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발효 함초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aturally Fermented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Ju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1, 2011년, pp.1493 - 1500  

박선영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천일염생명과학연구소) ,  조정용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천일염생명과학연구소) ,  정동옥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  함경식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천일염생명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함초를 이용한 응용제품의 하나로 자연발효된 함초발효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초와 당을 혼합하여 2년 혹은 6년간 발효시킨 다음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상온에서 자연 발효시키며 함초발효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함초발효액의 당 함량은 45%내외로 이는 당침출에 의한 제조 방법 때문이며, Na을 제외한 주요 무기질은 K, Mg 그리고 Ca으로, 그중 K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 proline, aspartic acid 그리고 lysine으로, 이들 일반성분들의 발효기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약 50 CAE mg/100 mL이고, DPPH와 ABTS$^+$ radical-scavenging 활성은 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할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함초발효액은 ACE${\alpha}$-glucosidase에 대해서도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장기 발효된 함초발효액(LFGJ)에서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에 장기 발효된 함초발효액(LFGJ)을 4%의 고염식이군 실험쥐(SD rat)에 급여한 결과, 일반적인 특성은 대조군(4% 고염식이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함초발효액군(FGJ; 4% 고염식이+2% LFGJ)의 체중증가량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포도당 내성 실험 결과, 함초발효액군(FGJ)에서 포도당 내성이 더 개선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lasswort juice fermented naturally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Glasswort juice fermented for six years (LFGJ) showed higher crude fiber and lower NaCl content than glasswort juice fermented for two years (SFGJ). Fer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함초를 이용한 응용제품의 하나로 자연발효된 함초발효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초와 당을 혼합하여 2년 혹은 6년간 발효시킨 다음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상온에서 자연 발효시키며 함초발효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함초발효액의 당 함량은 45%내외로 이는 당침출에 의한 제조 방법 때문이며, Na을 제외한 주요 무기질은 K, Mg 그리고 Ca으로, 그 중 K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자연 발효된 함초발효액의 생리활성과 장기간 발효의 필요성을 조사하고자, 함초를 상온에서 1년간 자연 발효시킨 다음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상온에서 1년(최종발효 2년) 혹은 5년(최종발효 6년) 동안 발효시켜 만든 함초발효액들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초에 함유된 betaine과 choline의 기능은? 최근 isoquercitrin 6''-O-methyloxalate와 methyl 4-caffeoyl-3-dihydrocaffeoyl quinate 등의 신규물질 및 다수의 dicaffeoylquinic acid들이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scavenging 활성뿐만 아니라 cholesteryl ester hydroperoxide 생성 저해 활성을 갖는 항산화 활성 물질로 구명되어진 바 있다(19). 또한 함초에 함유된 betaine과 choline은 간의 해독작용과 지방간 축적을 막고, 혈중 독성 농도를 줄여주며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전구체로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20,21).
함초의 이명은? 함초(Salicornia herbacea L.)는 염스트레스에 내성을 갖는 염생식물로,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 바닷가에 자생하며 퉁퉁마디로도 불리어진다. 특히 이 식물은 일반 육상식물들과 달리 NaCl 함량이 높고 Ca, Mg, 그리고 K 등의 무기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1).
함초가 일반 육상식물들과 다른 영양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는 염스트레스에 내성을 갖는 염생식물로,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 바닷가에 자생하며 퉁퉁마디로도 불리어진다. 특히 이 식물은 일반 육상식물들과 달리 NaCl 함량이 높고 Ca, Mg, 그리고 K 등의 무기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1). 예로부터 함초는 몸 안에 쌓인 독소와 숙변을 없애고, 암, 고혈압, 당뇨병, 피부병, 관절염 등을 치료하기 위해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왔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Min JG, Lee DS, Kim TJ, Park JH, Cho TY, Park DI. 2002. Chemical composition of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7: 105-107. 

  2. Song TC, Lee CH, Kim YE, Kim IH, Han DS, Yang DH. 2007. The functionality of the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fermented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95-399. 

  3. Cho YS, Kim SI, Han YS. 2008. Effects of slander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on improvements in bowel function and constipation relief.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26-331. 

  4. Kim SH, Ryu DS, Lee MY, Kim KH, Kim YH, Lee DS. 2008. Anti-diabetic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om Salicornia herbace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43-48. 

  5. Kim MW. 2007.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t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40: 5-13. 

  6. Cha JY, Jeon BS, Park JW, Kim BK, Jeong CY, Ryu JS, Choi CK, Cho YS. 2004.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yogurt supplemented Salicornia herbacea extract in cholesterol- fed rats. Korean J Life Sci 14: 747-751. 

  7. Lee JT, An BJ. 2002. Detection of phys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Kor J Herb 17: 61-69. 

  8. Han SK, Kim SM. 2003. Antioxidative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grown in closed sea be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07-210. 

  9. Song HS, Kim DP, Jung YH, Lee M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Korean J Food & Nutr 20: 150-157. 

  10. Kim HS, Park JW, Lee YJ, Shin GW, Park IB, Jo YC. 2009. The amino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Food Preserv 16: 427-434. 

  11. Jung BM, Park JA, Bae SJ. 2008.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herbacea L. fraction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153. 

  12. Ryu DS, Kim SH, Lee DS. 2009. Anti-proliferative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Salicornia herbacea on induction of G2/M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19: 1482-1489. 

  13. Im SA, Lee YR, Lee YH, Oh ST, Gerelchuluum T, Kim BH, Kim YS, Yun YP, Song SG, Lee CK. 2007. Synergistic activation of monocytes by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Salicornia herbacea and interferon- $\gamma$ . J Ethnopharmacol 111: 365-370. 

