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London Handicap Scale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1, 2011년, pp.5102 - 5109  

최유임 (호원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작업치료학과) ,  김원호 (울산과학대학 물리치료과) ,  박은영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중등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을 측정하는 도구인 한국판 London Handicap Scale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외래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판 LHS의 문항내적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91이었고, 급간내상관계수는 .983으로 신뢰도가 높았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LHS는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되며 설명력은 72.32%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LHS와 한국판 수정바델지수와는 경제상태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54 ~ -.819)(p<.01). 한국판 LHS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기 때문에,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는데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K-LHS) measuring participation restriction for stroke survivors within outpatient rehabilitation setting. 54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The reliability was good with a Cron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본적으로 K-MBI는 활동제한을 측정하는 도구이고, LHS는 참여제한을 측정하는 도구에 속한다. 기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참여제한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표준화된 척도가 있어야 하지만, 참여제한을 측정하는 표준 척도가 아직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LHS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K-MBI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이론적으로 참여는 활동보다 좀 더 넓은 개념의 제한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판 LHS와 K-MBI는 항목에 따라 서로 상관이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는 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중 발병기간이 3개월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참여제한 측정도구인 한국판 LHS의 타당도과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참여제한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LHS를 제작하고, 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LH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참여제한을 측정하는 한국판 LHS를 제작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 활동제한 측정도구로 사용되는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와의 상관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핸디캡이란 용어의 부정적 측면으로 인해 세계보건기구는 어떤 모델을 제시 했는가? 핸디캡이란 용어는 부정적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는 건강과 장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해 기능, 장애와 건강의 국제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이하 ICF) 모델을 제시하였다[7]. ICF 모델은 신체적인 구조 및 기능적인 결함을 의미하는 상해의 의미를 넘어서 장애가 한 개인의 일상생활과 참여(participation)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가에 관심을 두는 것으로, 이전에 사용된 핸디캡이라는 용어 대신 ‘참여제한’이란 개념으로 대체되었다[8].
재활치료에는 어떤 접근법이 있는가?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기 재활중재가 시행되고 있다. 재활치료는 상해 중심 접근법과 활동 중심 접근법이 있다. 국내에서 주로 뇌졸중 환자를 위해 이루어지는 중재는 상해 중심 치료이다.
뇌졸중이 유발하는 구체적인 문제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뇌졸중 후 생존율은 높아지고 있지만, 뇌졸중은 신체기능의 퇴화뿐만 아니라 장애와 핸디캡(handicap)을 유발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노인인구에서 건강과 관련된 주요 문제를 유발한다[1,2]. 구체적인 문제로는 감각변화, 통증, 근력약화, 경직, 비정상적인 움직임, 자세와 균형능력 저하 및 우울증 같은 다양한 일차적인 상해들과 관절구축, 압박궤양 같은 이차적인 상해들이 있다[3].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기 재활중재가 시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T. Kwok, et al.,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A 1-year Follow-up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7, No. 9, pp. 1177-1182, 2006. 

  2. J. Woo, Y. K. Yuen, R. Kay, and M. G. Nicholls, "Survival, Disability, and Residence 20 months After Acute Stroke in a Chinese Population: Implications for Community Car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14, No. 1, pp. 36-40, 1992. 

  3. S. B. O'Sullivan, and T. J. Schmitz, Physical Rehabilitation 5th ed. F. A. Davis, Philadelphia, 2007. 

  4. C. Jenkinson, J. Mant, J. Carter, D. Wade, and S. Winner, "The London Handicap Scale: A Reevaluation of Its Validity Using Standard Scoring and Simple Summation",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ol. 68, No. 3, pp. 365-367, 2000. 

  5. W. H. van Brakel, et al., "The Participation Scale: Measuring a Key Concept in Pubic Health",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28, No. 4, pp. 193-203, 2006. 

  6.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2001. 

  7. W. H. Brakel, et al., "The Participation Scale: Measuring a Key Concept in Pubic Health",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28, No. 4, pp. 193-203, 2006. 

  8. S. D'Alisa, et al., "How Does Stroke Restrict Participation in Long-term Post-stroke Survivors?",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Vol. 112, No. 3, pp. 57-162, 2005. 

  9. M. Seki, H. Takahashi, and N, Chino, "Characteristics of Hemiplegic Out-patients With Stroke Who Try to Remove Their Clothes Unnecessarily". Gan To Kagaku Ryoho. Vol. 28, No. 1, pp. 71-74, 2001. 

  10. J. P. C. Chau, et al.,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Restriction Among Community Dwelling Stroke Survivors: A Path Analysis", BMC Neurology, Vol. 7, No. 9, pp. 49, 2009. 

  11. J. Desrosiers,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Participation After Stroke", Journal of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28, No. 4, pp. 221-230, 2006. 

