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녹색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Green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6, 2011년, pp.1135 - 1151  

김효정 (인제대학교 생활상담복지학부, 인간환경복지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green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4 college students in Yeungnam region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s, one-way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해 녹색소비행동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으므로 여기서는 각기 다른 연구목적으로 대학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분석한 연구들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 및 사용행동을 분석한 Chae(2001)의 연구에서는 진보적 패션추구형, 현실순응적 생활만족형, 전통적 알뜰성실형, 소극적 생활무관심형의 4개로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구분되었는데, 이들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화장품 구매행동(제품관여도, 정보탐색행동, 제품선택 기준, 상점선택 기준)과 사용행동(화장의 동기, 화장의 정도, 월평균 화장품 비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라이프스타일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보완하며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소비자의 전반적인 소비성향에 대한 예측변수로서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므로(김재휘, 1999) 녹색소비자행동을 다각적으로 설명하고 사회적 동향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소비자의 녹색생활 실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학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녹색소비행동을 분석하고 녹색소비행동에 라이프스타일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소비자의 녹색생활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학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녹색소비행동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영남지역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총 314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 생태적 측면이란 소비자와 생태계와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을, 그리고 경제적 측면은 소비자 개인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효율성과 건강성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들 개념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녹색소비를 녹색상품을 구매하고 자원 및 에너지를 절약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자원을 재활용하고 폐기물을 감소하는 소비행태로 정의하고자 한다.
  • 한편 녹색소비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연령, 교육수준, 소득 등의 인구통계적인 변수들을 사용하여 왔으나 이들이 녹색소비행동 또는 녹색소비자의 특성을 설명하는 정도가 크지 않거나, 연구들 간에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영향력에 대해 상충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욕구의 변화가 동태적이며 다양하고 가변적인 현대 소비자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심리적 특성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의 개념을 도입하여 대학생 소비자들의 녹색소비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으로 행동과 의식을 연합한 생활양식이며 종합적 상징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이명식, 199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enion이 말하는 환경의식 소비이란 무엇인가? 녹색소비는 소비의 일반적인 과정인 구매, 사용, 처분 등의 모든 단계에서 환경, 생태, 사회적 책임 등이라는 개념과 연계되어 있다. Henion(1972)은 특정제품이나 용역의 구매, 소유, 사용 및 처분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의식적이고 일관성 있는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가치, 태도, 의식 및 행동에 반영시키는 것을 환경의식 소비라 하였다. Choi(1994)는 환경의 질 향상을 위해 일상생활 중 자원의 구매, 사용, 폐기의 생활관리 과정에서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행동을 배제하고 생태적인 생활양식을 선택하며 또한 자발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희생하여 절약하는 생활을 실천하고 인류의 지속적인 번영을 꾀하려는 생각으로 환경친화적 행동을 정의하고 있다.
개인이 어떤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가에 따라 소비 행동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라이프스타일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발전되는 개인의 고유한 특성이기 때문에 항상 고정된 것이 아니고 시대적 상황이나 집단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Chae, 2001). 따라서 개인이 어떤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가에 따라 소비행동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현재 대학생은 기성세대와는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게 되어 소비의식 및 소비행태에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라이프스타일은 대학생 소비자의 녹색소비행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산업혁명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의 발전은 무엇을 촉진했는가? 산업혁명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의 발전은 3M(Mass production, Mass sales, Mass consumption)의 경제체제를 촉진시켰고 이로 인해 물질문명의 혜택과 풍요로운 소비 생활을 동시에 누리게 되었다(이종호, 노정구, 1998). 그러나 기하급수적인 인구의 증가,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자원고갈과 같은 여러 환경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김기옥, 허경옥, 정순희, 김혜선. (2003). 소비자와 시장경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2. 김동기. (1991). 현대 마케팅 원론. 서울: 박영사. 

  3. 김재휘. (1999). 소비자행동 연구에서의 라이프스타일 어프로치.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2, 27-43. 

  4. 노영화, 강성진. (1992). 환경보전을 위한 가정소비생활 개선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보고서. 

  5. 노영화, 이득연. (1990). 환경과 소비자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보고서. 

  6. 녹색산업은 뛰나 녹색소비는 걷는 수준. (2009, 10. 21).매경이코노미, 자료검색일 2011, 1. 10, 자료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9&no544945 

  7. 녹색소비가 뭐죠? (2009, 11. 13). 한국일보, 자료검색일2011, 1. 10. 자료출처 http://news.hankooki. com/lpage/economy/200911/h2009111322221621500.htm 

  8. 대통령직속녹색성장위원회. (2011). 자료검색일 2011, 1.10. 자료출처 http://www.greengrowth.go.kr/www/green/Is/is.cms 

  9. 배순영. (2010). 녹색가정모델보고서.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 10-01. 

  10. 이명식. (1992).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확장된 이론적 틀. 마케팅연구, 7(1), 54-61. 

  11. 이승신, 이혜임, 류미현. (1993). 환경보전을 위한 소비자 능력. 소비자학연구, 4(2), 73-96. 

