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특수미 품종의 쌀 배유 특성을 조사하고 기류 분급에 의한 쌀가루를 제조하여 특성 변화와 제빵 가공적성을 검토하였다. 품종별 배유 특성을 살펴보면 높은 아밀로오스 함량, 긴 아밀로펙틴 측쇄사슬 비율, 낮은 팽윤력, 높은 호화온도, 낮은 호화점도의 특성을 가진 품종은 제빵 가적성에는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주어 빵의 비체적 특성이 저조하였다. 또한 제분에 의한 품종별 쌀가루 특성 변화 및 제빵 특성 비교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쌀알의 경도가 낮은 연질의 설갱은 기류식 제분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미분화가 잘 되어 약 $60{\mu}m$의 미세한 입자크기를 가지면서 손상전분 함량이 가장 낮은 특성을 보였다. 품종별 제분에 따른 쌀가루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빵의 부피가 감소하고 비체적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설갱벼는 가장 우수한 빵의 모양과 높은 비체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endosperm from five rice varieties and effects of milling on baking bread properties of rice flour were investigated. Five rice varieties exhibited different level of amylose content. The ratio of longer amylopectin chain length to the distribution of endospe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부적절한 방법으로 제분시 쌀가루의 입도분포는 불균일 해지고 전분립이 손상되어 가공적성에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므로 적절한 제분기의 선택과 제분방법에 의한 쌀가루 제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품벼 품종을 대조구로 하여 특수미의 쌀 배유 특성을 살펴보았고 가공적성 최적 제분조건 설정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기류식 제분방법에 의하여 쌀가루를 제조하여 제빵 가공 적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특수미 품종의 쌀 배유 특성을 조사하고 기류 분급에 의한 쌀가루를 제조하여 특성 변화와 제빵 가공적성을 검토하였다. 품종별 배유 특성을 살펴보면 높은 아밀로 오스 함량, 긴 아밀로펙틴 측쇄사슬 비율, 낮은 팽윤력, 높은 호화온도, 낮은 호화점도의 특성을 가진 품종은 제빵 가공 적성에는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주어 빵의 비체적 특성이 저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의 배유부는 어떤 구조인가? 쌀의 배유부는 매우 조밀하고 단단하며 다각형의 복합전분립 구조로 쌀가루 제조 시 미세하게 분쇄하기 어렵다. 또한 부적절한 방법으로 제분시 쌀가루의 입도분포는 불균일 해지고 전분립이 손상되어 가공적성에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므로 적절한 제분기의 선택과 제분방법에 의한 쌀가루 제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쌀이 제빵분야에서 크게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한편, 쌀이 제빵분야에서 크게 활용되지 못하는 것은 밀단백질인 gliadin과 glutenin의 반죽과정에서의 gluten 망상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부 밀가루를 혼합사용(Kang & Han, 2000 ; Yamauchi et al, 2004 ; Choi, 2010)하거나 gluten 대체재로서 활성글루텐, 검류 (carboxymethyl cellulose, guar gum, methyl cellulose, xanthan gum, locust bean gum), 계면활성제(glyceryl monostearate) 등 첨가 재료가 사용되어 왔으며(Kang et al, 1997a ; Hema et al, 2004 ; Park et al, 2006) 효소, 유화제 첨가에 의한 제빵 적성 향상 등 연구(Gujral & Rosell, 2004 ; Kim & Lee, 2009)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쌀이 제빵분야에서 크게 활용되지 못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엇이 사용되어 왔는가? 한편, 쌀이 제빵분야에서 크게 활용되지 못하는 것은 밀단백질인 gliadin과 glutenin의 반죽과정에서의 gluten 망상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부 밀가루를 혼합사용(Kang & Han, 2000 ; Yamauchi et al, 2004 ; Choi, 2010)하거나 gluten 대체재로서 활성글루텐, 검류 (carboxymethyl cellulose, guar gum, methyl cellulose, xanthan gum, locust bean gum), 계면활성제(glyceryl monostearate) 등 첨가 재료가 사용되어 왔으며(Kang et al, 1997a ; Hema et al, 2004 ; Park et al, 2006) 효소, 유화제 첨가에 의한 제빵 적성 향상 등 연구(Gujral & Rosell, 2004 ; Kim & Lee, 2009)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도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는 글루텐 특성을 대체할 수 있는 성분으로서 쌀 전분의 아밀로오스나 쌀단백질의 가교결합 형성에 도움을 주는 긴 사슬 구조의 친수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농업전망 2011. pp. 43-63.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Beleia, A., E. Varriano-Marston, and R.C. Hoseney. 1980. Characterization of starch from pearl millets. Cereal Chem. 57 : 300-303. 