  12. J. Desrosiers, et al., "Long-term Changes in Participation After Strok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Vol. 13, No. 4, pp. 86-96, 2006. 

  13. K. L. Salter, et al., "Assessment of Participation Outcomes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Stroke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30, No. 4, pp. 339-342, 2007. 

  14. H. Y. Jung, K. M. Kim, and M. Y. Chang, "Measurement Tools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A Systemic Revie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7, No. 3, pp.79-95, 2009. 

  15. R. Harwood, P. Gompertz, and S. Ebrahim, "Handicap One Year After a Stroke: Validity of a New Scal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ol. 57, No. 7, pp. 825-829, 1994. 

  16. V. Poulin, and J. Desrosiers. "Participation After Stroke: Comparing 'Proxies and Patients' Percep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40, No. 1, pp. 28-35, 2008. 

  17. G. G. Whiteneck, et al., "Quantifying Handicap: A New Measure of Long-term Rehabilitation Outcom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3, No. 6, pp. 519-526, 1992. 

  18. R. Perenboom, and A. M. J. Chorus, "Measur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25, No. 11, pp. 577-587, 2003. 

  19. R. Harwood, et al., "Measuring Handicap: The London Handicap Scale, a New Outcome Measure for Chronic Disease", Quality in Health Care. Vol. 3, No. 1, pp. 11-16, 1994. 

  20. A. Goonetilleke, "Validity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ol. 58, No. 1, pp. 125-126, 1995. 

  21. A. Westergren, and P. Hagell, "Initial Validation of the Swedish Version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15, No. 7, pp. 1251-1256, 2006. 

  22. R. H. Harwood, and S. Ebrahim, "Measuring the Outcomes of Day Hospital Attendance: A Comparison of the Barthel Index and London Handicap Scale",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4, No. 5, pp. 527-531, 2000. 

  23. A. Hershkovitz, et al., "Is a Day Hospital Rehabilitation Programme Associated With Reduction of Handicap in Stroke Patients?",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8, No. 3, pp. 261-266, 2004. 

  24. R. S. Lo, et al., "Cross-cultural Validation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and Comparison of Handicap Perception Between Chinese and UK Populations", Age and Ageing. Vol. 36, No. 5, pp. 544-548, 2007. 

  25. C. V. Ganger, G. L. Albrecht, and B. B. Hamilton,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60, No. 4, pp. 145-154, 1979. 

  26. H. Y. Jung,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1, No. 3, pp. 283-297, 2007. 

  27. D. E. Beaton, et al., "Guidelines for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Adaption of Self-report Measures", Spine. Vol. 25, No. 24, pp 3186-3191, 2000. 

  28. R. A. Deyp, "Measuring the Func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69, No. 13, pp. 1044-1122, 1988. 

  29. T. Kwok, et al., "A Comparison of the Long-term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Handicap of Stroke Patients in Mainland China and Hong Kong", Health Services Insights, Vol. 3, No. 2, pp. 13-20, 2010. 

  30. R. Lo, et al., "Cross-cultural Validation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in Hong Kong Chinese",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5, No. 2, pp. 177-185, 2001. 

  31. R. S. K. Lo, et al., "Handicap and Its Determinants of Change in Stroke Survivors: One-year Follow-up Study", Stroke, Vol. 39, No. 1, pp. 148-153, 2008. 

  32. J. M. Binkley, et al., "The Lower Extremity Functional Scale (LEFS): Scale Development, Measurement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 North American Orthopaedic Rehabilitation Research Network", Physical Therapy, Vol. 79, No. 4, pp. 371-383, 1999. 

  33. S. Kutlay, et al., "The Interval Scaling Properties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An Example From the Adaptation of the Scale for Use in Turkey", Clinical Rehabilitation, Vol. 25, No. 3, pp. 248-255, 2011. 

  34. J. C. Nunnally,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Inc, 1994. 

  35. T. J. Seong, Validity and Reliability(re), pp. 35-128, Seoul, Hakjisa, 2002. 

  36. C. H. Lee, Research Methodology for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p. 63-70, Seoul, Gyechuk Cultural History, 2002. 

  37. E. Y. Park, Development of Employer's Criteria Judged Critical to Employment of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PhD Thesis, Kongju University, 2007. 

  38. Y. J. Lee, Understanding Factor Analysis, Seoul, Seokjeong, 2002. 

  39. S. J. Yi, H. J. Lee, and Y. K. Woo,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WOMAC)-VA3.0 in Hip and Knee Osteoarthritis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Vol. 15, No. 2, pp. 20-28, 2008. 

  40. J. W. Sturm, et al., "Handicap After Stroke: How Does It Relate to Disability, Perception of Recovery, and Stroke Subtype?: The North East Melbourne Stroke Incidence Study (NEMSIS)", Stroke, Vol. 33, No. 3, pp. 762-76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