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거도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Gageodo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5, 2013년, pp.597 - 612  

양선규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장창석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장현도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이로영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품종심사과) ,  박민수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김기홍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오병운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북위 $34^{\circ}02^{\prime}{\sim}34^{\circ}05^{\prime}$, 동경 $125^{\circ}05^{\prime}{\sim}125^{\circ}08^{\prime}$)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98과 258속 348종 3아종 31변종 4품종의 총 38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50분류군이었다. 가거도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7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30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ora of Is. Gageodo (N $34^{\circ}02^{\prime}{\sim}34^{\circ}05^{\prime}$, E $125^{\circ}05^{\prime}{\sim}125^{\circ}08^{\prime}$) in Sinangun (Province Jeollanamdo) was surveyed from April 2010 to October 2011. The vascular plants from the results of 23 fiel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조사대상지인 가거도는 한반도의 최서남단에 있으며 한반도, 제주도, 대만, 중국 식물의 유출입 및 확산경로에 위치한 식물분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서 각종 희귀식물과 멸종위기식물 등 환경적으로 중요한 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밀한 자생지 조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의 식물목록을 검토하고, 가거도 현지조사를 수행하고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이에 기초한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파악하며 한반도의 최서남단인 가거도의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희귀식물, 특정식물 등 주요 식물의 분포를 확인하여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문헌 기록에 의한 목록에는 다수의 재배식물과 북방계 식물 및 제주도, 울릉도의 특산식물로서 가거도에는 분포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분류군 등 오동정에 의하여 기록된 분류군들도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정확한 관속식물상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의한 가거도의 식물목록을 검토하였으며 기록된 식물들의 진위 여부를 고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의 식물목록을 검토하고, 가거도 현지조사를 수행하고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이에 기초한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파악하며 한반도의 최서남단인 가거도의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희귀식물, 특정식물 등 주요 식물의 분포를 확인하여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거도의 정밀한 자생지 조사가 미약한 실정으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무엇을 진행하였나? 한편 조사대상지인 가거도는 한반도의 최서남단에 있으며 한반도, 제주도, 대만, 중국 식물의 유출입 및 확산경로에 위치한 식물분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서 각종 희귀식물과 멸종위기식물 등 환경적으로 중요한 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밀한 자생지 조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의 식물목록을 검토하고, 가거도 현지조사를 수행하고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이에 기초한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파악하며 한반도의 최서남단인 가거도의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희귀식물, 특정식물 등 주요 식물의 분포를 확인하여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거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가거도는 섬 전체가 거의 산림지역이며 독실산을 중심으로 북서·남동방향의 높이 300∼400 m의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다. 독실산과 주능선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능선과 계곡이 사방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해안은 급경사의 해안절벽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특히 북서단과 동북, 남서단은 경사가 20∼45 ˚로 경사가 급한 편이다(Yoo, 1996).
한반도 최서남단의 섬인 가거도는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한반도 최서남단의 섬인 가거도는 목포의 남서쪽 141 km, 흑산도의 남서쪽 65 km에 위치하며(북위 34˚02´∼34˚05´, 동경 125˚05´∼125˚08´),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에 속한다. 총 면적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ang, C.S., H. Kim and G.S. Chang.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3, Woody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in Korean). 

  2. Chung, M.G. and H.G. Chung. 1994. Allozyme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in Korean endemic plant species: II. Hosta yingeri (Liliaceae). Korean J. Bot. 37:141-149. 

  3. Chung, M.G. and S.S. Kang. 1994a. Hemerocallis hongdoensis (Lil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Novon 4:94-97. 

  4. Chung, M.G. and S.S. Kang. 1994b.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genus Hemericallis L. (Liliaceae) in Korea. J. Pl. Res. 107:165-175. 

  5. Hong, H.H., J.S. Kim, G.H. Jang and H.T. Im. 2010. First record of Calanthe (C. ${\times}$ kibanakirishima F. Maek., Orchid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0:183-185 (in Korean). 

