africa. New Forests 38: 309-322. 

  4. Brady, N.C. and Weil, R.R. 2002.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Pearson Education, Inc. New Jersey. pp. 960. 

  5. Broschat, T.K. 1995. Nitrate, phosphate, and potassium leaching from container-grown plants fertilized by several methods. Hort Science 30: 74-77. 

  6. Byun, J.K., Kim, Y.S., Yi, M.J., Son, Y., Kim, C.S., Jeong, J.H., Lee, C.H., and Jeomg, Y.H. 2007. Growth response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Quercus acutissima seedlings at various levels of fertiliz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3): 693-698. 

  7. Carlson, W.C. 1981. Effects of controlled-release fertilizers on the shot and root development of outplanted western hemlock (Tsuga heterophylla Raf. Sarg.) seedling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1: 752-757. 

  8. Haase, D.L. and Rose, R. 1995. Vector analysis and its use for interpreting plant nutrient shifts in response to silvicultural treatments. Forest Science 41: 54-66. 

  9. Issac, M.E. and Kimaro, A.A. 2011. Diagnosis of nutrient imbalances with vector analysis in Agroforestry 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40: 860-866. 

  10. Imo, M. and Timmer, V.R. 1999. Vector competition analysis of black spruce seedling responses to nutrient loading and vegetation control.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9: 474-486.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pp. 678. 

  12. Kwon, G.W., Park, G.S., and Lee, D.K. 1998. Effects of NPK fertilization on growth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Fraxinus rhynchophylla, Pinus koraiensis, and Acer mono seedlings,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Science 25(2): 160-167. 

  13. Marschner, H. 2002.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2nd edi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pp. 889. 

  14. Park, B.B., Byun, J.K., Kim, W.S., and Sung, J.H. 2010a. Growth and tissue nutrient responses of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fertilized with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at a nursery cultur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1): 85-95. 

  15. Park, B.B., Byun, J.K., Park, P.S., Lee, S.W., and Kim, W.S. 2010b. Growth and tissue nutrient responses of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fertilized with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2): 186-196. 

  16. Park, B.B., Byun, J.K., Sung, J.H., and Cho, M.S. 2013. Study of optimal fertilization with vector analysis in hardwood and softwood seedlings.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7(5): 95-107. 

  17. Park, B.B., Cho, M.S., Lee, S.W., Yanai, R.D., and Lee, D.K. 2012. Minimizing nutrient leaching and improving nutrient use efficiency of Liriodentron tulipifera and Larix leptolepis in a container nursery system. New Forests 43: 57-68. 

  18. Park, G.S. 1997. Soil chemistry changes after N, P, and K fertilization in a willow (Salix spp.) bioenergy plant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6(3): 311-318. 

  19. Quoreshi, M. and Timmer, V.R. 2000. Early outplanting performance of nutrient-loaded containerized black spruce seedlings inoculated with Laccaria Biocolor: A bioassay study.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30: 744-752. 

  20. Salifu, K.F. and Timmer, V.R. 2003. Nitrogen retranslocation response of young Picea marianna to nitrogen-15 supply.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7: 309-317. 

  21. Shin, J.A., Son, Y., Hong, S.G., and Kim, Y.K. 1999. Effect of N and P fertilization on nutrient use efficiency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eedling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8(4): 304-309. 

  22. Son, Y.H., Kim, Z.S., Hwang, J.H., and Park J.S. 1998. Fertilization effects on growth, foliar nutrients and extract concentrations in ginkgo seedling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7(1): 98-105. 

  23. Son, Y.H., Seo, K.Y., Kim, R.H., Koo, J.W., Yi, M.J., and Kim, J.H. 2005.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invading a mixed forest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1): 8-12. 

  24. Timmer, V.R. 1996. Exponential nutrient loading: a new fertilization technique to improve seedling performance on competitive sites. New Forests 13: 275-295. 

  25. Timmer, V.R. and Stone, E.L. 1978. Comparative foliar analysis of young balsam fir fertilized with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lim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42: 125-130. 

  26. Vitousek, P.M., Cassman, K., Cleveland, C., Crews, T., Field, C.B., Grimm, N.B., Howarth, R.W., Marino, R., Martinelli, L., Rastetter, E.B., and Sprent, J.I. 2002. Towards an ecological understanding of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Biogeochemistry 57(1): 1-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