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엇이 진실일까?: 영어공용화에 관한 연구
The truth beneath: Officialization of English in Korea 원문보기

영어어문교육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v.17 no.4, 2011년, pp.357 - 373  

장선미 (호서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great controversies over making English as an official language in Korea. They have been triggered since some scholars published books and articles claiming that officialization of English is the best option for Korean people who spend significant amount of their life time to learn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표5를 살펴보면 각 그룹별로 구분했을 경우 남학생들의 비율이 너무 작아서 의미 있는 분석이 나오기 어려워 보인다. 그래서 전체적인 남녀비율을 토대로 데이터 분석을 해보고자 하였다.
  • 일반인들은 영어공용화 논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고 또 그것의 핵심을 이해하고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미약하나마, 학자들이 아닌 영어 때문에 삶의 질이 좌지우지되는 그런 당사자들이 영어공용화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거기에 구체적인 개별적 의견들이 있는지 있다면 그것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크게 일반화 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한 샘플링의 효과는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어공용화가 정말로 필요한 것이지 구체적으로 알기 위한 작은 시작의 의미로 영어를 늘 삶의 현장에서 몸으로 겪으며 살고 있는 ‘영어가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느끼며 살아가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영어공용화에 대한 전반적인 생각을 알아보고자 한다.
  • 사실, 영어공용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조차도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황에서 많은 학자들이 저마다의 의견들을 내놓고 있다. 어떻게 영어공용화의 논란이 시작되었는지 그 논란들의 내용은 무엇들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 찬성의견들의 세부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유로운 에세이 형식의 글을 분석하였기에 칼로 베듯이 정확히 나눌 수 가 없어서 정확한 세부 의견 별 퍼센티지를 산출할 수는 없었으나 세부적으로 공통되는 의견들을 분류할 수 있었다1.
  • 학생들에게 에세이를 쓸 때 영어공용화에 대해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 아니면 어느 쪽도 아닌 중립인지 본인의 논지가 분명히 드러나게 하도록 했으며 또, 그 논지의 근거는 무엇인지 자세히 기술하도록 하였다. 에세이의 양은 3장 미만으로 제한하여 불필요한 반복적 의견개진을 방지함으로서 데이터분석에 차질이 없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2) 영어공용화에 대해 중립이다.

  • 3) 영어공용화에 반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어공용화에 찬성하는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은? 정리를 해보자면, 영어공용화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면 영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기에 우리 국민이 영어사용에 익숙해질 것이고 따라서 조기유학이나, 영어교육을 위한 부수적인 지출을 줄일 수 있고 또,부유한 계급이 그렇지 못한 계급 위에 군림할 이유가 없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평등주의에 부응한다고 주장한다는 것이다. 그에 반해 영어공용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영어공용화가 되더라도 여전히 영어습득은 일반사람들에게 어려운 일일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사용은 더 활발히 요구되므로 영어를 못해서 생기는 불이익은 더더욱 커질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한학성,2008).
미국의 공식언어는? 권불십년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오랜 세월 동안 전 세계의 정치, 경제,문화를 장악하고 있는 미국의 영향력은 줄어들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미국의 공식언어이며 그 나라 사람들의 모국어인 영어의 위력은 가히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대단한 것이다. 영어를 못해서 당하는 수모와 손해에 대한 이야기들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영어공용화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어떠한지 연구대상자 학생들로부터 의견을 에세이를 통해 수렴하고 그 의견들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나타난 몇 가지 특이점은? 첫 번째, 영어공용화에 대하여 반대하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학자들은 영어공용화에 대하여 비교적 비등하게 논지를 펴왔다. 물론 학자들 사이에서도 반대의견들이 더 많아 보이지만 이 연구에서는 그 수에 있어서 월등하게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다. 영어를 전공으로 하거나 관심분야로 삼고 있는 연구대상자들이 영어공용화가 되면 영어학습이 용이하게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우호적일 수도 있을 텐데 그렇지 않았다. 사실 영어공용화에 반대하는 학자들의 많은 수가 영어교육계에 몸담고 있는 이들이라는 것을 비추어 볼 때에 그리 이상한 것만은 아니다. 두 번째, 영어공용화를 반대하는 입장의 세부의견들은 개인적 이해(利害)의 차원이 아닌 국가적 이해(利害)가 고려된 것들이었다. 당연한 것처럼 들릴 수 있겠으나 개인주의가 팽배한 요즈음의 젊은 학생들이 우리 사회와 국가를 걱정하며 우리 문화를 잃어버릴지도 모른다는 걱정을 하면서 반대 의견을 개진하는 것은 아니 압도적으로 반대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웠다. 게다가 북한과의 벌어지게 될 격차, 통일 후의 북한과의 이질감이 심화될 것도 우려하였다. 영어공용화에 찬성하는 학자들은 대부분 영어가 궁극적으로 한국어를 밀어내고 모국어로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의 공용화를 주장했으나 연구대상학생들은 한국어와 영어가 같이 쓰이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어서 비교적 극단적인 공용화로 이해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반대하는 이유가 그러하였다는 것은 어쨌든 인상적이다. 세 번째, 영어공용화에 찬성하는 의견이든 반대하는 의견이든 중립적인 의견이든 모두 현재 우리나라의 잘 못된 영어교육 제도와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찬성하는 의견은 현재의 잘 못된 영어 사교육 열풍, 또 그로 인한 계층적 차이 등등이 영어공용화를 통하여 해소될 것이라고 보았고 반대하는 의견은 영어공용화는 도리어 공용화된 영어를 빠르게 학습하게 하기 위한 사교육이 더 만연할 것이고 영어 열풍은 더 심해질것이라 예상하면서,현재의 잘 못된 영어교육 제도와 정책을 개선하여 실질적인 영어교육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중립적인 의견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었다. 네 번째, 연구 결과로 나온 모든 의견을 전체적으로 볼 때에 기존 학자들이 주장한 의견들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한 데이터를 연구대상 학생들로부터 얻기 전에 잠깐의 시간 동안 영어공용화에 대하여 강의를 하였지만 개괄적이며 중립적으로 하였기에 학생들은 본인의 논리를 이루는데 특별한 선입견이나 편견이 개입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학생들은 영어공용화에 대한 진솔한 자기 의견들을 표명했다고 생각되는데 이런 점에서 그들의 의견이 기존 학자들의 주장과 같은 선상에 있다는 것이 흥미롭게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