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이 어깨수술 후 통증, 관절운동범위 및 운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 Convergence Program on Pain, Range of Motion and Exercise Self-efficacy After Shoulder Surger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4, 2018년, pp.409 - 421  

이혜림 (큰솔병원) ,  김주성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조수민 (좋은삼선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목적은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따라 어깨수술환자 5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에게는 동영상교육, 어깨재활운동 및 운동모니터링으로 구성한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와 어깨관절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chi}^2-test$, t-test 및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어깨통증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어깨관절운동범위와 운동자기효능감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38; p<.001). 그러므로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은 어깨수술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재활중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임상실무영역에서 지속적인 융합중재개발의 확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 convergence program.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sample of 58 patients undergoing shoulder surgery, was includ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shoulder rehabil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은 어깨수술 후 수술부위 고정과 통증으로 인한 초기 운동제한이 강직이나 유착을 유발하거나 부적절한 초기 재활운동으로 인한 상처 부위 재파열 등으로 어깨수술 후 2차적 손상에 따른 어깨관절 운동범위가 감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또한 정형외과의 침습적 수술, 수술 후 적정 간호관리 및 재활물리치료 적용 등 손상된 어깨치료회복에 관여하는 각 전문분야별 지식과 기술을 환자중심으로 융합하여 어깨수술관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이해를 돕고 일상생활 동작에 기반한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재활운동법을 제공하고 지지함으로써 어깨수술 후 체계적인 재활에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성공적인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교육제공, 운동실행 및 운동 모니터링의 3과정으로 다음과 같이 제공하였다.
  • 본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은 어깨수술 후 수술부위 고정과 통증으로 인한 초기 운동제한이 강직이나 유착을 유발하거나 부적절한 초기 재활운동으로 인한 상처 부위 재파열 등으로 어깨수술 후 2차적 손상에 따른 어깨관절 운동범위가 감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또한 정형외과의 침습적 수술, 수술 후 적정 간호관리 및 재활물리치료 적용 등 손상된 어깨치료회복에 관여하는 각 전문분야별 지식과 기술을 환자중심으로 융합하여 어깨수술관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이해를 돕고 일상생활 동작에 기반한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재활운동법을 제공하고 지지함으로써 어깨수술 후 체계적인 재활에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성공적인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프로그램은 시청각매체로 재활운동동작을 재현하여 어깨수술환자가 재활운동을 정확하고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돕고, 일정 수준의 운동량을 규칙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지하며, 문제해결식 상담과 격려를 제공함으로써 운동수행에 대한 효능감을 높이고 어깨건강증진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도록 지원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적 연구보고가 부족한 어깨 수술 후 초기단계에 대한 재활운동융합중재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장기간의 치료가 요구되는 어깨질환관리에서 어깨수술 후 초기 회복기인 입원관리기의 어깨재활 실무 중재마련의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어깨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수술 후 어깨통증, 어깨관절 운동범위 및 운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어깨수술환자에게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술 후 어깨통증, 관절운동범위 및 운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며 다음의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 본 연구는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하였다.
  • 어깨질환의 치료는 국소마취제나 스테로이드약물요법, 근육이완운동과 물리치료, 수술 등으로 관절의 구조적 안정성을 회복하고 통증과 운동범위 제한을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다[2,7-9]. 그러나 어깨질환의 증상이 어깨, 목, 견갑골 내측 주변의 뻐근함이나 당김, 쑤시는 듯한 불쾌감으로 시작되어 단순 피로성 근육통으로 오인해 방치하기 쉽고[2] 적절한 치료없이 경과하면 비가역적 손상이 가속화되어 회복에 어려움이 크며 만성적인 통증과 관절강직 및 관절움직임의 제한을 악화시킨다[1,2].
  • 그러므로 현행의 수술 직후 초기 입원단계에서 적용 중인 운동중재의 내용과 방법을 점검하고 개선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실무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깨수술 후 회복을 돕는 전문분야별 지식과 기술을 환자중심으로 융합하고, 일상생활동작에 기반한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을 어깨수술 환자에게 적용하여 수술 후 어깨통증, 어깨관절운동범위 및 운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어깨수술 후 초기 회복기의 재활을 돕는 간호중재로서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특히 어깨수술 후 약 12주까지는 통증으로 인해 재활운동수행에 어려움이 많아[17] 어깨관절기능회복을 위해 운동이 요구됨에도 환자들은 운동지시를 수행하는데 대한 갈등을 경험한다[4,19,40]. 이에 본 연구는 어깨수술환자의 취약성이 큰 수술직후 입원기간 중 실험군에게 어깨재활에 필요한 관련 지식과 생활동작을 응용한 재활운동을 소개하고 지식에 근거한 어깨운동실천을 체계적으로 융합관리하며 환자를 지지하였다. 이러한 중재관리는 단순히 어깨재활운동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운동수행을 안내한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어깨 운동의 성공적인 수행에 대한 기대신념을 증진시키는데 유효하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기존의 어깨수술환자를 위한 입원 중 운동중재가 유인물교육을 통한 1회성 운동정보제공과 운동실천에 대한 권유에 머물러 물리치료실에서 시행하는 처방운동 이외에는 어깨운동 실천정도에 환자 개인에 따라 편차가 커 운동재활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교육제공 형식으로 시청각 매체를 사용하여 운동정보의 사실성을 확장하고, 운동실천을 정량화된 구체적인 기록으로 확인하며,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모니터링과정을 통해 운동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의 규명과 해결을 모색함으로써 능동적인 운동실천을 도모하는 개선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구성과 진행은 다음과 같다.
  • 또한 휴식보다는 운동을 통한 관절가동범위의 회복이 어깨질환의 통증완화에 유용하다[28]. 통증과 운동효과에 대한 정보제공은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를 유도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교육제공을 통해 어깨재활에 대한 동기화를 이끌고 어깨재활운동의 실천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환자들은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교육정보가 이용 가능한 방법으로 전달될 때 교육중재에 대한 학습부담이 감소하고, 학습동기가 쉽게 자극되어 의료진의 지시에 대한 이행수준을 높힐 수 있다[42].
  • 이를 통해 어깨질환자의 수술 후 치료와 간호 및 재활운동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교육, 운동실행 및 운동모니터링 등 다면적 융합관리가 실무중재로서 어깨수술환자의 성공적인 재활회복에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어깨수술 후 초기 회복기는 조직손상에 따른 심한 통증으로 인해 개인의 자율적인 어깨재활운동수행에 어려움과 한계가 있음을 고려하여 입원기간 중 재활 운동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시스템내 통합적 어깨재활운동의 융합관리를 모색하게 되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시청각매체로 재활운동동작을 재현하여 어깨수술환자가 재활운동을 정확하고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돕고, 일정 수준의 운동량을 규칙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지하며, 문제해결식 상담과 격려를 제공함으로써 운동수행에 대한 효능감을 높이고 어깨건강증진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도록 지원하였다.

