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자원사업 대안선정 및 투자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다기준의사결정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CDM for the Selection of Preferable Alternative and Determination of Investment Priority in Water Resource Project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1 no.6B, 2011년, pp.551 - 563  

여규동 (인하대학교 수자원시스템연구소) ,  김길호 (인하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이상원 (인하대학교 경제학부) ,  최승안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자원사업은 대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따라서 수자원사업은 합리적이고 신뢰성 있는 의사결정이 필요한데 그동안 주로 경제성분석에 의존하여 왔다. 본 연구목적은 경제성분석위주의 기존 의사결정이 아닌, 사업의 필요성과 투자의 타당성을 다양한 각도로 평가할 수 있는 수자원사업 대안선정과 투자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다기준의사결정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경제성 분석, 정책적 분석, 취약성 분석과 각각의 하위평가항목으로 평가기준을 구성하였다. 또한, 전문가 설문을 통한 사전 가중치를 제시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평가항목의 속성별로 위험성향을 고려한 효용함수를 도출하였다. 종합평가점수는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속성별 효용점수로 산정된다. 적용결과, 평가기준은 취약성 기준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자원사업에 대한 효율성과 취약지역에 대한 형평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resource projects need an enormous national budget. Therefore, a reasonable and reliable decision making is required for the planning of water resource projects, but decision making has been mostly performed by economic 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criteria Dec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자원사업과 같은 공공사업은 계획수립과정을 거치면서 다수의 전문가 의견이 자연스럽게 취합된 집단의사결정이므로 평가기준의 속성별로 집단의 효용에 대한 함수를 적용하여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가 설문을 통해 평가기준 속성별로 확실등가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용함수를 개발하여 최대한 집단의 의견이 의사결정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 그러나 큰 틀에서 보면, 의사결정의 개념과 절차는 다르지 않으므로 대안설정이나 평가기준의 속성을 하천사업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고, 평가기준간 가중치를 도출한다면, 하천기본계획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업대안에는 비구조물적 대책이 있으나, 현재의 수준으로는 이에 대한 경제성분석도 불가능하며, 구조물적 대책을 통해 직접적인 사업목적을 달성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적 대책을 대상으로 대안을 수립함을 밝힌다.
  • 또한 선정된 대안에 대한 단위시설별 투자우선 순위결정방법이 명확하지 않으며, 편익비용비와 설계자의 판단 위주로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에 근거를 두고 연구목적을 설정하였으며, 수자원사업 기본계획 수립 시 투자우선순위결정을 위해 일관성 있는 하나의 통합된 기준으로 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다기준의사결정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평가기준의 계층 설정 및 가중치 산정에는 AHP의 고유벡터법(eigen vector method)을, 평가기준의 표준점수 산정에는 효용함수(utility function)를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AHP의 계층구조 설계 및 일관성 검정이 가능한 가중치 산정과 다속성효용함수법(MAUT)의 의사결정자의 효용을 직접 측정이라는 장점을 결합한 다기준의사결정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기본계획 수립 시 각종 조사 및 수리·수문학적 분석, 대안수립과정 등은 현행 방법을 유지하되, 대안선정 및 투자우선순위 결정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사업의 주목적인 이수, 치수, 하천환경의 범위 내에서 경제적 효율성과 취약지역에 대한 형평성, 사업의 시급성 등을 고려한 다기준의사결정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생활 및 공업용수 공급목적의 WW권역 광역상수도사업, 환경개선용수·생활용수·홍수조절목적의 XX다목적댐건설사업, YY지하방수로 축조사업을 대상으로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 적용될 평가기준은 경제성 분석, 정책적 분석-관련 계획 및 정책방향 연관성, 취약성 분석-치수취약도로 설정하였다. 유역종합치수계획은 유역별로 상이하나, 본 논문에서는 전체 수자원사업을 대상으로 한 가중치를 본 유역의 가중치로 가정하였으며, 홍수방어대책으로 가능한 단위사업안의 조합인 대안은 총 5개로 표 6과 같다.