  4. Chen, J. J., S. Lu, and C. Y. Lii. 1999. Effect of milli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xy rice in Taiwan. Cereal Chem. 76 : 796-799. 

  5. Chiang, P. Y. and A. I. Yeh. 2002. Effect of soaking on wet-milling of rice. J. Cereal Sci. 35 : 85-94. 

  6. Choi, H. 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 : 15-32. 

  7. Choi, I. D. 2010. Substitution of rice flour on bread-ma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Preserv. 17 : 667-673. 

  8. Gujral, H. S. and C. M. Rosell. 2004. Improvement of the breadmaking quality of rice flour by glucose oxidase.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7 : 75-81. 

  9. Hema. P., B. S. Sivaramakrishnana, and P. K. Chattopadhyay. 2004. Rheological properties of rice dough for making rice bread. J. Food Eng. 62 : 37-45. 

  10. Hoseney, R. C. 1987. Wheat hardness. Cereal Foods World. 32 : 320-322. 

  11. Juliano, B. O. 1985. Polysaccharide, proteins, and lipids of rice.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N, USA. 59-120. 

  12. Kang, M. Y., Y. H. Choi, and H. C. Choi. 1997a. Effects of gums, fats and glutens adding on processing and quality of milled rice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 700-704. 

  13. Kang, M. Y., H. M. Sohn, and H. C. Choi. 1997b. Varietal variation in gelatinization and adaptability to rice bread processing and their interrelation. Korean J. Crop Sci. 42 : 344-351. 

  14. Kang, M. Y., Y. H. Choi, and H. C. Choi. 1997c.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processing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Korean J. Soc. Food Sci. 13 : 64-69. 

  15. Kang, M. Y. and J. Y. Han. 2000.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made from eight varieties of endosperm mutants between dry and wet mill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 75-81. 

  16. Kim, K. E. and Y. T. Lee. 2009. Combined effects of vital gluten, gum, emulsifier, and enzyme on the properties of rice bread. Food Engineering Progress. 13 : 320-325. 

  17. Kum, J. S., S. H. Lee, H. Y. Lee, K. H. Kim, and Y. I. Kim. 1993. Effects of different milling methods on physico - chemical properties &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 546-551. 

  18. Kum, J. S. and H. Y. Lee. 1999. The effect of the varieties and particle size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 1542-1548. 

  19. Lee, B. D. and J. B. Eu. 2008. Rice processing in food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3 : 1-8. 

  20. Li, J. Y. and A. I. Yeh. 2001. Relationship between thermal, rh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welling power for various starches. J. Food Eng. 50 : 141-148. 

  21. Lineback, D. R. and C. H. Ke. 1975. Starches and lowmolecular- weight carbohydrates from chick pea and horse bean flours. Cereal Chem. 52 : 334-347. 

  22. Nishita, K. D. and M. M. Bean. 1982. Grinding methods: Their impact on rice flour properties. Cereal Chem. 59 : 46-49. 

  23. Nunez-Santiago, M. C., L. A. Bello-Pereza, and A. Tecanteb. 2004. Swelling-solubility characteristics, granule size distribution and rheological behavior of banana (Musa paradisiaca) starch. Carbohydrate polymers. 56 : 65-75. 

  24. Park, J. D., B. K. Choi, J. S. Kum, and H. Y. Lee.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s produced under different drying and mill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 495-500. 

  25. Park, M. K., K. H. Lee, and S. A. Kang. 2006. Effect of particle size of rice flour on popping rice bread.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 419-427. 

  26. Yamauchi, H., T. Noda, C. Matsuura-Endo, S. Takigawa, K. Saito, Y. Oda, W. Funatsuki, N Iriki, and N. Hashimoto. 2004. Bread-making quality of wheat/rice flour blends. Food Sci. Technol. Res. 10 : 247-253. 

  27. Zeleznak, K. J. and R. C. Hoseney. 1986. The role of water in the retrogradation of wheat starch gels and bread crumb. Cereal Chem. 63 : 407-4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