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북대학교 내에 생육하는 애기자운(Amblyotropis verna) 자생지의 식생특성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mblyotropis verna Habitat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3 no.5, 2010년, pp.51 - 58  

박인환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조광진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혜영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장갑수 (영남대학교 생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recommend a method for conserving the habitat of Amblyotropis verna grown naturally in campus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t Daegu city.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were analyzed for the condition of the populat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애기자운의 뿌리에는 saponin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김현수, 1998),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인근 주민들에 의한 남획으로 인해 체계적인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머지않아 자생지가 소실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내에 분포하고 있는 애기자운 자생지에 대한 식생특성을 분석하고 개체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현지 내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와 관리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 세 번째는 군락 내에서 출현율이 높은 창질경이, 토끼풀, 서양민들레 등과 같은 귀화식물의 대량 번식은 경쟁에 의한 애기자운의 영양분 이용을 방해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제초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교내 희귀식물종이 생육하고 있다는 것을 홍보함으로써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자생지를 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도록 한다. 홍보를 위한 방법으로는 자생지 주변에 애기자운의 생태적 특성, 조경적 가치, 이용 및 관리 방법 등의 내용이 담긴 안내판을 설치하여 학생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를 통해 경북대학교 교내에 자생하고 있는 희귀식물인 애기자운 자생지에 대한 식생특성과 개체의 형태적 특성분석을 통하여 자생지보전을 위한 적절한 관리방안이 제시되었다. 애기자운자생지의 식생을 조사한 결과 총 15과 31속 37종으로 이루어져 있는 잔디-애기자운군락이 구분되었고 잔디, 애기자운과 더불어 띠, 개망초, 씀바귀, 청사초, 고들빼기 등이 높은 상대기여도로 혼생하고 있었다.
  • 애기자운자생지를 보전하기 위한 관리방안으로 자생지 주변으로 울타리를 설치하여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접근으로 인한 답압과 굴취의 영향을 최소화 하고 주기적인 관수를 통한 빛에 의한 수분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귀화식물의 번식방지를 위해 정기적인 제초작업을 실시하며 마지막으로 홍보를 통한 학생들의 자생지 보전을 위한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빛조건과 토양경도는 애기자운 개체의 형태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개체의 형태적 특성을 결정짓는 주요 환경요소로서는 빛조건과 토양경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 건물 또는 조경수목의 영향으로 그늘이 형성되는 반음지의 입지에서는 애기자운의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의 통행이 빈번하여 토양경도가 높고 완전히 개방되어 수분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생육입지에서는 분열수가 많으며 총엽병의 길이가 짧고 소엽의 개수도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기자운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 머지않아 자생지가 소실될 우려가 있는 이유는? 애기자운의 생육입지는 인공적으로 잔디가 식재되어 있는 건생형 이차초원으로 규정되어 있으며(김종원, 2001) 이러한 생육환경은 접근성이 양호하고 인위적인 간섭과 교란의 잠재적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또한 애기자운의 뿌리에는 saponin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김현수, 1998),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인근 주민들에 의한 남획으로 인해 체계적인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머지않아 자생지가 소실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내에 분포하고 있는 애기자운 자생지에 대한 식생특성을 분석하고 개체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현지내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와 관리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애기자운은 어느 지역에 자생하는가? 최빙기 이후 지구온난화에 따른 서식처의 고립화로 인해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김종원, 2001)되는 희귀식물인 애기자운(털새동부; Amblyotropis verna )은 콩과(Leguminosae)의 다년생 초본으로 지리적 분포 및 개체군의 크기가 극히 한정되어 있어 국립수목원(2010)에서는 ‘위기종’으로, 김종원(2001)은 식물종 보전등급 [Ⅴ] 의 ‘절대감시종’으로 평가하고 있다. 애기자운은 북방계식물로서 지리적으로 한반도 북부지방의 평북 및 함북 지역과 남부지방의 대구지역과 경북일부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이우철, 1996. 이우철과 임양재,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국립산림과학원. 2004. 산림입지도(1:5,000) 제작 표준매뉴얼 pp.104. 

  2. 국립수목원. 2007.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 4. 중?남부아구(경상북도). 국립수목원. 

  3. 국립수목원. 2010.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홈페이지. 2010년 5월 검색. http://www. nature.go.kr/wkbik0/wkbik0003.leaf. 

  4. 2010. 기상청 홈페이지, 국내기후자료; 평년값자 료(30년). 2010년 5월 검색.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 

  5.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서울:월드사이언스. 

  6. 김종원. 2001. 대구지역의 애기자운(털새동부) 개체군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특성. 계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논집 제20집 제2호(2001. 12) pp.49-56. 

  7. 김종원?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기법. 서울:월드사이언스. 

  8. 김현수. 1998. 털새동부 추출물의 향균효과 및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5):993-999. 

  9.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서울:일조각. 

  10.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보유편. 서울:일조각. 

  11. 박수현?신준환?이유미?임종환?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12.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아카데미서적. 

  13. 이우철?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강원대 학교 출판부. 

  14. Kim, J. W., and Y. 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Ecol. 17(4):391-413. 

  15. Kent, M., and P. Coker. 199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London:Belhaven press. 

  16. Podani, F. 2001.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Budapest:Scientia Publishing. 

  17. Westhoff, V., and E. van der Maa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R.H. Whittaker,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r. W Junk b. v., The Hagu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