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공판되는 송이의 등급별 비율을 통한 향후 생산량 추이 예측 Prediction of Pine-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Production from the Ratio of Each Grade at the Joint Market원문보기
당해년도 송이 생산량 추이와 가격 예측을 위하여 수매되는 송이의 일자별 생산량과 품질등급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9년간 영덕군 산림조합의 수매자료를 분석한 결과, 송이 수매량 변화와 각 품질등급이 차지하는 비율은 극심한 가뭄과 이상기온 등 특이한 해를 제외하면, 고급품(1등급과 2등급) 송이는 초기에 50%를 넘는 비율을 차지하다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나타낸 반면, 저급품(개산품, 파손품 및 벌레 먹은 것 등)의 경우에는 수매량이 정점을 이룬 이후에 지속적으로 그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이 수매량이 정점에 도달하기 1~9일 전에 고급품의 비율과 저급품의 비율이 반전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고급품 송이에 비하여 개산품의 비율이 많아지면 조만간 송이 생산량이 줄어들게 됨을 예측할 수 있었다. 고급품 송이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수매량의 패턴과 비슷하지만 3~4일 정도 앞서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매일의 송이 수매량은 3~4일 전의 고급품 수매량과 0.5 이상(3일전의 상관계수는 0.51, 4일전은 0.54)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송이 수매품의 품질등급 분포 검토를 통해 예측하는 해당 시점 이후의 송이 생산량 추이(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고급품 송이 가격은 수매량과 반비례하는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송이 수매량 추이는 송이 가격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게 되므로 송이 유통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당해년도 송이 생산량 추이와 가격 예측을 위하여 수매되는 송이의 일자별 생산량과 품질등급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9년간 영덕군 산림조합의 수매자료를 분석한 결과, 송이 수매량 변화와 각 품질등급이 차지하는 비율은 극심한 가뭄과 이상기온 등 특이한 해를 제외하면, 고급품(1등급과 2등급) 송이는 초기에 50%를 넘는 비율을 차지하다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나타낸 반면, 저급품(개산품, 파손품 및 벌레 먹은 것 등)의 경우에는 수매량이 정점을 이룬 이후에 지속적으로 그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이 수매량이 정점에 도달하기 1~9일 전에 고급품의 비율과 저급품의 비율이 반전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고급품 송이에 비하여 개산품의 비율이 많아지면 조만간 송이 생산량이 줄어들게 됨을 예측할 수 있었다. 고급품 송이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수매량의 패턴과 비슷하지만 3~4일 정도 앞서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매일의 송이 수매량은 3~4일 전의 고급품 수매량과 0.5 이상(3일전의 상관계수는 0.51, 4일전은 0.54)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송이 수매품의 품질등급 분포 검토를 통해 예측하는 해당 시점 이후의 송이 생산량 추이(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고급품 송이 가격은 수매량과 반비례하는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송이 수매량 추이는 송이 가격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게 되므로 송이 유통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aily yield and quality of pine-mushroom to predict the annual production pattern and unit price of the mushroom with the records of pine-mushroom trade at Yeongdeok forestry cooperative's market for nine years (2000~2008). Although there were some excep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aily yield and quality of pine-mushroom to predict the annual production pattern and unit price of the mushroom with the records of pine-mushroom trade at Yeongdeok forestry cooperative's market for nine years (2000~2008). Although there were some exceptions due to extreme drought or extraordinary temperature, the production ratio of high quality (first and second grade) was more than 50% in early stage and decreased, while that of low quality (pileus opened and defected ones) showed increasing pattern after the production reached in peak. The ratio of high quality and that of low quality were reversed 1~9 days before the mushroom production reached the acme of daily yield, which allowed us to predict that the mushroom production would be decreased when the ratio of low quality overcomes that of high quality. The ratio of high quality preceded about 3~4 days prior to that of daily yield, and the mushroom yiel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ratio of high quality mushroom prior to 3~4 days of the day with the coefficient larger than 0.5 (r=0.51 for 3 days and r=0.54 for 4 days). Thus, we concluded that the analysis of grade distribution of pine-mushroom at the market may provide a significant clue to predict production pattern of the mushroom. In addition, the price of high quality pine-mushroom showed clear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yield. Thus, the analysis may take a good role for the trading of pine-mushroom with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ice of pine-mushroom.