  14. Im SA, Kim KJ, Lee CK. 2006.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Salicornia herbacea. Int Immunopharmacol 6: 1451-1458. 

  15. Lee YS, Lee HS, Shin KH, Kim BK, Lee SH. 2004. Constituents of the halophyte Salicornia herbaceae. Arch Pharm Res 27: 1034-1036. 

  16. Lee KY, Lee MH, Chang IY, Yoon SP, Lim DY, Jeon YJ. 2006. Macrophage activation by polysaccharide fraction isolated from Salicornia herbacea. J Ethnopharmcol 103: 372-378. 

  17. Park SH, Kim KS.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flavonoids from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20-123. 

  18. Chung YC, Chun HK, Yang JY, Kim JY, Han EH, Kho YH, Jeong HG. 2005. Tungtungmadic acid, a novel antioxidant, from Salicornia herbacea. Arch Pharm Res 28: 1122-1126. 

  19. Kim JY, Cho JY, Ma YK, Park KY, Lee SH, Ham KS, Lee HJ, Park KH, Moon JH. 2011. D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 and flavonoid glucosides from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Food Chem 125: 55-62. 

  20. Lee CH, Kim IH, Kim YE, Oh SW, Lee HJ. 2004. Determination of betaine from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4-1587. 

  21. Shin KS, Boo HO, Jeon MW, Ko JY. 2002. Chemical components of native plan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Plant Res 15: 216-220. 

  22. Park IB, Park JW, Lee YJ, Shin GW, Kim HS, Jo YC. 2009. Quality characteristic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02-908. 

  23. Cho JY, Park SY, Sin MJ, Gao TC, Moon JH, Ham KS. 2010.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fermented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37-1142. 

  24. Kim YS, Park G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sauce with concentrated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 939-946. 

  25. KFDA. 2008. Korean Food Code . Munyoungsa, Seoul, Korea. 10-1-27-28. 

  26. Lee KD, Park JW, Choi CR, Song HW, Yun SK, Yang HC, Ham KS. 2007. Salinity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olar salts produced in Jeollanamdo province of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53-758. 

  27. Lee SJ, An KW, Choi TS, Jung HS, Moon JH, Park KH. 2010.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ut. Korean J Food Preserv 17: 139-144. 

  28. Toshihisa H, Kenji O, Yasuhiro N, Takanori S, Ryuichiro M, Ryotaro T, Toru A, Hisashi M, Yasushi N, Hideo M, Toyoaki M. 2006. Upregulation of renal eNOS by high-sodium diet facilitates hypertension in doxorubicin-treated rats through enhanced oxidative stress. Toxicology 225: 81-89. 

  29. Moretti CL, Mattos LM, Calbo AG, Sargent SA. 2010. Climate changes and potential impacts on postharvest quality of fruit and vegetable crops: A review. Food Res Int 43: 1824-1832. 

  30. RDA. 2006. Food composition tabl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p 354-355. 

  31. Sa JH, Lee W,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S, Kim YJ, Cheung EH, Kim GG, Choi DS. 2004. Antioxidant effect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11-316. 

  32. Nada BO, Dominique R, Nadia C, Philippe T, Moktar H. 2009.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loss during the fermentation of chetoui olives. Food Chem 116: 662-669. 

  33. Kim GD, Lee YS, Cho JY, Lee YH, Choi KJ, Lee Y, Han TH, Lee SH, Park KH, Moon JH. 2010. Comparison of the content of bioactive substances and the inhibitory effects against rat plasma oxidation of conventional and organic hot peppers (Capsicum annuum L.). J Agric Food Chem 58: 12300-12306. 

  34. Bang MA, Kim HA, Cho YJ. 2002.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dietary hamcho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40-846. 

  35. Shobana S, Sreerama YN, Malleshi NG. 2009. Composition and enzyme inhibitory properties of finger millet (Eleusine coracana L.) seed coat phenolics: Mode of inhibition of $\alpha$ -glucosidase and pancreatic amylase. Food Chem 115: 1268-1273. 

  36. Lee SS, Lin HC, Chen CK. 2008. Acylated flavonol monorhamnosides,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from Machilus philippinensis. Phytochemistry 69: 2347-2353. 

  37. Toshiro M, Takashi T, Satomi T, Asami T, Kei T, Yuji M, Kasunari T, Kiyoshi M. 2007.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profile of catechins and theaflavins. J Agric Food Chem 55: 99-105. 

  38. Takehide O, Tomoichiro A, Toshiro F. 2003. Contribution of salt intake to insulin resistance associate with hypertension. Life Sciences 73: 509-523. 

  39. Myrtle TP, Teclemicael KT, Camille F, Min W, Mohamed AB, Nerimiah LE, Jolanda W, Keri G. 2002. Plasma 24,25-di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of Dahl salt-sensitive rats decreases during high salt intake. J Steroid Biochem Mol Biol 80: 315-321. 

  40. Ekkapon L, Gao TC, Jung ST, Park SY, Cho JY, Ham KS. 2008. Effect of mineral-rich solar salt on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ignaling in high-salt diet-fed rats. Abstract NO TS25-37 presented 14th Annual Meeting of the World Congress of Food Science & Technology. Shanghai, China. 

  41. Rhee SY, Chon S, Oh SJ, Kim SW, Kim JW, Kim YS, Woo JT. 2006. Insulin secre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newly diagnosed, drug naive prediabetes and type 2 diabetes patients with/without metabolic syndrome. Diabet Metabol J 30: 198-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