가설 설정

  • ▪ 가설 1.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어깨 통증 수준이 낮을 것이다.
  • ▪ 가설 3.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운동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깨관절의 특성은 무엇인가? 어깨관절은 신전, 굴곡, 내전, 외전, 회전 등 움직임의 범위가 넓고 다양한 반면 상완골, 견갑골, 쇄골의 상호 연결과 견갑하근, 극하근, 극상근, 소원근 및 각각의 건으로 둘러싸인 복잡한 해부학적 특성으로 인해 타 인체관절보다 구조적 취약성이 크다[1,2]. 이러한 취약성은 퇴행성변화를 수반하는 노화나 과다사용에 따른 근육피로와 근육손상, 반복적 스트레스성 압박으로 주변 구조물의 허혈, 미세손상, 및 염증 등과 연결되어 다양한 어깨질환을 유발하고 있다.
어깨관절의 취약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어깨관절은 신전, 굴곡, 내전, 외전, 회전 등 움직임의 범위가 넓고 다양한 반면 상완골, 견갑골, 쇄골의 상호 연결과 견갑하근, 극하근, 극상근, 소원근 및 각각의 건으로 둘러싸인 복잡한 해부학적 특성으로 인해 타 인체관절보다 구조적 취약성이 크다[1,2]. 이러한 취약성은 퇴행성변화를 수반하는 노화나 과다사용에 따른 근육피로와 근육손상, 반복적 스트레스성 압박으로 주변 구조물의 허혈, 미세손상, 및 염증 등과 연결되어 다양한 어깨질환을 유발하고 있다. 최근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컴퓨터나 모바일기기의 상용화, 스포츠 활동이 증가하는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인해 어깨통증을 호소하는 어깨질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3,4].
어깨질환의 치료목적은 무엇인가? 어깨질환의 치료는 국소마취제나 스테로이드약물요법, 근육이완운동과 물리치료, 수술 등으로 관절의 구조적 안정성을 회복하고 통증과 운동범위 제한을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다[2,7-9]. 그러나 어깨질환의 증상이 어깨, 목, 견갑골 내측 주변의 뻐근함이나 당김, 쑤시는 듯한 불쾌감으로 시작되어 단순 피로성 근육통으로 오인해 방치하기 쉽고[2] 적절한 치료없이 경과하면 비가역적 손상이 가속화되어 회복에 어려움이 크며 만성적인 통증과 관절강직 및 관절움직임의 제한을 악화시킨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Y. W. Jin. (2012). Biomechanical Research of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Period in Rotator Cuff Repai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Wellness, 9(1), 185-192. 

