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 여성의 불안, 충동성과 음주문제
Anxiety, Impulsiveness, and Drinking Problems in Employed Women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7 no.2, 2011년, pp.73 - 78  

이현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한덕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이영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기백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권해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교실) ,  박두병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 결과 여성에서의 문제음주와 알코올 의존 비율이 남성보다는 적지만 9.8%로 상당수의 여성들이 알코올 문제를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직장 생활을 하는 여성에서 음주 노출 기회가 더 많고, 실제로 음주에 대한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하며 이는 여성의 상태불안과 충동성과 관계가 있다. 여성에서는 직업을 가짐으로써 음주 노출기회가 많아지고 직장 생활에서의 불안 및 충동성이 문제 음주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직장 여성의 음주 노출 기회와 불안 및 충동성 조절이 음주 위험 요소의 중요한 조절 요인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drinking habits, anxiety, and impulsiveness in employed women. Methods : We sampled 925 residents aged over 20 years in Gwanak-gu of Seoul. In the process, we divided subjects into employed women and unemployed women groups and then used the Korean Version of Alcoh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면담요원 20명이 무작위로 선정된 관악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조사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피면담자에게 면담의 취지를 설명한 후에 면담을 시작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시간은 약 25~3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각 대상자의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 수준, 직업, 월수입을 조사했고 한국형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검사, 바렛 충동성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통해 대상자의 음주습관과 불안 및 충동성을 조사했다.
  • 사회 인구학적 및 음주양태, 흡연양태 변인의 측정에는 본 연구에서 작성된 설문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으로는 각 대상자의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 수준, 직업, 월평균 소득(경제 수준), 음주주량이 조사되었다.
  • 그리고 그 대상도 주로 남성 음주자 위주로 진행된 경우가 많았으며 여성 음주자의 문제음주의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번 연구는 2010년 관악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The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K) 척도를 통해 문제 음주군과 정상 음주군을 나누고 비교 분석하여 문제 음주군의 위험요인 중 특히 여성에서의 직업의 유무와 연관 지어 바렛 충동성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통해 대상자의 음주습관과 불안 및 충동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 면담요원 20명이 무작위로 선정된 관악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조사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피면담자에게 면담의 취지를 설명한 후에 면담을 시작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시간은 약 25~3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각 대상자의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 수준, 직업, 월수입을 조사했고 한국형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검사, 바렛 충동성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통해 대상자의 음주습관과 불안 및 충동성을 조사했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정신보건 센터를 통해 서울특별시 관악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2010년 7월 19일부터 8월 6일까지 이루어졌다. 만 20세 이상의 성인 총 925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AUDIT-K 완성자는 925명(100.
  • 본 조사 대상자들은 남자 283명(30.6%), 여자 642명(69.4%)이었고 나이는 20대가 262명(28.3), 30대가 264명(28.5%), 40대가 180명(19.5%), 50대 이상이 219명(23.7%)으로 골고루 분포하고 있었다(Table 1).

데이터처리

  • 정상 음주군과 문제 음주군간의 성별, 교육 수준, 경제 수준, 직업을 포함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리고 직업의 유무와 정상 음주군과 문제 음주군에 따른 상택특성 불안척도, 바렛 충동성 척도의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비교하였다. 직업을 가진 여성에서 알코올 문제와 관련이 있는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상태 불안척도와 바렛 충동성 척도를 동시에 독립변수로, 연령, 결혼상태, 교육 수준, 월평균 소득을 공변량으로, AUDIT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변량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 05 미만으로 하였다. 정상 음주군과 문제 음주군간의 성별, 교육 수준, 경제 수준, 직업을 포함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리고 직업의 유무와 정상 음주군과 문제 음주군에 따른 상택특성 불안척도, 바렛 충동성 척도의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비교하였다.
  • 그리고 직업의 유무와 정상 음주군과 문제 음주군에 따른 상택특성 불안척도, 바렛 충동성 척도의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비교하였다. 직업을 가진 여성에서 알코올 문제와 관련이 있는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상태 불안척도와 바렛 충동성 척도를 동시에 독립변수로, 연령, 결혼상태, 교육 수준, 월평균 소득을 공변량으로, AUDIT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변량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이론/모형

