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a phytosociolocal approach in classifying the vegetation communiti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Gageodo island of Ko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Quercus acuta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Dendropanax morbifer subcommunity, Daphniphyllum macropodum subcommunity,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가거도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방형구법을 사용하여 구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붉가시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붉가시나무군락은 입지환경에 따라 종 조성을 달리하는 황칠나무하위군락, 굴거리나무하위군락, 붉가시나무전형하위군락으로 분류되었다.
  •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 가거도의 상록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방형구법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토양분석, ordination분석을 실시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하였고, 가거도의 상록 활엽수림의 지속적인 보전관리를 위한 관리방안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본 조사는 2008년 6월에 가거도 독실산(639m) 을 중심으로 식생이 파괴되지 않은 임분을 대상으로 10m×10m의 방형구 총 15개를 설치하여 식물 사회학적 방법과 방형구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Figure 1).
  •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들 중에서 해발고와 수분요소가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조사지역의 해발고와 수분요소와 상관이 있는 경사, 사면방향 및 토양의 이화학적특성 등의 환경요인들과 군락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Figure 3은 식물사회학적방법에 의하여 구분된 3 개 군락과 11개 환경요인으로 DCCA ordination 을 분석한 결과를 Ⅰ/Ⅱ평면상에 나타낸 것이다.
  • 본 조사는 2008년 6월에 가거도 독실산(639m) 을 중심으로 식생이 파괴되지 않은 임분을 대상으로 10m×10m의 방형구 총 15개를 설치하여 식물 사회학적 방법과 방형구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Figure 1). 식물사회학적방법은 Braun-Blanquet (1964)의 7단계 구분법을 변형한 Dierssen(1990)의 9단계 구분법을 사용하여 조사구 내의 출현 종을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군락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흉고직경 2cm 이상의 수목을 대상으로 매목조사를 실시하였고, 식물종의 기록은 이창복(1980)의 도감을 따랐다.
  • 토양시료는 각 조사구에서 유기물층을 제거한 후 깊이 0~10cm에서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토양은 자연 건조한 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토양의 유기물함량은 Wakely-Black wet oxidation법으로 분석하였고, 전질소는 macroKjeldahl법,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으로 정량하 였으며, 치환성K, Ca, Mg는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 1965; Bickelhaupt and White, 1982).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한 군데씩의 시료를 대상으로 모래, 미사, 점토의 함량을 각각 구하여 토성을 분석 하였다.

대상 데이터

  • 마을 주변에서는 가축의 방목으로 식생 교란이 야기되고 있으며 산림파괴가 일어난 방목지 주변은 개밀, 참새귀리, 왕모시풀, 짚신나물, 장딸기, 계요등, 사위질빵, 쇠무릎, 여우콩, 보리 밥나무, 찔레 등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는 조사 대상지인 가거도 내의 독실산(639m)을 중심으로 산림이 파괴되지 않은 상록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 및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Figure 1). 기후 특성은 가거도에서 가까운 목포의 지난 30년간의 기상자료(기상청, 2001)에 의하면, 연평균기온은 13.
  • 본 조사에서는총 4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평균해발고 464m, 경사도는 22~28°에 분포하고 있다.

이론/모형

  • Ordination 분석은 CA(correspondence analysis)의 확장인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로 사용하였으며(Hill, 1979), Ter Braak (1987)의 CANOCO program을 이용하였다.
  • 각 조사구의 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종간 상대적 우세를 통합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Curtis & McIntosh(1951)의 방법에 따라 중요치를 산출하였다(Table 1).
  • 식물사회학적방법은 Braun-Blanquet (1964)의 7단계 구분법을 변형한 Dierssen(1990)의 9단계 구분법을 사용하여 조사구 내의 출현 종을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군락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흉고직경 2cm 이상의 수목을 대상으로 매목조사를 실시하였고, 식물종의 기록은 이창복(1980)의 도감을 따랐다.
  • 식물군락의 분류는 ZM방식에 따른 군락분류방법으로 표작성법에 의하여 식생단위를 추출하고 군락을 분류(Muller-Dombois and Ellenberg, 1974)하였고, 매목조사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Curtis and McIntosh(1951)의 방법에 따라 중요치를 산출하고 흉고직경급을 분석하였다.
  • 토양시료는 각 조사구에서 유기물층을 제거한 후 깊이 0~10cm에서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토양은 자연 건조한 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토양의 유기물함량은 Wakely-Black wet oxidation법으로 분석하였고, 전질소는 macroKjeldahl법,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으로 정량하 였으며, 치환성K, Ca, Mg는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양의 pH는 1:5로 희석하여 측정하 였다(Black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 전체가 거의 산림지대인 가거도는 어떠한 수종이 있는가? 해안선 길이는 22km로 암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섬 전체가 거의 산림지대이고, 섬 자체가 후박나무 군락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박나무 외에도 굴거리나무,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황칠나무, 참식나무 등 난대림 수종이 빽빽이 우거져 있다. 대다수의 주민들이 어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어업 외에도 후박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소득을 올리는데, 후박나무 약재의 전국 생산량의 70%가 가거도에서 나오고 있다.
토양의 유기물함량, 전질소, 치환성K, Ca, Mg의 분석에 무엇이 이용되었는가? 토양시료는 각 조사구에서 유기물층을 제거한 후 깊이 0~10cm에서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토양은 자연 건조한 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토양의 유기물함량은 Wakely-Black wet oxidation법으로 분석하였고, 전질소는 macroKjeldahl법,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으로 정량하 였으며, 치환성K, Ca, Mg는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양의 pH는 1:5로 희석하여 측정하 였다(Black et al.
가거도에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 관련 문제점은 무엇인가? 때문에 후박나무 재배를 위한 상록활엽수의 남벌, 가축방목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또한, 섬 전체적으로 경관이 수려하여 최근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으며, 방파제 건설로 인한 식생의 파괴, 특히 바다낚시를 즐기려는 사람들의 빈번한 방문으로 인해, 주변식생의 훼손 및 환경오염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진택.박남창.정영관. 2002.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이 난대지역의 구실잣밤나무와 황칠나무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1(6):679-686. 