  2. G. H. Youn, & B. S. Oh. (2014). Aging and Shoulder Pai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3, 125-138. 

  3. J. O. Sim. (2015).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on Range of Motion, Function and Shoulder Pain among Patients with Rotator Cuff Repai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5), 491-500. DOI : 10.7475/kjan.2016.28.5.491. 

  4. H. J. Koo, C. H. Cho, & S. W. Jung. (2011). Psycholog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otator Cuff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7(1), 96-103.. 

  5. Division of Bigdata. (2017). Press release: Frozen Shoulder,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24868 

  6. Health News (2018.1.16). Shoulder pain and Rotator cuff tear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ttp://hi.nhis.or.kr/ch/ggpch001/ggpch001_m02.do?bm_idxMM00000003&bd_idxBD00007005&view_typeview&rnum1&search_gubun1&search_gubun2&search_gubun3&search_str&search_type 

  7. T. K. Jain, & N. K, Sharma. (2014). The effectiveness of physiotherapeutic interventions in treatment of frozen shoulder/adhesive capsuliti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Back an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27, 247-273. 

  8. H. J. Chang, C. H. Choi, & Y. S. Eom. (2013). Choice of Initial Operation and Functional Outcome in Rotator Cuff Repair on Both Shoulder,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48(3), 213-221. DOI : 10.4055/jkoa.2013.48.3.213. 

  9. P. M. Guyver, D. J. Bruce, & J. L. Rees. (2014). Frozen shoulder - A stiff problem that requires a flexible approach, Maturitas, 78, 11-16. 

  10. H. J. Bang, & H. J. Lee. (2016). Difference of Earl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Pain, Function and Sleep Quality for Rotator Cuff Partial Tea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4(3), 1-15, DOI : 10.15268/ksim.2016.4.3.001. 

  11. H. J. Bang, & H. J. Lee. (2014). Effects of Earl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Pain, Function and Sleep Quality for Rotator cuff Partial Tea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4), 69-81. DOI : 10.15268/ksim.2014.2.4.069. 

  12. C. H. Cho, & Y. J. Lim. (2013). When Does the Quality of Life Improve after Rotator Cuff Repair?,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48(4), 231-289. DOI : 10.4055/jkoa.2013.48.4.281. 

  13. C. H. Cho, S. W. Jung, E. S. Son, & I. S. Hwang. (2012). Sleep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47(3), 205-210. DOI : 10.4055/jkoa.2012.47.3.205. 

  14. S. M. Myrtveit, B. Sivertsen, J. C. Skogen, L. Frostholm, K. M. Stormark, & M. Hysing. (2014). Adolescent Neck and Shoulder Pain-The Association With Depression, Physical Activity, Screen-Based Activities, and Use of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55, 366-372. 

  15. C. H. Cho, S. W. Jung, J. Y. Park, K. S. Song, & K. I. Yu. (2013). Is shoulder pain for three months or longer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leep disturbance?,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22, 222-228. 

  16. N. S. Cho. (2016, November). Current issues in management of shoulder joint diseases, 44th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Fall Conference, 7-66. Seoul. 

  17. D. J. Lee, K. H. Son, J. S. Jo, & H. S. Kim. (2013). The Impact of Group Physical Therapy Shoulder Surgery, the Patient's Level of Depression and the Ability to He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1(1), 97-107. 

  18. C. M. Park, J. H. Kim, S. J. Kim, & C. H. Choi. (2012). Effectiveness of Multimodal Pain Control in Early Phase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15(1), 1. DOI : 10.5397/CiSE.2012.15.1.1 

  19. J. H. Kim. (2008). Rotator cuff and rotator interval lesion in overhead athletes, Journal of Korean Orthopedic Society for Sports Medicine. 7(2), 59-66. 

  20. S. H Kim & B. J. Kim. (2010),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epicondyliti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2), 43-55. 

  21. S. W. Lee, M. S. Shon, & J. C. Yoo. (2013). Treatment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Focusing on Arthroscopic Approach,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8(1), 61-69. DOI : 10.4055/jkoa.2013.48.1.61. 

  22. S. K. Tae, & K. H. Lee. (2003). Orthopaedic Rehabilitation in Chronic Shoulder Pain, The Journal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6(2), 99-107. 