  6. Ihm, B.S., H.S. Kim and J.S. Lee. 1993. Studies on flora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Sohuksan-do. Bull. Inst. Litt. Envi. 10:13-37 (in Korean). 

  7. Im, H.T. 1992. Plant geographical study for the plant of Cheju. Korean J. Pl. Taxon. 22:219-234 (in Korean). 

  8. Ji, S.J., Y.Y. Kim and B.U. Oh. 2010. Taxonomic review of Impatiens furcilata Hemsl. (Balsaminaceae). Korean J. Pl. Taxon. 40:43-49 (in Korean). 

  9. Jones, S.B. 1989. Hosta yingeri (Liliaceae/Funk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Ann. Missouri Bot. Gard. 76:602-604. 

  10.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163-198 (in Korean). 

  11. Kim, H.S. 1996. On the natural ecology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in the Kago-do. Journal of Korean Island 7:173-185 (in Korean). 

  12. Kim, H.S. and J.G. Oh. 201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Korean J. Plant Res. 23:187-196 (in Korean). 

  13. Kim, H.S. and S.S. Kim. 1996. Ecological studies on the flora of naturalized plants and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Kago-do. J. Korean Island 7:123-130 (in Korean). 

  14. Kim, J.H., G.H. Nam and J.S. Kim. 2012. The vascular plants in Is. Gageo (Jeollanam-do).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437-450 (in Korean). 

  15. Ko, S.C., D.B. Lee, Y.H. Shin and K.H. Tae. 2006. Arisaema thunbergii subsp. geomundoense S. C. Ko (Araceae), a new subspecies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36:209-216.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mepage (http://www.kma.go.kr). 

  17.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8. Lee, B.C.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9. Lee, J., H. Kwon, Y. Hwang, M. Kim, C. Lee and H. Song. 2010. Vegetation structures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Gageodo, Korea. J. Korean Env. Res. Tech. 13:75-86 (in Korean). 

  20.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21. Lee, W.C.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Appendix):1-33 (in Korean). 

  22. Lee, W.C.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in Korean). 

  23.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24.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25.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in Korean).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A Guide to the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27. Nakai, T. 1928. Notulae and plantas Japonae & Koreae 36. Bot. Mag. (Tokyo) 42:451-479. 

  28. Nakai, T. 1931. Contributio ad cognitionem generis Saussureae Japono-Koreanae. Bot. Mag. (Tokyo) 45:513-524. 

  29. Moon, A.R., H.J. Kim, J.M. Park, S.H. Kang and C.G. Jang. 2012. The study for the flora of 6 islands area in the western sea of Chungnam Province. Korean J. Plant Res. 25:105-122 (in Korean). 

  30.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31. Oh, B.U., D.G. Jo, S.C. Ko, B.H. Choi, H.T. Im, W.K. Paik, Y.M. Lee, G.Y. Chung, K.O. Yoo, C.G. Jang and S.H. Kang. 2011.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9. Western & Southern Coastal A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32.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33. Park, S.J. and S.J. Park. 2008. The morphology of Thalictrum L. in Korea. Korean J. Pl. Taxon. 38:433-458 (in Korean). 

  34. Park, Y.K. 2004. Flora of islands in west and south regions of Korea. M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in Korean). 

  35. Sinangun. 2012. Sinan Statistical Year Book. Sinangun office, Sinan, Korea (in Korean). 

  36. Son, D.C., B.K. Park, T.H. Kim, H.M. Kang, T. Kim, K.T. Kim and S.C. Ko. 2012. Native plants of the islands of Chungcheongnam-do. Korean J. Plant Res. 25:603-623 (in Korean). 

  37. Yang, I.S. and W. Kim. 1972. Conspectus 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and the climatic factor in southern area of Korea. J. Korean Pl. Taxon. 4:11-18 (in Korean). 

  38. Yoo, H. S. 1996. Gelogy of Kago-do(Soheogsan-do). Journal of Korean island 7:115-112 (in Korean). 

  39. Yun, K.W., Y. Hwang, S. So and M. Kim. 2012. Flora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Korea. Kor. J. Env. Eco. 26:139-15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