  • 평가기준 선정을 위해 근본적인 배경을 설정하였다. 첫째, 국민의 세금으로 투입되는 사업이 경제적으로 효율성을 가지는지?, 둘째, 사업시행에 따른 금전적 또는 복지적 혜택의 이동이 전반적으로 형평성에 위배되지 않고 여러 집단에 합리적으로 배분되었는지?, 셋째, 수자원사업은 특성상 다른 분야 또는 상·하위 계획과 연계가 많이 되는 사업이므로 관련 계획과의 연계성은 잘 이루어지는지?, 넷째, 사업에 의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는 공간적인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그 범위에 해당하는 지방자치단체 또는 집단이 사업을 반대하지는 않는지?, 다섯째, 이수 또는 치수와 관련하여 특별히 취약하여 시급히 사업을 시행해야 할 지역은 없는지? 등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수자원사업 의사결정에 적합한 평가기준을 구성하였으며, “수자원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4판)(한국개발연구원, 2008)”의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수자원사업 기본계획수립단계에 적절하도록 선정하였으며, 그림 1은 선정된 평가기준의 계층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자원사업의 목적은? 용수이용, 홍수조절, 하천환경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수자원사업은 국민의 생명 및 재산과 삶의 질에 직결되며, 물과 관련된 사업의 특성상 다수의 이해당사자가 얽힌 대규모의 예산을 필요로 하는 사업이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국가에서 수행한 주요 수자원사업으로 국가하천정비사업, 하천재해예방사업, 댐건설사업, 댐치수능력증대사업, 용수공급사업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사업비는 연평균 약 2조 원이고, 지방정부에서 수행한 수자원사업의 예산을 더한다면, 전체 국가예산에서 적지 않은 규모를 차지한다.
국가하천정비사업, 하천재해예방사업, 댐건설사업, 댐치수능력증대사업, 용수공급사업과 같은 수자원사업은 어떤 일정에 의해 진행되는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국가에서 수행한 주요 수자원사업으로 국가하천정비사업, 하천재해예방사업, 댐건설사업, 댐치수능력증대사업, 용수공급사업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사업비는 연평균 약 2조 원이고, 지방정부에서 수행한 수자원사업의 예산을 더한다면, 전체 국가예산에서 적지 않은 규모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사업은 기본계획에서 사업안이 제기되고, 총사업비 500억 원 이상 대규모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타당성조사, 기본설계, 실시설계, 사업시행단계를 거친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계획수립단계에서 한정된 예산으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하고, 지역적 형평성을 가지며, 취약한 지역의 문제점은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 의사결정자는 사업목적에 적합한 최선의 사업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국가에서 수행한 주요 수자원사업은 무엇이 있는가? 용수이용, 홍수조절, 하천환경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수자원사업은 국민의 생명 및 재산과 삶의 질에 직결되며, 물과 관련된 사업의 특성상 다수의 이해당사자가 얽힌 대규모의 예산을 필요로 하는 사업이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국가에서 수행한 주요 수자원사업으로 국가하천정비사업, 하천재해예방사업, 댐건설사업, 댐치수능력증대사업, 용수공급사업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사업비는 연평균 약 2조 원이고, 지방정부에서 수행한 수자원사업의 예산을 더한다면, 전체 국가예산에서 적지 않은 규모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사업은 기본계획에서 사업안이 제기되고, 총사업비 500억 원 이상 대규모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타당성조사, 기본설계, 실시설계, 사업시행단계를 거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인주, 윤용남(2001) 가뭄관리를 위한 수문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2001년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 489-494. 