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aily yield and quality of pine-mushroom to predict the annual production pattern and unit price of the mushroom with the records of pine-mushroom trade at Yeongdeok forestry cooperative's market for nine years (2000~2008). Although there were some exceptions due to extreme drought or extraordinary temperature, the production ratio of high quality (first and second grade) was more than 50% in early stage and decreased, while that of low quality (pileus opened and defected ones) showed increasing pattern after the production reached in peak. The ratio of high quality and that of low quality were reversed 1~9 days before the mushroom production reached the acme of daily yield, which allowed us to predict that the mushroom production would be decreased when the ratio of low quality overcomes that of high quality. The ratio of high quality preceded about 3~4 days prior to that of daily yield, and the mushroom yiel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ratio of high quality mushroom prior to 3~4 days of the day with the coefficient larger than 0.5 (r=0.51 for 3 days and r=0.54 for 4 days). Thus, we concluded that the analysis of grade distribution of pine-mushroom at the market may provide a significant clue to predict production pattern of the mushroom. In addition, the price of high quality pine-mushroom showed clear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yield. Thus, the analysis may take a good role for the trading of pine-mushroom with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ice of pine-mushroo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산림조합에 공판된 매일의 송이 수매량과 품질(등급별 분포)을 분석함으로써 실제로 송이 품질변화와 생산량 변화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갓을 펼치지 않은 채 자루가 단단하고 곧게 성장한 1등급과 2등급으로 구분되는 고급품 송이와 개산품 및 등외품으로 구분되는 저급품의 비율 변화가 송이의 일자별 생산량 변화 패턴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조사하는 시점 이후의 송이 생산량 추이를 예측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산림조합에 공판된 매일의 송이 수매량과 품질(등급별 분포)을 분석함으로써 실제로 송이 품질변화와 생산량 변화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갓을 펼치지 않은 채 자루가 단단하고 곧게 성장한 1등급과 2등급으로 구분되는 고급품 송이와 개산품 및 등외품으로 구분되는 저급품의 비율 변화가 송이의 일자별 생산량 변화 패턴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조사하는 시점 이후의 송이 생산량 추이를 예측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아울러, 실질적으로 이러한 변화가 송이 가격의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 지 확인하고, 송이 경영 및 유통 전략 수립 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갓을 펼치지 않은 채 자루가 단단하고 곧게 성장한 1등급과 2등급으로 구분되는 고급품 송이와 개산품 및 등외품으로 구분되는 저급품의 비율 변화가 송이의 일자별 생산량 변화 패턴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조사하는 시점 이후의 송이 생산량 추이를 예측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아울러, 실질적으로 이러한 변화가 송이 가격의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 지 확인하고, 송이 경영 및 유통 전략 수립 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즉, 지중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생장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자실체를 키워 포자를 비산시키고자 하는 송이의 원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된다. 이는 기상적인 요인에 따라 수매되는 송이의 품질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인데, 송이가 지속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기상여건에서는 1~2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는 버섯의 비율이 높은 반면, 송이가더 이상 생산되기 어려운 조건이 다가오면 생장속도가 빨라지면서 개산품이 많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제안 방법
2000년부터 2008년까지 9년간의 자료를 토대로 실시하였으며, 연도별로 송이의 생산개시일자와 수매 종료일자, 그리고 송이 수매량이 크게 다르므로 연도별 수매자료를 개별적으로 분석한 후 통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각 연도별로 송이 수매 개시일을 기준으로 일자별 수매량과 품질등급별 수매량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 9년간의 자료를 토대로 실시하였으며, 연도별로 송이의 생산개시일자와 수매 종료일자, 그리고 송이 수매량이 크게 다르므로 연도별 수매자료를 개별적으로 분석한 후 통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각 연도별로 송이 수매 개시일을 기준으로 일자별 수매량과 품질등급별 수매량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그래프에 나타난 패턴을 감안하여 하루 전, 2일 전, 3일전 및 4일 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각 연도별로 송이 수매 개시일을 기준으로 일자별 수매량과 품질등급별 수매량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그래프에 나타난 패턴을 감안하여 하루 전, 2일 전, 3일전 및 4일 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래프 및 개략적인 관련성 분석은 Microsoft Excel을 이용 하여 실시하였다.
