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평가의 역할과 특성: 환경평가 검토의견분석을 중심으로
The Rol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Environmental Land Use Planning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3 no.2, 2010년, pp.8 - 23  

정주철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박정일 (미국 조지아공대) ,  이달별 (미국 조지아공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ssessment (EA) and land use planning throug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Theoretically, this research studies environmental land use planning incorporating with environmental assessment. Practically, throu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 토지이용계획수립에 있어서의 환경평가(사전환경성검토 및 환경영향평가)의 역할 및 특성을 고찰하고 환경평가를 통한 토지이용계획의 조정, 즉 토지이용저감기법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고찰한다. 구체적인 조정사례에서는 우리나라 환경평가를 검토하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1)의 지난 10여 년간의 검토의견 분석을 통해 환경평가에 있어서의 항목별 토지이용계획 및 설계 조정의 경향들을 파악한다.
  • 특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내 각 항목의 검토자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내용을 정리하고 그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체계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평가 내에서 실무적으로 작성되고 있는 각 항목에 대한 검토의견을 중심으로 친환경적 토지이용계획 및 설계에 적용 가능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 구체적인 조정사례에서는 우리나라 환경평가를 검토하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1)의 지난 10여 년간의 검토의견 분석을 통해 환경평가에 있어서의 항목별 토지이용계획 및 설계 조정의 경향들을 파악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검토의견 분석을 통해 환경평가 각 항목별로 제기되고 있는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및 설계의 기준이나 방법을 파악하고, 도시개발이나 택지개발사업 계획 수립시 보다 환경성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및 설계를 유도하는 것이다
  • 실제 환경평가를 거치는 과정에서 적절한 계획은 그 정당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반면 부적절한 계획은 취소·보류될 수 있으며 환경적 목표에 입각하여 개별 사업계획의 목표를 수정․보완하기도 하며 입지결정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환경평가는 개발사업이 가지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 시키는 저감(mitigation)대책을 수립하도록 한다. 환경기준에 따라 부정적 환경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계획 요소들을 적절히 배제하며, 기 제안된 개발계획의 규모축소 및 계획수정을 통해 환경영향의 최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저감방안이 수립되게 된다.
  • 이러한 면에서 본 연구는 환경평가의 제도적/절차적 측면을 중시하고 이러한 제도적 힘을 바탕으로 내용적 측면, 즉 환경평가시 각 항목에서 제기되고 있는 토지이용저감기법을 중심으로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및 설계를 위한 내용적 기준을 보다 구체화 시킬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환경평가제도가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으로 유도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수행한 과거 10여 년간의 검토의견 분석을 통해서 파악되었다. 환경평가의 검토의견들을 분석하여 종합된 성과와 특성은 첫째, 환경평가에서 새로운 검토기준과 저감방안이 도입; 둘째,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감방안이 토지이용계획을 통해 조정; 셋째, 토지이용의 조정적․총괄적 역할의 필요성이 제기 등이 포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이용계획은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었는가? 토지이용계획은 근대 도시 및 지역계획의 산물로서 인간 정주환경을 다른 환경과 분리하는 지역지구제(zoning)부터 출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실제 토지이용계획의 출발이 주거지역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그들의 주거생활권을 공업 및 상업지역과 구분하여 계획하는 것을 제도화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평가가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부분 중에서도 환경평가는 환경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및 설계가 제도적으로 추진되고 정착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환경평가는 특정사업 및 계획이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영향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업승인의 여부에 판단기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개발사업이나 계획이 가져올 수 있는 환경적 영향을 사전에 예측가능하게 하여 이를 저감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수단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평가는 여전히 제도의 발전단계상에서 사회적 갈증관리 미흡 등 여러 가지 한계를 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계획의 질을 높여 환경친화적 개발을 유도하는데 크게 기여해오고 있다.
정치적 수단으로써의 환경평가는 무엇을 강조하는가? 환경평가는 계획수단뿐만 아니라, ‘정치적 수단(political tool)'으로써 바라보기도 한다. 이는 일반시민들이나 NGO단체 및 관련기관들이 환경평가를 통해 개발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들의 관심을 높여 개발계획 결정과정에서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과 환경관련 정부기관이나 유관단체간의 조정의 틀을 제공하여 상호협력을 향상시키고 개발계획 결정의 협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Ortolano와 Shepherd(1995)는 ‘환경평가의 궁극적 목적은 단순히 영향을 평가하는 것에 머물지 않으며, 의사결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국토해양부. 2007.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 기준. 

  2. 김지영 외. 2002. 환경영향의 합리적 예측평가를 위한 기법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8. 토지이용계획. 보성각. 

  4. 조공장 외. 2008. 환경평가제도 30년의 성과분석과 발전방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한국토지공사. 2007. 살고싶은 도시건설을 위한 도시개발편람. 

  6. 환경부. 2003.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및 운용방안 개발에 관한 연구. 

  7. 환경부. 2004.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8. 환경부. 2006. 사전환경성 검토 매뉴얼. 

  9. Berke, P. R. 2002. Does Sustainable Development Offer a New Direction for Planning? Challenges for for the Twenty-First Centur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17(1) : 21-36. 

  10. Berke, P. R. 2008. The Evolution of Green Community Planning, Scholarship, and Practice :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4(4) : 393-407. 

  11. Berke, P. R., D. Godschalk and E. Kaiser. 2006. Urban Land Use Planning (5th Ed.),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 Berke, P. R., and M. Manta-Conroy. 2000. Are we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Evaluation of 30 comprehensive plan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6(1) : 21-31. 

  13. Burchell et al. 1998. Costs of sprawl-2000.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14. Calthorpe, P. 1993.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New York :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5. Calthorpe, P., and W. Fulton. 2001. The regional City. Washington, DC : Island. 

  16. Campbell, S. 1996. Green cities, growing cities, just cities? Urban Planning and the contradic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2 (3) : 296-312. 

  17. Chapin, F. S., and E. J. Kaiser. 1979. Urban Land Use Planning (3rd Ed.). Chicago :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8. Daniels T., and K. Daniels. 2003. The Environmental Planning Handbook. Washinton, D.C. 

  19. Duany, A. 1992. Towns and town-making principles. New York : Rizzoli. 

  20. Duany, Plater-Zyberke and Company. 2001. Smart code. Miami, FL : Author. 

  21. Ewing, R. 1997. Is Los Angeles style sprawl desirabl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3(1) : 107-26. 

  22. Fainstein, S. 2000. New directions in planning theory. Urban Affairs Review, 35(4) : 451-478. 

  23. Forman, R. T. T., and M. Godron. 1986. Landscape ecology. New York : John Wiley. 

  24. Godschalk, D. R. 2004. Land Use Planning Challenges : Coping with Conflicts in Vis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Livable Commun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1) : 5-13. 

  25. Harvey, D. 1997. The new urbanism and the communitarian trap. Harvard Design Magazine, Winter/Spring. 

  26. Jepson, E. 2001. Sustainability and planning : Diverse concepts and close associations.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15(4) : 499-510. 

  27. Kaiser, E. J., and D. R. Godschalk. 1995. Twentieth Century Land Use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1(3) : 365-385. 

  28. McDonlad, G. T., and L. Brown. 1995. Going beyo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Environmental input to planning and desig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15(6) : 483-495. 

  29. Randolph, J. 2003. Environmental Land Use Planning and Management. Island Press. 

  30. Porter. D. 2002. The Pract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hington, D.C. : Urban Land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