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스트레스, 상태불안, 분만자신감 및 태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xperience-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on Women in Their First Pregnanc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2, 2018년, pp.126 - 137  

박미라 (미래로병원 간호부) ,  이선옥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xperience-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for women in their first pregnanc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7 pregnant women at 32 weeks or more of a first pregnancy who agreed to par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4주간의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스트레스와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고 분만자신감과 태아애착을 높여주어 초임부의 임신과 분만과정에서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산전교실에서 출산을 앞 둔 임부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많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대상자 수가 적고 일개병원의 초임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더 발전된 임부 대상 산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임부의 스트레스와 상태불안을 낮추고, 분만자신감과 태아애착을 높이고자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 참여 전 ‧ 후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제공 받지 않은 대조군 간에 스트레스, 상태불안, 분만자신감과 태아애착에 차이가 있어 본 연구에서 적용한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스트레스, 상태불안, 분만자신감 및 태아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초임부를 대상으로 4주간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상태불안, 분만자신감 및 태아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피험자 설명서에는 실험처치의 참여, 처치방법, 철회가능성 및 보상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연구의 목적으로만 설문지가 사용되며 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보장에 대한 내용과 본인의 의사에 따라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음을고지하였다.
  • 현장에서 시행하고 있는 산전 프로그램이 단순 설명식 교육 위주에서 벗어나 대상자 요구에 기초하여 효과가 검정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여성병원에서 실제로 운영할 수 있는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개발된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스트레스, 상태불안, 분만자신감 및 태아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부족한 부분은 수정 ‧ 보완하여 산전의 초임부에게 효과적이고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 가설 3.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분만자신 감이 높을 것이다.
  • • 가설 2.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상태불안 이 낮을 것이다.
  • • 가설 1.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가 낮을 것이다.
  • • 가설 4.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태아애착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만통증에 대한두려움을 줄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임부들은 분만과정에서 진통을 경험할 것 이라고 예측을 하며 분만통증에 대한두려움을 가지고 있다[4]. 따라서 임부를 교육시키는 교육자는 임부가 임신기간 동안 산전관리교육을 통해 분만동통의 생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신체적 ‧ 심리적 ‧ 환경적 도움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 분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여 주어야 한다[5]. 특히 임신말기에 제공되는 산전교육 프로그램은 실천적인 체험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므로[6] 산전교육자는 초임 부에게 긍정적인 분만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육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임신기간 동안 임부가 적응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 임신은 여성의 신체적 ‧ 심리적 ‧ 사회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생활사건이고 새로운 가족형태가 시작되는 전환기이므로 임신기간 동안 임부가 적응하지 못하면 우울, 스트레스, 불안과 같은 심리적 불편감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태아와의 애착 형성과 가족 구성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태아와 모체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1,2]. 특히 초임부는 자신의 건강과 분만행위에 대한 공포, 태아에 대한 걱정, 기대,두려움 등이 경산부에 비해 크기 때문에 분만 상황에 대한 이해와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3].
임신이란? 임신은 여성의 신체적 ‧ 심리적 ‧ 사회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생활사건이고 새로운 가족형태가 시작되는 전환기이므로 임신기간 동안 임부가 적응하지 못하면 우울, 스트레스, 불안과 같은 심리적 불편감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태아와의 애착 형성과 가족 구성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태아와 모체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1,2]. 특히 초임부는 자신의 건강과 분만행위에 대한 공포, 태아에 대한 걱정, 기대,두려움 등이 경산부에 비해 크기 때문에 분만 상황에 대한 이해와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Van Bussel JCH, Spitz B, Demyttenaere K. Anxiety in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An exploratory study of the role of maternal orientation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9;114 (1-3):232-242. https://doi.org/10.1016/j.jad.2008.07.018 

  2. Yarcheski A, Mahon NE, Yarcheski TJ, Hanks MM, Cannella BL.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 (5):708-715.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8.10.013 

  3. Kim JI. Comparision of prena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primigravida -Focused on anxiety and labor efficac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3):225-231. 

  4. Lee MJ. Factors influencing self confidence during delivery in laboring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20-26. 

  5. Kim GJ. The effects of Doula Touch delivery education on selfconfidence, knowledge of childbirth, coupl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 14(6):2280-2888.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880 

  6. Lothian JA. Childbirth education at the crossroads.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008;17(2):45-49. https://doi.org/10.1624/105812408x298381 

  7. Seong CH, Park KM. Effect of prenatal education program of labor and delivery experi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9):5716-5725. https://doi.org/10.5762/kais.2014.15.9.5716 

  8. Hwang NM.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public prenatal health promotional education system.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10;163:50-64. 

  9. Tak C, Lee JY. Study on the maternity education visitor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participation motivation. Event & Convention Research. 2013;9(1):15-34. 

  10. Kwon MK, Bang KS.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76-283. https://doi.org/10.4040/jkan.2011.41.2.276 

  11. Mercer RT, Walker LO.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6;35(5):568-582. 

  12. Korean Midwife Association. Childbirth and parent preparation education courses. Seoul: Korean Midwife Association; 2015. p. 1-354. 

  13. Ahn HL.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5; 15(1):5-16. 

  14. Spielberger C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y Press; 1972. https://doi.org/10.1016/B978-0-12-657401-2.50008-3 

  15. Spielberger CD, Gorsuch R, Lushene RE, Vagg PR, Jacobs GA. Manual for the State-Trait Inventory (Form Y1-Y2).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3. 

  16. Hahn DW, Lee CH, Chon KK. Korean adaptation of Spielberger's STAT (K-STAT).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6:1(1):1-14. 

  17. Walker B. Erdman A. Children education program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and knowledge. Birth, 1984;11 (2):103-108. 

  18. Lee MK. Effects of San-Yin-Jiao(SP6) acupressure on labor pain, delivery time in women during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6):753-761. 

  19. Cranley MS.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1981;30(5):281-284. 

  20. Chang SB, Kim KY, Kim ES. Change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elf efficacy for delivery after the Taekyo-perspective prenatal clas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7(1):7-17. 

  21. Shim CS. Lee YS. Effects of a Yoga-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self confidence and labor pain in pregnant women with in vitro-fertilization trea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3):369-376. https://doi.org/10.4040/jkan.2012.42.3.369 

  22. Jun EN, Choi SH. Effect of a public health center prenatal program on body mass index, pregnancy stress and childbirth confidence. Journal of Korean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14; 22(1):1-10. https://doi.org/10.21086/ksles.2015.02.22.1.1 

  23. Moon TY, Park SM, Han MS. The influence of regular participation in pregnant exercise on the body-esteem and pregnancy str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11(3):1153-1162. https://doi.org/10.5762/kais.2010.11.3.1153 

  24. Chang SB, Park HJ, Bae CH, Shim JO. The effect of abdominal breathing on preterm labor anxiety and frequency of uterine contract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31-41. 

  25. Esimai OA, Fatoye FO, Quiah AG, Vidal OE, Momoh RM. Antepartum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 study of Nigerian women during the three trimesters of pregnancy.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08;28(2):202-203. https://doi.org/10.1080/01443610801912352 

  26. Cranley MS. Response to a critical review of prenatal attachment research.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An International Journal. 1992;6(1):23-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