  23. Y. K. Kim, & Y. S. Jin. (2003). Range of Motion,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in Accelerated Rehabilitation of Knee and Shoulder. Journal of Korean orthopedic society for sports medicine, 2(1), 56-61.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767233 

  24. T. A. Kwaees, & C. P. Charalambous. (2014). Surgical and non-surgical treatment of frozen shoulder. Survey on surgeons treatment preferences, Muscles, Ligaments and Tendons Journal, 4(4), 420-424. 

  25. N. Callinan, S. McPherson, S. Cleaveland, D. G. Voss, D. Rainville, & N. Tokar. (2003). Effectiveness of Hydroplasty and Therapeutic Exercise for Treatment of Frozen Shoulder, Journal of Hand Therapy, 16(3), 219-224. 

  26. N. Hanchard, L. Goodchild, J. Thompson, T. O'Brien, C. Richardson, & H. Watson. (2013). Evaluation of clinical guidelines for contracted (frozen) shoulder 12-18 months after pub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apy and Rehabilitation, 20(11), 543-549. 

  27. V. D. Larr, & V. D. Zwaal. (2014). Management of the frozen shoulder, Orthopedic Research and Reviews, 6, 81-90. 

  28. S. C. Hahm, & I. B. Kim. (2012). Effects of static stretching and hold-relax on recovering range of motion and reducing pain of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19(3), 39-47. 

  29. S. W. Han, S. M. Bang, & W. J. Lee. (2007). The Effect of Self-exercise, Self-exercise and Scapula Stability Somplex Exercise to Frozen Shoulder Patient, Journal of Korea Sport Research, 18(4), 387-396. 

  30. M. K. Jung. (2012). A Cast Study of a 53-year-old Female Patient with Frozen Shoulder for Effect of Scapular Stabilizing Exercise on Shoulder Pain, Active Range of Motion and Position of Shoulder Blad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18(1), 83-86. 

  31. H. J. Bang, & H. J. Lee. (2015).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Function and Pain for Rotator Cuff Partial Tea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3(1), 53-62. DOI : 10.15268/ksim.2015.3.1.053. 

  32. J. Y. Kim, S. K. Tae, D. H. Yeo, H. M. Lee, & J. S. Oh. (2011). Pre-and Postoperative Isokinetic Strength Test in Rotator Cuff Tear, Clinical in Shoulder and Elbow, 14(2), 179. DOI : 10.5397/CiSE.2011.14.2.179. 

  33. E. J. Jeong, & Y. R. Chae. (2012). The Effects of Self Stretching on Shoulder Pain and Shoulder Flexibility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4), 268-274. DOI : 10.7586/jkbns.2012.14.4.268. 

  34. I. H. Hyong, & M. S. Ha. (2009). The Effect of Additional Mobilization with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on ROM and Subjective Pain Scal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11), 271-279. 

  35. J. Y. Ha. (2010). Health locus of control, 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benefits/barrier of female college stud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2), 116-125. 

  36. Y. S. Suh, & M. S. Hong. (2004). A Study on Distress and State Anxiety Level in Gynecological Postoperative Patients under PCA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4), 351-359. 

  37. B. H. Marcus, V. C. Selby, R. S. Niaura, & J. S. Rossi. (1992).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3(1), 60-66. 

  38. P. S. Lee & S. O. Chang. (2001). Study on the effect of stage based exercise motiva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5), 818-834. 

  39. J. H. Oh. (2013). Natural history and treatment of frozen shoulder, 2013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Program, 220-224. 

  40. D. G. Kim. (2008). Effect of pre-operative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laxity and proprioception and knee strength after ACL reconstruction,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41. Johansson, K. Nuutila, L. Virtanen, H. Katajisto, J. & Salantera, S. (2005). Preoperative education for orthopedic patients: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2), 212-223. 

  42. K. H. Choi, T. H. Lee, S. H. Lee, H. J. Lee, E. O. Kim, J. E. Jang, Y. S. Lee, M. S. Jeong, S. J. Park, E. H. Choi, S. H. Ji, & S. M. Lee. (2007). The effectiveness of audiovisual aids education in preparing patients for colonoscopy, Intestinal Research, 5(1), 52-59. 

  43. W. S. Kang, & J. S. Kim. (2018). The effect of bowel preparation convergence program for colonoscopy,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9(1), 473-483. DOI : 10.15207/JKCS.2018.9.1.473. 

  44. C. H. Lee, Y. I. Kim & S. Y. Kim. (2010). The effects of a walking leader program on walking knowledge and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1(2), 178-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