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자원 가용능력을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지수의 개발
Development of a Hydrological Drought Index Considering Water Availability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3 no.6, 2011년, pp.165 - 170  

박민지 ,  신형진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최영돈 (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박재영 (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natural disasters such a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rought have been increasing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suggests a drought index, WADI (Water Availability Drought Index), that considers water availability using 6 components (water intake, groundwater level, agricul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문학적 가뭄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현장 모니터링자료를 대상으로, 실시간 (1일 간격)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한 데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지수 산정에 각 수리시설물의 가뭄 심도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중첩하였으므로 향후 각 시설물에 따라 차별화된 가뭄 심도 파악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취수원, 농업용 저수지, 댐 등의 공급 또는 가용능력을 고려한 새로운 가뭄지수 WADI (Water Availability Drought Index)를 제시하고, 과거 가뭄피해지역과의 비교를 통한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인자가 적용된 가뭄 지수에 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가뭄 상황을 파악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인자가 적용된 가뭄 지수가 연구되었다. McKee et al. (1993)에 의해 제시된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는 강수량의 감소에 따른 가뭄을 나타내고 있으며, 강수량과 기온뿐 아니라 유효토양수분량에 근거하여 가뭄 정도가 산정되는 파머가뭄심도지수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Shafer and Dezman (1982)에 의해 개발된 수문학적 가뭄지수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는 적설인자, 강수 인자, 하천유출인자, 저류량 인자가 적용된다. SWSI를 국내 실정에 맞게 변형한 MSWSI (Kwon, 2006)는 적설인자 대신 지하수 인자를 산정하여 수자원단위지도의 표준유역단위로 일주일 간격의 전국 가뭄심도를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외에도 토양수분함량에 따른 가뭄 정도를 나타내는 토양수분지수 (Soil Moisture Index, SMI), 식생의 활력도를 나타내는 정규식생지수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이용하여 가뭄 정도를 파악하는 연구도 실시되었다 (K-water, 2006).
WADI에서 활용하는 6개의 요소는 무엇인가? 가뭄은 강수량을 고려한 기상학적 가뭄, 농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량에 의해 산정되는 농업적 가뭄, 물 공급에 초점을 맞춘 수문학적 가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뭄지수 WADI는 수문학적 가뭄지수로서 WAMIS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RIMS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GIMS (national Groundwater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center) 및 가뭄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SPI 등 총 6개 요소 (취수원 수위, 지하수 수위,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댐유입량, 하천수위 및 유량)를 대상으로, 각 요소별로 가용자료의 표준화를 실시한 후, 각 표준화 결과를 순서를 정하여 중첩하므로서 해당일의 가뭄지수를 공간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수이다. 각 수리시설물의 수위와 저수율, 유량은 표준화하여 적용되지만 시설물과 영향을 미치는 지역이 분리되어있어 가뭄 심도 결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가뭄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가뭄은 강수량을 고려한 기상학적 가뭄, 농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량에 의해 산정되는 농업적 가뭄, 물 공급에 초점을 맞춘 수문학적 가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뭄지수 WADI는 수문학적 가뭄지수로서 WAMIS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RIMS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GIMS (national Groundwater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center) 및 가뭄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SPI 등 총 6개 요소 (취수원 수위, 지하수 수위,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댐유입량, 하천수위 및 유량)를 대상으로, 각 요소별로 가용자료의 표준화를 실시한 후, 각 표준화 결과를 순서를 정하여 중첩하므로서 해당일의 가뭄지수를 공간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Hwang, H. S., 2009. Drought Disaster Management. Chunchon international water forum 2009, South Korea. 

  2. Kwon, H. J., 2006. Development of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Drought Assessment Method Based on SWSI (Surface Water Supply Index), Ph.D. diss., Konkuk University. 

  3. K-water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6. Establishment of Drough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4. Lee, D. and T. G. Sallee, 1970. A method of measuring shape. Geographical Review, 60: 555-563. 

  5.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Jan., Aneheim, CA, 179-184. 

  6.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2007-2008. Annual Hydrological Report on Korea (Discharge). 

  7. MO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1995-2006. Annual Hydrological Report on Korea (Discharge) 

  8. Shafer, B. A., and L. E. Dezman, 1982. Development if surface water supply index to asse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 in snowpack runoff areas, Proc. Western Snow Conf., 164-1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