따라서 모든 연도의 자료를 통합적으로 단순 비료를 하게 되면 오류를 범하게 되는데, 각 연도별 자료만 개별적으로 분석 하게 되면 그 자료가 너무 적고 매년의 종합적인 패턴을 파악하기는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연도별 송이 평균단가를 아래의 식과 같이 등급별 비율을 고려한 가중평균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저급품(등외품 및 개산품) 송이 가격은 품질에 따라 가격 차이가 매우 크지만 고급품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그 차이가 적다. 그러므로 고급품(1등급과 2등급)의 평균단가와 수매량 전체의 평균단가를 각각 변수로 삼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매년 일자별 송이 수매량이 차지하는 비율과 각 고급품 및 수매량 전체의 평균단가의 상관관계는 SA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그런데, 전국 조합별로 각각 분류하는 방식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며, 대표적인 송이 생산지인 양양, 울진, 봉화는 송이 축제 등의 영향으로 공판장을 통한 수매량이 전체 생산량을 대표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매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매년 일정한 기준으로 수매하고 있는 영덕군 산림조합의 자료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처리
그래프에 나타난 패턴을 감안하여 하루 전, 2일 전, 3일전 및 4일 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래프 및 개략적인 관련성 분석은 Microsoft Excel을 이용 하여 실시하였다. 한편, 일자별 송이 수매량과 각 품질별 수매량의 비율은 SAS의 ANOVA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매년의 송이 수매총량이 다르므로, 일자별 송이 수매량은 당해연도 송이 수매총량 중 당일의 송이 수매량이 차지하는 비율로 변수를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그래프 및 개략적인 관련성 분석은 Microsoft Excel을 이용 하여 실시하였다. 한편, 일자별 송이 수매량과 각 품질별 수매량의 비율은 SAS의 ANOVA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매년의 송이 수매총량이 다르므로, 일자별 송이 수매량은 당해연도 송이 수매총량 중 당일의 송이 수매량이 차지하는 비율로 변수를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고급품(1등급과 2등급)의 평균단가와 수매량 전체의 평균단가를 각각 변수로 삼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매년 일자별 송이 수매량이 차지하는 비율과 각 고급품 및 수매량 전체의 평균단가의 상관관계는 SA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이에 따라 1 · 2등급을 고급품으로, 개산품과 등외품을 저급품으로 재구분하여 경향을 파악한 결과, 당해연도 송이 수매량이 정점(頂点)에 도달하기 1~9일 전에 고급품의 비율과 저급품의 비율이 반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1).
또한, 본논문에서는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2009년의 경우에는 극심한 가뭄으로 인하여 전국 송이 생산량이 100톤 수준에 머물면서 송이 생산량 변화 패턴을 논의하기 힘들었고, 박현 등(1995)은 1993년과 1994년의 극심한가뭄으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송이 흉년이었음을 지적한바 있음을 감안하면, 극심한 가뭄이나 이상기온 등으로 인하여 특이한 모습을 띠는 해도 있음은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예외적인 생산량 변이도 있지만, 송이의 품질 측면에서는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1등급과 2등급 송이의 비율은 대체로 초기에는 높았다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나타낸 반면, 개산품과 등외품(파손품 및 벌레 먹은 것 등)의 경우에는 송이 수매량이 정점을이룬 이후에 지속적으로 그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와 더불어 각 자료의 변이가 매우 커서 이를 통하여 일정한 상관관계를 도출하기는 어려웠다.
송이 경영이나 유통의 측면에서 볼 때, 생산량 패턴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가격과 연계가 있는지가 더중요하기 때문이다. 송이의 전체 평균 가격은 2000년 68,000원에서 2001년 165,000원과 같이 2배 이상으로 오르는 모습도 있지만, 매년 10만원 내외로 비교적 일정한 수준 에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2). 하지만, 고급품(1등급 및 2등급) 송이의 가격은 일부 예외적인 경우도 있으나 송이 생산량에 반비례하여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고있음을 Figure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해 연도의 생산량 예측이나 일자별 생산 추이가 어떻게 될 것인가는 송이를 거래하는 입장에서 중요한 이유는?
따라서 당해 연도의 생산량 예측이나, 일자별 생산 추이가 어떻게 될 것인가는 송이를 거래하는 입장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송이 생산량이 늘어나는 추세라면 가격을 낮추며 송이를 수매해야 하는 반면, 송이 생산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면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서라도 송이를 사들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송이 생산량을 자기회귀모 형을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함으로써 일자별 송이 생산량을 예측하려는 회귀식을 도출하는 시도가 있었다(박 현 등, 1996; 이진희와 신기일, 2000).
송이가 가격이 매우 높게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송이는 가을철의 진미(珍味)로 그 생산량이 급감하여 가 격이 매우 높게 형성되고 있다. 송이 재배가 아직 실현되지 않은 상황에서 희소성에 따라 고가로 거래되는 송이의 생산량은 가격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송이 자실체 생성에 유리한 조건에선 어떻게 성장하나?
한편, 기상인자에 민감한 특성을 생물학적으로 다시 생각해 보면, 생산되는 송이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생산량 추이를 예측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송이 자실체 생성에 유리한 조건에서는 천천히 갓이 펼쳐지지 않은 채 성장하는 반면, 불리한 조건을 맞이하면 서둘러 갓을 피워 포자를 비산시키려 하게 된다. 가강현 등(1998)은 송이의 최초 출현일이 늦어질수록 송이의 생장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최초 출현일이 늦어지는 것은 특이한 이상고온 현상이 없는 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중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10)
가강현, 박 현, 허태철, 김희수, 김교수, 김현중, 이원규, 김종원, 이민웅. 1998. 송이 자실체의 생장 원리에 관한 연구. 산림과학논문집 58: 35-3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