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차로 시설개량 사업의 도로 안전성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Road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Improvement Project of Two-Lane Road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9 no.1, 2019년, pp.105 - 114  

신철호 ((주)동성엔지니어링) ,  김낙석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사회여건의 변화로 도로정책의 패러다임은 이용자 중심의 안전성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시설개량사업은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경제적 타당성 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시설개량 대상사업 선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 개발을 위해 국도, 국지도, 지방도 등 75개 노선에 대해 현행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을 토대로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발생현황을 가중치를 통해 일반 평가항목으로 추가하고, 지자체 공무원들의 문제 지적 및 건의 사항 등을 통해 최종 평가항목을 확정하였다. 각 평가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설문 평가를 통해 합리적 가중치를 도출하였으며, 항목별 평가기준을 토대로 안전지수(Safety Index)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각 항목의 안전지수(SI)를 토대로, 각 안전지수의 곱인 종합 안전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위험구간 판정 기준을 정립하였다. 또한, 위험구간 연장 비율인 종합위험도에 따른 시설개량 대상사업 선정 기준 도출 등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paradigm of road policy has been focused on user safety. Recently, the number of road facility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but the economic feasibility (B/C ratio) i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 reasonable road improvement project throug...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 2차로 기존도로(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75개 노선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행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에 의해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도출 및 새로운 평가 기법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새로운 도로 안전성 평가 기법 개발을 위해 Fig.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가파른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는 2차로 시설개량사업에 대해 사업 추진 판단을 위한 새로운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을 제시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은 실제사고위험도가 높아 종합위험도 50 % 이상인 시설개량 대상사업으로 분류되었음에도 도로상태(기하구조 등)를 나타내는 잠재적사고위험도는 0 %로 분류되어 상태가 양호한 도로를 시설개량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본 연구에서는 현행평가기법의 문제를 지적하고,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로정책의 최근 방향성은? 최근 사회여건의 변화로 도로정책의 패러다임이 경제성을 토대로 한 이동성, 하드웨어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의 안전성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Kim et al., 2016).
교통안전 대책의 투자가 가속화되는 이유는? , 2016). 기존 ‘교통사고 절반 줄이기’ 등 교통안전 대책을 수립하였으나, 세월호 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욕구 증가에 따라 안전 투자 확대를 더욱 가속화 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2018). 시설개량사업은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시설개량사업의 경우 투입 사업비 및 사회적 편익을 고려한 B/C가 1.
도로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시설개량 대상사업 선정이 요구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사회여건의 변화로 도로정책의 패러다임이 경제성을 토대로 한 이동성, 하드웨어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의 안전성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Kim et al., 2016). 기존 ‘교통사고 절반 줄이기’ 등 교통안전 대책을 수립하였으나, 세월호 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욕구 증가에 따라 안전 투자 확대를 더욱 가속화 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2018). 시설개량사업은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시설개량사업의 경우 투입 사업비 및 사회적 편익을 고려한 B/C가 1.0 미만으로 분석되어, 대부분 경제적 타당성 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시설개량 대상사업 선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Gyeongsangbuk-do (GSBD) (2014). "The second study on mid and long term planning (2014 to 2023) for hazardous road improvement project." (in Korean). 

  2. Ha, M. K. (2017). "A study on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road safety analysis." (in Korean). 

  3. Kim, K. N., Jo. S. H., An, J. H. and Kim, N. S. (2016).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pavement condition using investigation equipment of bicycle roa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6, No. 6, pp. 1125-1131 (in Korean). 

  4. Kim, S. H. (2018).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sphalt concrete pavement condition in narrow regional roads. Ph. D. Thesis, Kyonggi University (in Korean). 

  5. Kim, S. H., Kim, K. N. and Kim, N. S. (2018). "A feasibility study on the asphalt concrete pavement condition index in narrow regional roads using road crac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8, No. 3, pp. 467-475 (in Korean). 

  6.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2016). Fourth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package for five-year plan of national road and national support provincial road. (in Korean).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13). "A study on road safety analysis method."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