  12. 이종호, 노정구. (1998). 녹색소비자의 설명변수탐색에 관한 문헌적 연구. 부산상대논집, 69(1), 79-128. 

  13. 한국소비자원. (1999). 외제?고가품을 선호하고 디자인 등 외형을 중시한다. 소비자시대, 4, 27-33. 

  14. 현대경제연구원. (2009). 'Green 7' 국가의 녹색소비 활성화 전략. 경제주평, 367호. 

  15. Adler, A. (1969). The Science of Living. N.Y.: Anchor Books. 

  16. Ahn, J. A., & Shin, M. H. (2005). A study on lifestyle typolog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purchas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7(1), 177-209. 

  17. Bae, S. Y., Kim, J. Y., & Song, M. S. (2009). A study on the revitalizing system for low carbon green consumption. Korea Consumer Agency Policy Analysis 09-08. 

  18. Baun, S. H. (1994). The urban housewives' conciousness behavior for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ir concern of the household waste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9. Cha J. E. (2000). A study on the adolescents consumer consuming consciousness and behaviors for pro-environmental. Unpublished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 Chae, J. S. (2001). An analysis on the college women`s buying and using behavior of cosmetic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1), 107-127. 

  21. Cho, H. S. (2002). A study on college student consumers' use behavior of using on-campus disposable goods. Unpublished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2. Choi, E. J. (2007). A effect of values, environmental knowledge, environmental involvement on the ecologically concerned behaviors-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3. Choi, N. S. (1994). A study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behavior of Seoulite housewiv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Choi, S. A. (2010). A study on women consumers' lifestyle, awareness of importance and purchasing intentions for green products.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Eom, H. J. (1993). Housewife's managent behavior related to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1(2), 169-181. 

  26. Henion, K. E. (1972). The effect of ecologically relevant information on detergent sa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9, 10-14. 

  27. Hwang, E. A., & Lee, K. A. (2010). A study on green consumption capacity assessment. Korea Consumer Agency Policy Analysis 10-13. 

  28. Jang, Y. O., & Park, S. K. (2004). The influences of adolescent's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 and peer group on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1), 151-165. 

  29. Kang H. S. (1994). A study on the adolescents consumer consciousness and behavior for environmental problems. Unpublished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0. Kim, I. S. (2002). Pro-environmental consumer and environmentally conscious citizen behavior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Cheongju.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1(3), 249-262. 

  31. Kim, K. H. (2010).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for environmental problems and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lifestyles. The Korean Civic Ethics Society, 23(2), 305-322. 

  32. Kim, K. M.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3. Kwak, I. S., Song, Y. S., Kim, T. N., & Kim, K. A. (1998).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disposal behavior of home consumption good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2), 1-18. 

  34. Kwon, K. S. (2010).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the cloth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5. Lazer, W. (1963). Life style concepts & marketing, In Greyser, S. (Ed.), Toward Scientific Marketing, p. 168.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36. Lee, E. H. (2007).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appearance behavior and life style. Journal of Human Ecology, 16(3), 665-676. 

  37. Lee. J. Y. (1997).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4, 14-30. 

  38. Lee, K. E. (2008). The influence of mother'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on young-adult's pro-environement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behavior.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9. Lee, S. H. (2003).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family resource management behavio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knowledge, and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1), 91-102. 

  40. Lee, Y. H., & Park, M. S. (1997). Ecological modeling of urban housewives' recycl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1), 443-459. 

  41. Min, H. S., & Rhee, K. C. (1996).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 behavior and support on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4(3), 107-121. 

  42. Mu, J. W. (2010). A comparative study of green consumption awareness and green consumption behavior. Unpublished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43. Park, M. H., & Jung, J. W. (1995). A study on the patterns of consumer disposition behavior and influential variables-Focusing on durable good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3(2), 22-34. 

  44. Park, U. A. (1997). The married women's pro-environmental consumer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5. Park, U. A., & Rhee, K. C. (1995). A study on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4), 199-212. 

  46. Park Y. O. (1998). A study on the consumer consciousness and behavior on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high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47. Rhee, K. H. (200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water consumption of urban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3), 93-111. 

  48. Rho, N. S. (1994). A study on awarene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of Housewives.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9. Seo, J. H. (1991). A study on the ecologically concerned consumer skill and related variables:In Ulsan area.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9(2), 93-101. 

  50. Sohn, S. H., Kim, K., Rha, J. Y., & Choi, S. A. (2010). Green consumption competency: A conceptual model of its framework and component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6(3), 95-119. 

  51. Sung, Y. A. (2005).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the consumers in Incheon area.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3), 35-51. 

  52. Yoon, S. W., Yang, Y. J., Noh, J. K., & Jeon, J. O. (2006). Effects of environmental knowledge on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 behavior.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1(3), 131-147. 

  53. You, D. Y., Sim, M. Y., & Joung, K. O. (1996).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al awareness behavior of consume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4(3), 197-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