  • 알코올사용 장애 선별검사(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 Babor, Fuente, Saunders, & Grant, 1992)는 (WHO)에서 개발한 알코올 진단 선별도구로, 본 조사에서는 이병욱 등(2000)이 10개 문항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한 AUDIT-K(The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를 사용하였다.
  • 충동성 척도는 Barratt(1959)의 충동성 척도-11(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11)을 이현수(1992)가 번안한 것으로 Likert 4점 척도(1 : 전혀 아니다, 2 : 가끔 그렇다, 3 : 자주 그렇다, 4 : 언제나 그렇다)로 총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의 점수들을 합하여 충동성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Bar-ratt 충동성 척도로 측정되는 충동성에는 인지 충동성, 무계획 충동성 등이 포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에서의 문제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8%로 상당수의 여성들이 알코올 문제를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성에서의 문제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직업의 유무였다. 직업을 가진 여성은 직업을 가지지 않은 여성에 비해 술에 노출 되는 횟수가 많았고 이것이 문제 음주로 까지 이어질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여성에서의 직업의 유무와 연관 지어 바렛 충동성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통해 대상자의 음주습관과 불안 및 충동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 자체가 서울특별시 관악구민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는 없다는 점이다. 둘째, 연구가 일시점에서 횡적으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여성의 직업의 유무와 문제 음주, 불안과 충동성과의 인과관계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장점은 비교적 잘 설계된 지역사회 조사를 하였다는 점과 기존의 다른 연구와 다르게 알코올 사용 장애 문제를 여성들의 직업문제와 연관시켜서, 나아가 불안과 충동성 문제와 함께 분석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알코올 사용 장애는 여러 가지 요인들과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내용들은? 알코올 사용 장애는 여러 가지 요인들과 관련성이 있음이 이미 여러 연구에서 보여지고 있다. 조성진 등이 시행한 연구에서 알코올 의존 고심의군은 학력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우울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하며4 조우성 등은 경제생활 변화와 가족생활 변화 등의 스트레스가 알코올 의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고5 김문두는 남자의 경우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음주 빈도가 높고, 알코올 의존의 위험이 높은 반면, 여자의 경우 스트레스와 음주 빈도 및 알코올 의존의 관련성이 없었다고 하였다.6 그리고 음주와 흡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알코올중독과 흡연의존과는 상관관계가 높다고 하였고7 알코올의존 비율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2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음주장애의 유병률은 증가하였다8,9는 연구도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IV-TR. Four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2000. p.212. 

  2. Lee CK, Lee KH. A nationwide epidemiological study of mental disorder in korea-prevalence rate of alcoholism.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4;33:832-845. 

  3.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n 2001-health conscious behavior side; 2003. 

  4. Cho SJ. Correlates and risk factors of probable alcohol dependence group among korean adult drinke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4;43:1186-1200. 

  5. Cho WS, Kang JH.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tress in the alcoholic patients. J Korean Acad Fam Med 1993;14:140-146. 

  6. Kim MD. Depression, stress and drinking habit including alcohol dependence in Jeju rural a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37: 29-39. 

  7. Kim GH, Sin JH. A study of prevalences and correlations among alcoholism, tobacco dependence, bulimia and pathologic gambling in a group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27: 1042-1053. 

  8. Lee HY, Nam KK, Lee MH, Min SK, Kim SY. Kangwha psychiatric epidemiologic survey-lifetime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9;28:984-999. 

  9. Lynn PL, Cynthia RL, Robert BW, Thomas KW. Epidemiology of alcohol use in a group of older American Indians. Ann Epidemiol 1997; 7:241-248. 

  10. Blume SB. Women and alcohol: A review. JAMA 1986; 256:1467-1470. 

  11. Murray JB. Psychologists and alcoholic women. Psychol Rep 1989;64: 627-644. 

  12. Lex BW. Gender differences and substance abuse. Adv Subst Abuse 1991;4:225-296. 

  13. Matteo S. The risk of multiple addictions. Guidelines for assessing a woman's alcohol and drug use. West J Med 1988;149:741-745. 

  14. Wilsnack SC, Wilsnack RW. Epidemiological research on women's drinking; Recent progress and directions for the 1990s. In: Gomberg ESL, Nirenberg TD, editors. Women and Substance Abuse. Norwood, NJ: Ablex Publishing;1993. p.62-99. 

  15. Hamlett K, Eaker ED, Stoke J. Psychosocial correlates of alcohol intake among women aged 45 to 64 years: The Framingham study. Behav Med 1989;12:525-542. 

  16. Alain Marchand. Alcohol use and misuse: What are the contributions of occupation and work organization conditions? BMC Public Health 2008;8:333-345. 

  17.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1993):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United States 1990 (DHHS), Washington, DC. 

  18. Donatelle RJ, Hawkin MJ. Employee stress claims: increasing implications for health promotion planning. Am J Health Promotion 1989; 3:19-29. 

  19. Lee DS, Kim JH, Han WS, Woo JM, Kang DW, Ko YG,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n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 reliability and valid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1026-1037. 

  20. Lee DS, Kim JH, Han WS, Woo JM, Kang DW, Ko YG,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n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 demographic variables and norm.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1335-1350. 

  21. Karasek R, Theorell T.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New York, NY, Basic Books, Inc;1990 

  22. Johnson H, Hall EM. Social support in the work environment. In Social support and cardiovasular disease, Ed by Shumaker, SA, Czajkowski. New York, Plenum Press;1994. 

  23. Copper ML, Russell M. Work Stress and Alcohol Effect: A test of stress-induced drink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0; 31:260-276. 

  24. Kang KH, Lee KS, Kim SI, Meng KH, Hong HS, Jeong CH.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job stress among firemen.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1;13:401-412. 

  25. San Jose, Van Oers JA, Van de Mheen H, Garretsen HF, Mackenbach JP. Drinking patterns and health outco es: occasional versus regular drinking. Addiction 2000;95:865-8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