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s. Gageo (Jeollanam-do).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13 times (from June 2008 to September 2011), and 465 taxa in total were identified, including 112 families, 301 genera, 402 species, 3 subspecies, 49 varieties, 9 forms and 2 hybri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거도 일대에 대한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12과 301속 402종 3아종 49변종 9품종 2교잡종의 총 46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가거도 지역 전반에 걸쳐 확증된 증거표본에 기초한 실질적인 식물상 조사를 통하여 식물지리학적 특이성을 파악하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확인하여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거도의 2007~2009년까지의 연평균 기온은 어떠하였는가? 본 지역의 기후특성은 전반적으로 하계에는 해양성기후, 동계에는 대륙성기후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사계절의 뚜렷한 기온변화 보다는 겨울과 여름으로 나누어진 계절변화가 두드러진다. 최근 3년(2007~2009)간 연평균 기온은 13.8℃, 연평균 최고기온 평균값과 최저기온의 평균값은각각 18℃와 10.3℃이었으며, 평균연교차는 7.7℃, 연평균강수량은 1,132.
가거도의 행정구역상 위치는 어떠한가? 가거도는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145 ㎞ 떨어진 우리나라의 최서남단에 위치하고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에 속하며(북위 34°02'~34°05', 동경 125°05'~125°10'), 총 면적 9.18 ㎢에 이른다(Fig.
가거도 지질의 생성원인은 무엇인가? 8%)이며, 해안선 연장길이는 약 22 ㎞이다(김, 1996). 이 지역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산 활동시 용암의 용류와 관입에 의하여 생성되었으며, 용류한 화산암은 유문암이고 관입한 화산암은 안산암으로 구성되어있다(유, 1996). 본 지역의 기후특성은 전반적으로 하계에는 해양성기후, 동계에는 대륙성기후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사계절의 뚜렷한 기온변화 보다는 겨울과 여름으로 나누어진 계절변화가 두드러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철수, 박연우, 1988, 소흑산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목포대학교 연안생물연구, 5(1), 1-43. 

  2. 김하송, 1996, 가거도의 자연생태와 보존대책에 관하여, 한국도서(섬)학회, 7, 173-185. 

  3. 김하송, 김진식, 1996, 가거도의 환경변화에 따른 귀화식물상과 군락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7, 123-130. 

  4. 유한수, 1996, 가거도(소흑산도)의 지질, 한국도서(섬)학회, 7, 115-122. 

  5. 이점숙, 조두성, 1999, 소흑산도 해안의 염생식물,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133-144. 

  6. 이정석, 김춘식, 1987, 흑산군도의 관속식물상, 자연실태 종합조사보고서, 자연보호중앙협의회, 6, 135-167. 

  7. 이종석, 김일중, 1978, 소흑산도와 홍도의 식물자원 조사,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5(2), 145-148. 

  8. 임병선, 김하송, 1994, 식물상 및 녹지자연도, '93 자연생 태계 지역정밀조사 보고서 - 소흑산도- 환경처, 45-77. 

  9. 임병선, 김하송, 이점숙, 1993, 소흑산도의 식물상 및 녹지자연도, 목포대학교 연안생물연구, 10, 13-37. 

  10. 정영호, 홍순우, 1954, 소흑산도의 식물상, 생물학연구, 1(1), 19-29. 

  11.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262. 

  12.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 Co, 1482. 

  13. Hong, H. H., Kim, J. S., Jang, G. H., Im, H. T., 2010, First record of Calanthe (C. x kibanakirishima F. Maek., Orchid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0(3), 183-185. 

  14. Hoshino, T., Masaki, T., 2011, Illustrated Sedges of Japan, Heibonsha Ltd., Publishers, Tokyo, 778. 

  15.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399. 

  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534. 

  17. Korea National Arboretum,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534 

  1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547. 

  19. Lee, B. Y., Nam, G. H., Yun, J. H., Cho, G. Y., Lee, J. S., Kim, J. H., Park, T. S., Kim, K. G., Oh, K. H., 2010, Biological indicators to monitor respons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0(4), 202-207. 

  20.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990. 

  21. Lee, T. 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914. 

  22. Lee, T. 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910. 

  23. Lee, W. 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624. 

  24. Lee, W. T., Yim, Y. J.,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412. 

  25. Lee, Y. M., Park, S. H., Jung, S. Y., Oh, S. H., Yang, J. 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26. Lee, Y. N., 1996b, Flora of Korea, Gyohaksa, 1236. 

  27. Lee, Y. N., 2006a, New Flora of Korea, Vol. I, Gyohaksa, 974. 

  28. Lee, Y. N., 2006b, New Flora of Korea, Vol. II, Gyohaksa, 885. 

  29.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Nikolasse, 666.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114-155. 

  31. Numata, M., Kotaki, O., 1975, Naturalized Plants, Japan Society of Library, Tokyo, 160. 

  32. Oh, Y. C., 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757. 

  33. Park, Y. K., 2004, Flora of Islands in West and South Regions of Korea, M. S. Thesis, Honam University, 120. 

  34. Shinan County, 2010, Shinan County Homepage, (http://www.shinan.go.kr). 

  35. Smith, A. R., Pryer K. M., Schuettpelz, E., Korall, P., Schneider, H., Wolf, P. G.,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 705-731. 

  36. Yim, Y. J., Jeon, E. 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Plant Biol. 23(3-4), 6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