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추수술 후 운동요법이 통증, 운동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장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for Postoperative Lumbar Spinal Surgery on Pain, Exercise Self-Efficacy, Activities of Daily Living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18 no.2, 2011년, pp.238 - 248  

김화영 (경상대학교병원)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송명은 (경상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on pain, exercise self-efficacy,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ostoperative lumbar spinal surgery. Method: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in quasi-experimental research. The data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추수술 직후부터 적용 가능한 운동을 개발하고, 운동이 통증, 운동 자기효능감,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요추수술 후 운동요법이 통증, 운동 자기 효능감,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설계의 모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요추수술 후 운동요법이 통증, 운동 자기효능감,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요추수술후 운동을 시행한 실험군은 운동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 점수가 더 낮아졌으며, 운동 자기효능감 점수와 일상생활활동 장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따라서 척추수술환자가 입원중에 운동요법을 실천하고, 이를 가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1일째부터 요추부와 하지의 유연성증진과 근력강화운동으로 이루어진 운동요법을 시행하여 통증의 감소와 운동자기효능감의 증가 및 일상생활활동의 증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여, 요추수술환자들을 위한 간호중재로써 운동요법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제 1가설: 요추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운동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 점수가 더 낮을 것이다.
  • • 제 2가설: 요추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운동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운동 자기효능감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 제 3가설: 요추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운동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일상생활기능점수 더 낮을 것이다.
  • • 제 3가설: 요추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운동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일상생활활동 장애 점수가 더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 질환 환자 중 수술을 받은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인 이유는 무엇인가? 7%로 증가하는 추세이다(Kang & Seo, 2006). 이는 고령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로 척추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에 있어 양질의 삶을 얻고자 수술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Moon, Yoon, & Han, 2008). 수술적 치료를 통해 대상자의 80-90%는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수술 후에도 10~40%정도는 통증의 호전이 없거나 요통, 좌골 신경통 등이 지속되는 척추수술 증후군을 보이며 허리 및 하지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을 가져오게 된다(Park & Cho, 2006).
운동이란 무엇인가? 운동이란 건강을 위해서 신체적 활동을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적절히 사용하는 것으로(Halfman & Hojnacki, 1981),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개발한 유연성과 근력강화 운동으로 구성된 운동요법으로 수술후 1일째부터 발목운동, 대퇴사두근 수축운동을, 수술후 3일 째부터는 한쪽 무릎 굽히기, 하지거상운동을, 수술 후 5일째부터는 변형된 윗몸 일으키기, 골반 기울기 운동을 점진적으로 추가하여 수술 후 1주일동안 담당간호사와 함께 각 동작을 5회씩, 하루에 3회 시행하고 수술 후 2~3주일 동안은 대상자 스스로 6가지 운동을 10회씩, 하루에 3회 시행하는 운동요법을 말한다(Table 1).
척추질환의 치료방법은 무엇인가? 추간반탈출증, 척추전위증, 척추관협착증, 척추분리증 등의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자들은 공통적으로 요통, 하지 방사통, 다리저림, 보행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을 수행 하지 못하게 된다(Park & Cho, 2006). 척추질환의 치료방법은 증상의 정도와 기능의 장애에 따라 침상안정,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하고(Korea Neurology Society, 2000), 추간판 제거술이나 척추후궁 절제술, 척추 후방골 융합술 및 고정술 등의 외과적 수술을 받게 된다. 척추 질환 환자 중 수술을 받은 경우는 2002년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G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2. Bandura, A. (1997).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 Chung, S. G. (2007). Rehabilitative Treatments of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0(6), 494-506. 

  4. Fairbank, J. C. & Pysent, P. B. (1980).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25(22), 2940-2952. 

  5. Halfman, M. A. & Hojnacki, L. H. (1981). Exercise and the maintenance of health. Topical in Clinical Nurssing, 3(2), 1-10. 

  6. Jang, Y. J. (2005). Post operative pain of spinal surgery patients' and satisfaction about intervention of pain contr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7. Kang, S. Y. (1992). The Guide of rehabilitation for lumbar pain. Th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35, 968-975. 

  8. Kang, I. O. & Seo, S. R. (2006). The trends of spine surgery in Korea. Health Insurance Forum, 5(2), 116-139. 

  9. Kim, D. K. (2007). Neuro surgery. Seoul: Ilchokak. 

  10. Kim, H. J. (1995). (The) effects of education of postoperative esercise on postoperative admission and functional recovery in patients with herniated lumbar disc.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Kim, J. I. (1993). Effect of aquatic exercise program with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efficacy on pai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12. Kim, J. S., Kim, M. H., & Yoo, B. K. (1996). The Effect of extension exercise on the reduction of pai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ist, 3(1), 9-19. 

  13. Korea Neurology Society (2000). Neurology. Seoul: Joongang copy. 

  14. Lee, D. H., Sim, D. M., Kim, S. S., Ha, D. H., Kim, T. K., Kim, Y. J., et al. (2002). Effects of the strengthening exercise on back muscles after lumbar discectom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9(1), 41-47. 

  15. Lee, M. J., Kim, E. S., Kim, H., & Lee, S. M. (2009). Effects of a video exercise program for spinal surgery patients on pain, daily living fun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39-48. 

  16. Lee, P. S. & Jang, S. W. (2001). The Study on the effect of stage based exercise motiva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5), 818-834. 

  17. Lee, S. E. (2004). Pain electric.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News, 24(3), 88-195. 

  18. Lee, S. J. & Lee, J. S. (2004). Effect of exercise after surgery on self-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pine surgery patients. Journal of Nursing Studies, 9(1), 21-34. 

  19. Lee, Y. J. & Lim, N. Y. (2009). Effects of tai chi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pain, and self-efficacy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16(1), 26-35. 

  20. Mannion, A. F. & Raymond, D. (2007).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after surgical decompression of the lumbar spine. European Spine Journal, 16, 1101-1117. 

  21. Marcus, B. H., Selby, V. C., Niaura, R. S., & Rossi, J. S. (1992).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se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3(1), 60-66. 

  22. McGregor, A. H., Burton, A. K., Sell, P., & Waddell, G. (2007). The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atient booklet for patients undergoing lumbar discectomy and un-instrumented decompression. European Spine Journal, 16, 339-346. 

  23. Moon, H. K., Yoon, J. Y., & Han, G. S. (2008). Effects of spinal exercise program in the elderly patients after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surgery. Journal of Korea Sports Medicine, 26(1), 19-26. 

  24. Nam, K. W. (2005). Isotonic lumbar extension exercise on improvement and maintenance of trunk stability in the patients with microscopic lumbar discectom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Medical Collage, Busan. 

  25. Park, C. H. & Cho, C. B. (2006). Treatment of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with a spinal cord stimulator(Case Reports). The Journal of the Korean Pain Society, 19(1), 123-126. 

  26. Verbrugge, L. M., Lepkowski, J. M., Konkol, L. L. (1991). Levels of disability among U.S. adults with arthritis. Journal of Gerontology, 46(2), S71-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