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채취 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탐색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6 no.4 = no.77, 2006년, pp.683 - 690  

차재영 (대선주조(주) 연구소) ,  정재준 (대선주조(주) 연구소) ,  김용택 (대선주조(주) 연구소) ,  서원석 (대선주조(주) 연구소) ,  양현주 (대선주조(주) 연구소) ,  김진숙 (대선주조(주) 연구소) ,  이용수 (대선주조(주)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초의 생리활성 물질을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함초의 채취 시기별 함초의 수용성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건물 중량 100 g당 6월 0.682%, 8월 1.005% 및 10월 0.754%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6월 1.015%, 8월 1.158% 및 10월에 0.953%로 8월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함초 수용성 추출물의 betaine 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6월, 8월, 10월에서 각각 0.248%, 0.269% 및 0.204%로 나타났다. 함초 성숙 단계별로 채취한 시료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 함량(mg%)이 6월, 8월, 10월에서 각각 glutamic acid (582: 519: 664), proline (552: 471: 322), phenylalanine (480: 431: 424), aspartic acid (322: 297: 330), 및 arginine (282: 321: 483)이었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 함량 (mg%)은 6월과 8월에 각각 proline (9.7: 3.4), asparagine (6.7: 1.4), hydroxyproline (6.4: 2.8), valine (3.9: 2.5) 및 arginine (1.7: 3.0) 이었다. 그러나 10월에 채취된 함초의 유리 아미노산은 유일하게 amonium chloride 0.27 mg%와 1-methyl-L-histidine 0.18 mg%만 함유되어 있었다. 채취 시기별 함초의 미네랄 성분 함량 (mg%)은 전체적으로 Na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K, Mg, Ca, P 순이었다. 채취 시기별로 미네랄 함량이 각각 Na (5695: 7536: 5529), K (1640: 963: 931), Mg (359: 428: 348), Ca (221: 234: 251) 및 P (207: 189: 259)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6월에 K, 8월에 Na와 Mg, 10월에 Ca과 P가 각각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EDA) 측정에서는 0.05% BHT> 8월> 6월> 10월 순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함초의 이화학적 성분은 채취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화합물 및 베타인의 생리활성 성분은 8월에 채취한 함초에서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amino acids, minerals, betaine, and polyphenolic compounds from Salicornia herbacea (Hamcho)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were analyzed. Changes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Hamcho were evaluated for titratable acidity, pH, soluble sol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함초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인 폴리페놀 화합물, 베타인, 구성 및 유리 아미노산, 미네랄 농도를 생육 시기별로 측정하여 함초를 첨가한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2. Cha, J. Y. and Y. S. Cho. 1997. Effects of hesperidin, naringin and their aglycones on the in vitro assay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and on the proliferation in cultured human hepatocytes HepG2 cells. Agri. Chem. Biotech. 40, 577-582 

  3. Cha, J. Y. and Y. S. Cho.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4. Cha, J. Y., B. S. Jeon, J. W. Park, B. K. Kim, C. Y. Jeong, J. S. Ryu, C. K. Choi and Y. S. Cho. 2004.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yogurt supplemented Saliconia herbacea extract in cholesterol-fed rats. Korean J. Life Sci. 14, 747-751 

  5. Cho, K. J., Y. S. Lee and B. H. Ryu. 1990.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seaweeds toward sarcoma-180. J. Korean Fish Soc. 23, 345-352 

  6. Choi, O. J. and K. H. Choi. 2003.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56-362 

  7. Han, S. K. and M. S. Kim. 2003. Antioxidative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grown in closed sea be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07-210 

  8. Han, S. K., M. S. Kim and B. S. Pyo. 2003. Antioxidative effect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on the lipid oxidation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46-49 

  9. Ihm, B. S. and J. S. Lee. 1986. The strategies of Salicornia herbacea and Suaeda japonica for coping with environmental fluctuation of salt marsh. Korean J. Environ. Biol. 4, 15-25 

  10. Im, S. A., G. W. Kim and C. K. Lee. 2003.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L. components, Nat. Prod. Sci. 9, 273-277 

  11. Jo, Y. C., J. H. Ahn, S. M. Chon, K. S. Lee, T. J. Bea and D. S. Kang.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Medicinal Corp Sci. 10, 93-99 

  12. Kim, E. S., K. J. Im, H. Park and S. K. Chun. 1978. Studies on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foods (I).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371-378 

  13. Kim, C. S. and T. G. Song.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e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 Korean J. Ecology 6, 167-176 

  14. Kim, S. K., J. Y. Cha, S. J. Jeong, C. H. Chung, Y. L. Choi and Y. S. Cho. 2000. Propertie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prout. J. Life Sci. 10, 68-73 

  15. Kim, D. S. and C. H. Kim. 2001. Effect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extract on activities of glucokinase and hexokinase in alloxan-induced diabetic mellitus mice. Korean J. Life Sci. 11, 467-482 

  16. Kim, Y. S., M. R. Huh and J. C. Park. 2001. Effects of culture media and seawater on growth and mineral concentrations in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Korean J. Hort. Sci. Technol. 19, 342-347 

  17. Lee, C. H., I. H. Kim, Y. E. Kim, S. W. Oh and H. J. Lee. 2004. Determination of betaine from Salico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4-1587 

  18. Lee, J. H. and S. R. Lee.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n Korea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19. Lee, H. S., M. S. Choi, Y. K. Lee, S. H. Park and Y. J. Kim. 199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fiber supplements for the diabetic patients (2)-Effect of seaweed supplementation on the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29, 296-306 

  20. Lee, K. S., J. S. Seo and Y. S. Choi. 1998. Effect of sea tangle and hypoglycemic agent on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60-967 

  21. Lee, J. J., C. S. Kim, S. H. Kim, C. S. Huh and Y. H. Baek. 1999. Changes of polyphenol contents in unripe apples according to heat treat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7-152 

  22. Lee, E. J. and M. K. Sung. 2001. Effect of fiber-rich sea mustard feeding on AOM-induced colon aberrant crypt formation and colonic cell proliferation in Sprague Dawley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35-539 

  23. Lee, J. T., Y. S. Jeong and B. J. An. 2002.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and Its application for cosmetic materials. Kor. J. Hearology 17, 51-60 

  24. Lee, Y. S., H. S. Lee, K. H. Shin, B. K. Kim and S. Lee. 2004. Constituents of the halophyte Salicornia herbacea. Arch. Pharm. Res. 27, 1034-1036 

  25. Park, E. I. and T. A. Garrow. 1999. Interaction between dietary methionine and methyl donor intake on rat liver betaine- homocysteine methyltransferase gene expression and organization of the human gene. J. Biol. Chem. 274, 7816-7824 

  26. Park, J. H., K. S. Kim and H. K. Choi. 1997. Studies on the free amino acid, organic acid and fatty acid content of Korean tea plants. J. Korean Tea Soc. 3, 73-87 

  27. Park, S. H. and K. S. Kim.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flavonoids from Salicornia herb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20-123 

  28. Swain, T., W. 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