  2. 건설교통부(2007) 치수사업 대안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방안 연구. 

  3. 고석구, 이광만, 고익환 (1992) 多基準 意思 分析 技法에 의한 多目的 貯水池의 運營律 平家.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5권, 제1호, pp. 83-92. 

  4. 기획재정부(2009)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5. 김성희, 정병호, 김재경(2003) 의사결정분석 및 응용. 영지문화사. 

  6. 김양렬(2010) 의사결정론. 명경사. 

  7. 김우구(2006) 다기준의사결정해석을 이용한 댐사업 우선순위 결정.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8. 김치영(2001) 가뭄지수에 의한 가뭄관리 의사결정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9. 박태선(2002)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하천의 중요도 평가기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6호, pp. 685-692. 

  10. 이상신, 이상일(2004) 지표수-지하수 연계운영을 위한 적지분석시스템 개발. 2004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11. 이상일, 김병찬(2003) 계층분석 과정을 이용한 지하댐 적지분석.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제8권, 제4호, pp. 36-44. 

  12. 이순탁, 김지학(1990) 水資源開發의 意思決定論的 硏究. 수공학논총, 한국수문학회, 제32권, pp. 151-160. 

  13. 이충성(2002) 댐 재개발을 위한 의사결정모형: 다속성효용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4. 이충성, 최승안, 심명필, 정관수(2004) 가중치산정을 통한 다목적 댐 용수의 배분 방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8호, pp. 663-674. 

  15. 이현재, 심명필(2002) 계층분석과정(AHP)에 의한 가뭄시 용수배분 우선순위 의사 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6호, pp. 703-714. 

  16. 정은성(2007)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위용한 지속가능한 유역통합 관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7. 한국개발연구원(200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분석 방안 연구(II). 

  18. 한국개발연구원(2008) 수자원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판). 

  19. 한국수자원공사(2002a) 기존댐 합리적 용수배분을 통한 수리권 조정 방안 연구. 

  20. 한국수자원공사(2002b) 댐건설이 사회경제문화에 미치는 영향 및 대책 연구. 

  21. 홍성준, 이용대, 김승권, 김중훈(2006) 상수도관망의 이상징후 판정을 위한 위험요소 평가-PROMETHEE와 ANP 기법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호, pp. 35-46. 

  22. Akter, T. and Simonovic, S.P. (2002) A general overview of multiobjective multiple-participant decision making for flood management. Research Report, FIDS,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Canada. 

  23. Bruen, M. (2002) Multiple criteria and decision support systems in water resource planning and river basin management. Proceedings of Irish National Hydrology Seminar 2002, Irish National Committees, pp. 25-35. 

  24. Hyde, K., Maier, H., and Colby, C. (2003) Incorporating uncertainty in the PROMETHEE MCDA Method. Journal of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No. 12, pp. 245-259. 

  25. Jaber, J.S. and Mohsen, M.S. (2001) Evaluation of non-conventional water resource supply in Jordan. Desalination, Vol. 136, No. 1-3, pp. 83-92. 

  26. Jandric and Srdjevic (2000)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selecting best groundwater pond. 31st 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 Rio de Janeiro, Brazil, pp. 6-17. 

  27. Jason, K.L, Hartmann, J., Li, K.W., An, Y., and Asgary, A. (2007) Multi-criteria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flood hazard mitigation and emergency response in urban watersheds.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 Association, AWRA, Vol. 43, No. 2, pp. 346-358. 

  28. Jouvert, A., Stewart, T.J., and Eberhard, R. (2004) Evaluation of water augmentation and water demand management option for the city of Cape Town. Journal of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Vol. 12, No. 1, pp. 17-25. 

  29. Madagoudaki, R. and Tsakiris, M. (2005) Flood Mitigation Planning using PROMEHTEE. European Water, 2005 E. W. Publication, Vol. 9, No. 10, pp. 51-58. 

  30. Raju, K.S., Ducjstein, L., and Arondel, C. (2000) Multicriterion analysis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 planning: A case study in Spain. Water resource Management, Vol. 14, No. 6, pp. 435- 456. 

  31. Ridgley, M.A. (1992) Selection of water-supply projects under drought. Journal of Environmental Systems, Baywood Publishing, Vol. 21, No. 3, pp. 207-221. 

  32. Ridgley, M.A. (1993) A multicriteria approach to allocating water during drought. Resource Management and Optimization, Harwood Academic Publishers Gmbll, Vol. 9, No. 2, pp. 135-149. 

  33. Saaty, T.L. (1995) Decision making for leaders. RWS Publications, Pittsburgh. 

  34. Simona, U., Bruggemanna, R., and Pudenzb, S. (2004) Aspects of decision support in water management-.example Berlin and Potsdam (Germany) I-.spatially differentiated evaluation. Water Research, Vol. 38, pp. 1809-1816. 

  35. Srdjevic, B. and Medeiros, Y.D.P. (2008) Fuzzy AHP Assessment of Water Management Plans. Water Resource Management, Vol. 22, No. 7, pp. 877-894. 

  36. Tkach, R.J. and Simonovic, S. (1997) A new approach to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in water resourc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Decision Analysis, Vol. 1, No. 1, pp. 25-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