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 분류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Soil Moisture Estimation Mod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CART)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1 no.2B, 2011년, pp.155 - 163  

김광섭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박정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CART)기법, 인공신경망모형, 인공위성 원격탐사자료와 지형자료 및 지상 기상관측망자료를 이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사용된 토양수분 관측자료는 용담댐 유역에서 관측된 5개 지점의 토양수분자료를 사용하였다. 가용자료에 대해 CART기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류한 다음 분류된 각 자료집단에 대하여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모형을 적용하여 토양수분 분포를 예측하였다. 모형의 학습에 사용된 주천, 부귀, 상전, 안천 지점의 토양수분 산정치는 관측치와 약 0.92-0.96의 상관계수, 약 1.00-1.88%의 평균제곱근오차와 약 0.75-1.45%의 평균절대오차를 보여주었다. 토양수분 추정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천천2의 지점에 적용한 결과 약 0.91의 상관계수, 약 3.19%의 평균제곱근오차, 약 2.72%의 평균절대오차를 보여 CART기법과 인공신경망모형을 연계한 토양수분 산정모형이 토양수분 분포제시 활용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soil moisture estima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a decision tree mode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model, remotely sensed data, and ground network data of daily precipitation, soil moisture and surface temperature. Soil moisture data of the Yongdam dam basin (5 sit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변수별로 수치의 범위가 다양하여 토양수분 산정모형 구성 시 본래 값 그대로의 자료를 입력변수로 사용하면 효율성이 낮아짐으로 자료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산정모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료를 전처리한 후 도출된 변수를 역변환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에 변수를 0에서 1까지의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Eq.
  • 본 연구에서는 CART기법과 인공신경망모형을 이용한 토양 수분 산정모형을 제시하였다. 적용 대상유역으로는 신뢰도가 높은 지상관측 토양수분자료를 가진 용담댐 유역을 선택하였으며 모형의 training을 위하여 먼저 주천, 부귀, 상전, 안천 지점의 강수량, 토양수분, 지면온도, 위성영상 MODIS NDVI 등을 입력변수로 사용하여 CART기법으로 분류한다.
  • 또한 Elshorbagy와 Parasuraman(2008)은 토양 수분 역학을 특성화한 HONNs(Higher-Order Neural Networks) 모형을 사용하여 토양수분 시뮬레이션 중 일부분에 대해 일반적 인공신경망모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계수 결과를 보여준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 추정에 비선형적 산정모형을 병렬적으로 구축할 수 있고 추정모형에 대한 적용성이 뛰어난(Lippmann, 1987) 인공신경망모형과 동일 자료 특성을 가진 자료집단을 분류하기 위하여 사용한 CART기법을 연계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인공신경망의 입력변수로써 강수량, 토양수분, 지면온도 등의 지상관측자료와 인공위성 원격탐사자료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를 이용하였으며 CART 기법을 이용하여 병렬 신경망의 입력자료집단을 형성하였다.
  • 9114로 토양수분 거동을 잘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토양수분의 거동을 잘 보여주고 있는 구축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토양수분 지상관측망이 구축되어 있는 용담댐 대상유역에 대한 본 모형의 적용을 통하여 전체적인 공간분포나 월별 변화특성을 잘 나타내는 우수한 토양수분 공간자료 생산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나,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수문 및 기상모형에 활용 가능한 전국 토양수분 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토양, 식생, 지형 특성에 대한 적정 토양수분 지상관측망과 자료의 구축이 절실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결정나무 분석 기법 중 CART 기법의 분할 세 단계는 무엇인가? 이는 Breiman 등(1984)이 설명한 분할 세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재귀분할기법을 이용한 분할기준에 따라 변수와 분할지점을 선택하여 나무의 성장을 수반한다. 기본 변수와 대리모 변수의 선택에 있어 분할기준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요 변수의 누락 값을 관측하는 것에도 사용되며 그 값의 확인 및 선택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나무는 두 번째 단계에서 나무의 뿌리노드부터 마지막 노드까지 복잡도 측정을 하여 중첩된 하위 집합부분이나 분류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부분을 가지치기 절차를 통해 제거한다. 교차검증이나 검사표본은 각각의 하위노드에 대한 분류오차를 예측하는 곳에 사용되고 교차유효성검사는 데이터 포인트의 작은 숫자를 사용하여 CART기법을 구축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는 가장 낮은 교차검증 또는 설정오류율이 매우 미미한 결과에 해당하는 최적의 나무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나무는 불안정한 상태이며 나무의 크기가 작을수록 안정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하나의 표준오차 내의 정확성을 비교하려면 대안책을 선정해야 된다. 이 절차는 표준오차규칙을 나타내고 변화하는 크기나 복잡성을 가지는 나무를 얻기 위해 조정할 수 있다. 변수 중요도측정은 또 다른 변수가 기본 분할하는 곳에 대신 사용될 때 떨어지는 오류율을 관찰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더 많은 변수가 기본 또는 대리 분할로 중요성이 높게 나타나는 잦은 할당 점수이다.
BEACH 모형이란 무엇인가? 유역에 분포한 토양수분의 상태를 알기 위하여 수문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Sheikh 등(2009)은 토양수분의 초기상태를 예측하기 위해 토지 이용 시나리오 분석에 유용한 공간분산 수문모형인 BEACH(Bridge Event And Continuous Hydrological)모형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최근 원격관측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광역의 토양수분 관측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관측심과 대기영향 및 지표면 영향 등을 고려하여 토양수분측정의 방법으로 마이크로파 주파수(L-band)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Mallick 등, 2009).
물 순환구조에서 토양수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물 순환구조에서 토양수분이 차지하는 정량적 비중은 작음에도 불구하고, 날씨와 기후, 강우-유출시스템과 홍수, 토양 침식과 산사태, 농업생산량 등 넓은 범위에 걸쳐 관계되어 있어 수문학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토양수분은 증발-증산을 통해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물과 에너지 교환을 연계하는 주요변수로 강수생성과 날씨패턴 및 유출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경민수, 이용원, 김형수, 김병식(2009) 기후변화가 서울지역의 기온 및 가뭄에 미치는 영향 평가 : AR4 SRES A2 시나리 오를 기반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 2B호, pp. 181-191. 