  2. 기상청. 2001. 한국기후표. 기상청. 

  3. 김세현.신창호.정남철.나천수.김영중. 2000. 황칠나무 분포임지의 식생주고 및 입지환경. 한국임학회지 89(1):93-104. 

  4. 김용식.오구균. 1996.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귀화식물-. 환경생태학회지 10(1):128-139. 

  5. 김용식.오구균. 1997.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I). -남.동해 몇몇 도서의 관속실물상-. 환경생태학회지 11(1):61-83. 

  6. 김철수. 1987. 홍도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홍도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 보고서-. 신안군 pp. 88-174. 

  7. 김철수.박연우. 1988. 소흑산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연안생물연구 5:1-44.관속식물상. 환경생태학회지 11 (1):61-83. 

  8. 김철수.박연우.양효식.오장근. 1990. 다도해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III). -거문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연안생물연구 7(3):1-22. 

  9. 김철수.오장근.임억규.곽애경. 1994. 소흑산도의 식생. 93자연생태계 지역정밀조사 보고서. -소흑산도-. 13-41. 

  10. 박관수.이수욱. 1990. 삼림토양내 유기물함량이 토양입단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79(4):367-375. 

  11. 신현철.박남창.송호경. 1999. 남해안 지역 붉가시나무림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산림과학논문집 60:11-25. 

  12. 오구균.최송현. 1993. 난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 16(4):459-476. 

  13. 오구균.김보현. 1998.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 환경생태학회지 12(3):279-289. 

  14. 오구균.김용식. 1997a.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힘 복원 모형(IV). -사례지의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1(3):334-351. 

  15. 오구균.김용식. 1997b.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힘 복원 모형(V). -사례지의 복원전략-. 환경생태학회지 11(3):352-365. 

  16. 오구균.조우. 1994. 홍도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8(1):27-42. 

  17. 이경재.조재창.이봉수.이도석. 1990. 광릉삼림의 식물군집구조(I).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소리봉지역의 삼림군 집구조분석-. 한국임학회지 79(2):173-186. 

  18. 이일구.황경수.송종석. 1980. 서남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와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2:13-33. 

  19. 이일구. 1981. 동남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와 그의 보존상태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 3:89-109. 

  20. 이정석.김춘식. 1987. 흑산군도의 관속식물상.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6:135-168. 

  21. 이지혜.소순구. 서강욱. 김무열. 송호경. 2010. 홍도상록활엽수림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1):54-61. 

  22.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3. 이천용. 1998. 산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350pp. 

  24. 이호준.김종홍.김창호. 1987. 흑산군도의 식물생태,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6:91-133. 

  25. 이호준.양효식. 1988. 금오도 상록활엽수림의 생태학적 연구. 자연보존 61:29-45. 

  26. 임병선.김하송.이점숙. 1993. 소흑산도의 식물상 및 녹지자연도. 연안생물환경 10:13-37. 

  27. 임윤희.오구균. 1999. 내장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 개체군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17-33. 

  28. 정병석.김우종. 1992. 전통도료 황칠재현을 위한 황칠나무의 특성 및 이용에 관한 연구. 광주직할시 과학교육원 48pp. 

  29. 정영호.홍순우. 1954. 소흑산도의 식물상. 생물과학연구 1(1):19-29. 

  30. 정진현.구교상.이충화.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694-700. 

  31. 최성규. 1996. 완도지역 황칠나무의 자생지 환경및 생육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4(1):1-6. 

  32. 上原敬二. 1934. 樹木大圖說(II). 有明書房. 1300pp. 

  33. Bicklhaupt, D. H., and E. H. White. 1982. Laboratory manual for soil and plant tissue analysis. SUNY Coll. Envir. Sci. and For., Syracuse, N.Y. pp.67. 

  34. Binkley, D. 1994 The influence of tree species on forest soils-processes and patterns. In:Trees and Soil Workshop Proceedings, Lincoln University, Christchurch, New Zealand, 28 Feb.-2 Mar. 1994. 

  35. Black, C. A., D. D. Evans, L. E. Ensminger, J. L. White and F. E. Clark. 1965.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I:Phys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Including Statistics of Measurement and Sampling. Am. Soc. Agr.,Madison, Wl. pp.770. 

  36.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e. 3. Auflage. Wien, New York. 865pp. 

  37.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ogy 32:476-496. 

  38. Dierssen, K. 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39. Hill, M. O. 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40. Miller H. G., & R. L. Donahue. 1990. Soil.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 J. 

  41.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547pp. 

  42. Starr, J. L., Parkin, T. B., and Meisinger, J. J. 1995. Influence of sample size in chemical and physical soil measurement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9:713-719. 

  43. Ter Braak, C. J. F. 1987. CANOCO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 dence analysis, principal 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