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도경주의 역사문화경관 특성과 보존 대책
The Preservation Policy and Historical Landscape Characteristic of Ancient City Gyeongju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4, 2010년, pp.64 - 75  

강태호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라천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경주는 산과 물을 끼고 있는 이른바 배산임수의 분지지형으로 아름다운 자연풍광이 도시경관과 함께 어우러져 있는 매우 인상적인 역사도시이다. 경주의 역사경관은 구시가지 지역과 구시가지 동남측에 주로 지정되어 있는 사적보존지역, 이들 주위를 위요 하고 있는 산으로 이루어진 자연경관지역 등 3개 그룹으로 형성된다. 구시가지 지역은 인공적이며 한국의 평범한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흔히 느낄 수 있는 경관이 연출되고 있지만, 그 주변지역은 자연경관 속에서 역사경관이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어, 경주만이 간직하고 있는 독특한 도시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경주는 현대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역사경관이 교란되고 훼손되었다. 특히 1970년대부터 시작된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의 추세와 현대적인 관광도시 개발을 위한 경주관광종합개발이 시작되면서부터 나타났다. 경주의 역사경관 보존은 신라고분군과 한옥의 처마선으로 중첩되어 나타나는 곡선의 아름다움을 어떻게 잘 유지시켜 나가느냐에 달려 있다. 따라서 경주의 역사경관 보존에 가장 중요한 관건은 건축의 고도제한과 전통 한옥군의 보전이다. 특히 구시가지에 위치한 고분군의 조망권역 형성을 위하여 건물의 높이를 제한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가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그리고 재정적인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경주와 같은 한국을 대표하는 역사도시를 보존하려면 국가적 사업으로 중앙정부의 정책적 개입과 경주의 역사성 회복이 바로 문화민족의 자긍심을 되찾는 길이라는 것을 계몽하고, 국민적 합의를 도출해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경영의 기조가 경제지상주의에서 문화우선주의로 바뀌고 문화정책이 중시되는 사회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yeongju, with its thousand-year-old history of the Silla Dynasty, is an impressive historical city where beautiful nature of mountains in the background and rivers in its front is getting along with the city landscape. The historic landscape of Gyeongju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old town,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주의 역사경관을 3개 그룹으로 나눈다면? 신라천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경주는 산과 물을 끼고 있는 이른바 배산임수의 분지지형으로 아름다운 자연풍광이 도시경관과 함께 어우러져 있는 매우 인상적인 역사도시이다. 경주의 역사경관은 구시가지 지역과 구시가지 동남측에 주로 지정되어 있는 사적보존지역, 이들 주위를 위요 하고 있는 산으로 이루어진 자연경관지역 등 3개 그룹으로 형성된다. 구시가지 지역은 인공적이며 한국의 평범한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흔히 느낄 수 있는 경관이 연출되고 있지만, 그 주변지역은 자연경관 속에서 역사경관이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어, 경주만이 간직하고 있는 독특한 도시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경주 역사경관의 파괴가 시작된 것은 언제인가? 이와 같은 현상은 문화 유적을 역사경관의 개념으로 보지 않고 개체 문화재를 점적인 개념으로 해석한데서 오는 중대한 판단 착오이다. 이와 같은 역사경관의 파괴는 1970년대부터 시작된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의 추세와 현대적인 관광도시 개발을 위한 경주관광종합개발이 시작되면서부터 나타났다. 당시의 경주개발 사업은 관광산업 투자위주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역사경관 보존을 위한 중앙정부의 정책과 재정 투자가 미흡하였다.
초기신라의 고분군이 매우 인상적인 역사경관의 요소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경주 역사경관의 특징적 요소는 초기신라의 고분군이다. 이들은 도시지역 평지에 조성되어 매우 강한 수직적 시각요소를 형성하여 매우 인상적인 역사경관의 요소가 된다. 그러나 경주 구시가지의 역사경관은 새로운 도시계획에 의해 교란되었고, 한옥의 처마선으로 중첩되어 나타나는 고분군의 곡선은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면서부터 파괴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姜泰昊(2002). 中韓歷史文化名城空間結構的演進及歷史景觀保護的比較硏究: 以西安, 慶州爲對象, 淸華大學 博士學位論文. 淸華大學. 북경 

  2. 강태호(1993). 경주시 도시특성 및 도시개발 규제 실태에 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제2집. 동국대학교 부설 사찰조경연구소. 

  3. 건축법(2008. 6). 

  4. 건축법 시행령(2008. 9). 

  5. 경주시(1997). 21세기를 향한 경주시 장기종합개발계획 보고서. 

  6. 경주시(2008). 2020 경주도시기본계획. 

  7. 경주시 도시계획조례(2007. 8). 

  8.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2008. 8). 

  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2008.3). 

  1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 시행령(2008.9). 

  11. 김경대(1997). 신라왕경 도시계획 원형탐색과 보존체계설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석철(2001). 천년도시 경주. 제2회 경주시 발전전략세미나 자료집. 경주시의정동우회. 

  13. 金載植, 金基汶(1991). 慶州風物誌. 보우문화재단. 

  14. 문화관광부/경주시(2005). 경주 역사문화도시 조성 기본계획. 

  15. 문화재보호법 시행령(2008. 9). 

  16. 李揆穆(1993). 경주시 도시경관과 그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