  2. 김광섭, 박한균(2010) CART기법과 보조자료를 이용한 토양수분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7호, pp. 597-608. 

  3. 김광섭, 이을래(2004) 신경망기법과 보조자료를 사용한 원격측정 토양수분자료의 Downscaling기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호, pp. 21-29. 

  4. 김성준, 채효석(1999) 격자기반의 토양수분추적모형 개발 : 보청천 유역 사례연구.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7권, 제1호, pp. 33-48. 

  5. 김수전, 권영수, 이건행, 김형수(2010) 신경망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유출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2B호, pp. 159-167. 

  6. 민성원, 이정림, 서명석(2006) MTSAT IR1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산출과 토양수분 추정. 2006년도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기상학회, 제7권, 제2호, pp. 366-367. 

  7. 조홍규(2003) 인공지능 방법을 이용한 신용평가 모형에 대한 개관. 나이스채권평가 금융공학연구소. 

  8. 홍우용, 박민지, 박종윤, 하림, 박근애, 김성준(2009) 봄철 SWAT 모형의 산림 토양수분과 Terra MODIS 위성영상 NDVI와의 상관성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한국농공학회, 제51권, 제2호, pp. 7-14. 

  9. 황태하,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2006) SWAT 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지수 산정과 가뭄감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4B호, pp. 345-354. 

  10. 황현경, 김경호(2008)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수위 예측. 건설기술논문집, 건설기술연구소, 제27권, 제1호, pp. 43-56. 

  11. Ahmad, S., Kalra, A., and Stephen, H. (2010) Estimating soil moisture using remote sensing data: A machine learning approach.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33, No. 1, pp. 69-80. 

  12. ASCE Task Committee on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Hydrology (2000)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hydrology. I: Preliminary concept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5, No. 2, pp. 115-123. 

  13. Bowden, G.J., Dandy, G.C., and Maier, H.R (2005) Input determination for neural network models in water resources applications. Part 1-background and methodology. Journal of Hydrology, Vol. 301, No. 1-4, pp. 75-92. 

  14. Breiman, L., Friedman, J.H., Olshen, R.A., and Stone, C.J. (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hapman & Hall/CRC, Boca Raton. 

  15. Chai, S.S., Veenendaal, B., West, G., and Walker, P. (2008)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for soil moisture retrieval using NAFE'05 data : a comparison of different training algorithm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37, No. B4, pp. 1345-1349. 

  16. Elshorbagy, A. and Parasuraman, K. (2008) On the relevance of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estimation soil moisture content. Journal of Hydrology, Vol. 362, No. 1-2, pp. 1-18. 

  17. Frate, F.D., Ferrazzoli, P., and Schiavon, G. (2003) Retrieving soil moisture and agricultural variables by microwave radiometry using neural network.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4, No. 2, pp. 174-183. 

  18. Jiang, H. and Cotton, W.R. (2004) Soil moisture estimation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 feasibility study. Can. J. Remote Sensing, Vol. 30, No. 5, pp. 827-839. 

  19. Kim, G. and Barros, A.P. (2002) Space-time characterization of soil moisture from passive microwave remotely sensed imagery and ancillary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1, No. 2, pp. 393-403. 

  20. Lippmann, R.P. (1987) An introduction to computing with neural network. ASSP magazine, Vol. 4, No. 2, pp. 4-22. 

  21. Mallick, K., Bhattacharya, B.K., and Patel, N.K. (2009) Estimating volumetric surface moisture content for cropped soils using a soil wetness index based on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49, No. 8, pp. 1327-1342. 

  22. Sheikh, V., Visser, S., and Stroosnijder, L. (2009) A simple model to predict soil moisture : Bridging event and continuous hydrological( BEACH) modelling.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Vol. 24, No. 4, pp. 542-556. 

  23. Zweiri, Y.H. (2006) Optimization of a three-term backpropagation algorithm used for neural network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Intelligence, Vol. 3, No. 4, pp. 322-3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