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코칭 출산교육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불안과 출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Coaching-based Childbirth Program on Anxiety and Childbirth Self-efficacy among Primigravida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4, 2011년, pp.369 - 377  

김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김희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정하윤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hildbirth self-effic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men's ability to cope with labor and delivery. Coaching has been gaining popularity as a way to promot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effects of a Coaching-based childbirth program on anxiety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코칭 출산교육 프로그램이 출산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다음은 주요변수를 중심으로 두 군의 사전 값의 의미를 문헌과 비교하여 논한 후 가설검정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코칭 출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임부의 출산에 대한 불안, 출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그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태아성장에 따른 임신부의 적응, 정상적인 분만과 건강한 신생아의 출산, 응급 상황대처, 임신부의 정신적 안정을 위한 조치, 분만 및 신생아 관리에 대한 상담과 교육 그리고 부모가 되기 위한 준비를 가르치는 기존 출산교육에 GROW 코칭(Goal-Reality-Options-Will Coaching) (Stoltzfus, 2008)을 접목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28주 이상의 초임부를 대상으로 주당 2시간씩 총 4주간 실시하며, 출산 계획에 대한 효과적 의사소통과 상담 그리고 과제수행 격려 및 내적 힘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코칭 출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임부의 출산에 대한 불안, 출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출산을 준비하는 여성을 위한 건강간호 실무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에 대한 반응은 무엇들이 나타나는가? 임신은 정상적인 과정으로 임신에 대한 반응은 심리적 불안, 걱정과 두려움, 신체적 불편감 등으로 나타나며, 많은 여성이 이러한 경험을 하게 된다(Hong, 2002). 처음 임신을 경험하는 초임부는 경산부에 비해 출산준비 및 진통에 대한 공포와 불안이 크다(Nichols & Humenick, 1998).
분만통증에서 산전불안으로 발생한 정서적 긴장은 무엇을 증가시키는가? 분만통증은 불안과 연관이 있어, 산전불안으로부터 발생한 정서적 긴장은 분만 중 통증과 통증의 인지정도를 증가시킨다(Bobak, Lowdermilk, & Jensen, 1995). 반면 출산에 대한 자신감은 진통에 대한 인지와 역상관관계이며 출산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 출산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2005).
출산교육 프로그램에서 불안을 감소시키고 출산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는 접근이 필요한 이유는? 분만통증은 불안과 연관이 있어, 산전불안으로부터 발생한 정서적 긴장은 분만 중 통증과 통증의 인지정도를 증가시킨다(Bobak, Lowdermilk, & Jensen, 1995). 반면 출산에 대한 자신감은 진통에 대한 인지와 역상관관계이며 출산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 출산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2005). 따라서 출산교육 프로그램에서 불안을 감소시키고 출산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는 접근은 무엇보다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ebe, K. R., Lee, K. A., Carrieri-Koblman, V., & Humphreys, J. (2007). The effects of childbirth self-efficacy and anxiety during pregnancy on prehospitalization labo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5 (36), 410-418. 

  2. Bobak, I. M., Lowdermilk, D. L., & Jensen, M. D. (1995). Maternity nursing (4th ed.). St. Louis: Mosby. 

  3. Eileen, H. (2007). Coaching as a nurse practitioner strategy for improving health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19 , 555-562. 

  4. Faul, F., Erdfelder, E., Lang, A.-G., & Buchner, A. (2007). G*Power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5. Green, J. M., Coupland, V. A., & Kitzinger, J. V. (1990). Expectations,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outcomes of childbirth: A prospective study of 85 women. Birth, 17 , 15-23. 

  6. Hayes, E. (2007). Coaching as a nurse practitioner strategy for improving health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19 , 555-562. 

  7. Hong, S. J. (2002). The effects of information offer on pregnant women's anxiety and labor pain.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8. Huffman, M. (2007). Health Coaching: A new and exciting technique to enhance patient self-management and improve outcomes. Home Healthcare Nurse: The Journal for the Home Care and Hospice Professional, 25 (4), 271-274. 

  9. Ip, W. Y., Chung, T. K., & Tang, C. S. (2007) The Chinese version of the childbirth self efficacy invento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 , 625-633. 

  10. Jung, G. A. (1994). Effect of childbirth education on labor pain, anxiety, perception of birth experience in Primipara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1. Jung, M. S. (2003). Effect of childbirth education on knowledge, anxiety, labor pain and self- cooperation in primipara and husbands.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7 (2), 99-114. 

  12. Khorsandi, M., Ghofranipour, F., Faghihzadeh, S., Hidarnia, A., Bagheban, A., & Aguilar-Vafaie, M. E. (2008). Iranian version of childbirth self-efficacy inventor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 2846-2855. 

  13. Kim, H. O. (1997). An ethnographic study about Taegyo practi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2), 411-422. 

  14. Kim, J. L. (2005). Comparison of prenat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imigravida.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1 (3), 225-231. 

  15. Kim, J. T., & Shin, D. G.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 (11), 69-75. 

  16. Lee, K. H. (2000). Change of the childbearing culture: Family centered delivery. Nursing Science, 12 (2), 11-16. 

  17. Lee, M. K. (2005). Factors influencing self confidence during delivery in laboring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1), 20-26. 

  18. Lee, S. J., Yoo, J. S., Shin, M. K., Park, C. G., & Choi, E. J. (2007). The use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for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3), 414-421. 

  19. Lee, S. K. (2007).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f the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 Lowe, N. K. (1992). Difference in first and second stage labor pain between nulliparous and multiparous women.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 Gynecology, 13 , 243- 253. 

  21. Lowe, N. K. (1993). Maternal confidence for labour: Development of the childbirth self-efficacy inventor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6 , 141-149. 

  22. Moon, G. N. (1993). The effect of child birth education on labour and deliv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3. Nichols, F. H., & Humenick, S. S. (1998). Childbirth practice, research and theory. Philadelphia. W. B. Saunders. 

  24. Park, C. H., & Lee, C. H. (2002). Effect of antenatal education on pregnant women.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8 (1), 34-54. 

  25. Park, Y. S., Kim, Y. I., & Park, Y. H. (1996). The evaluation of childbirth class and educational need of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 (1), 34-54. 

  26.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27. Stoltzfus, T. (2008). Coaching questions: A coach's guide to powerful asking skills. Charleston. SC: Booksurge. 

  28. Whitmore, J. (2005). Life coaching guide. Seoul: Asia Coach Cent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