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통합적 정립
Unification of Community Polic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2, 2011년, pp.284 - 293  

박재풍 (극동대학교 법경찰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의 경찰활동은 지역사회 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으로 귀결된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어왔지만 지역사회 경찰활동이라는 패러다임에 관한 통합적인 모색은 등한시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에서 파생된 프로그램 및 전략들은 실질적인 경찰활동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경찰조직의 이슈 혹은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경찰활동보다 의도적으로 좁은 범위로 한정하고 있다. 그러한 초점을 가진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문제지향적 경찰활동(Problemoriented policing), 깨진 창(Broken Windows), 컴스탯(Compstat), 제3자 경찰활동(Third party policing), 우범지대(Hot spots) 경찰활동으로 볼 수 있다.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관련된 경찰개혁 프로그램이나 전략들을 통합하여 다시 한 번 의미를 재정립하는 것은 첫째, 다른 경찰활동의 개념과 구별하고 통합될 수 있는 것을 찾기 위함이고 둘째, 새로운 치안환경의 변화를 맞이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함이며 마지막으로는 지역사회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결국 이러한 통합적 모색은 현장의 경찰관들이 보다 쉽게 경찰행정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제로 실현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기 위해서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s policing is toward to the Community Policing. Despite its widespread popularity, there exists a lack of common understanding among academics and practitioners alike regarding the scope of the community policing philosophy and of its ability to integrate these complementary ideas within i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군다나 통합되어 설명되어지고 있지 않은 이론들은 우리나라에 소개되었을 때는 각각의 요소들이 전체적인 측면 보다는 세부적인 것을 지향하고 있어서 이해하기에 더욱 어려운 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요소는 무엇이고, 그에 따른 프로그램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그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세부 내용을 통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공공안전에 관한 문제들과 연관이 있다면 누구든 환영하며, 공공의 문제들을 해결할수 있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공공의 신뢰를 회복 하고자 함이고 또한 상호협력하여 공공의 문제를 해결 하고자 함이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파트너십이 경찰 기관의 일상적인 부분이 될 수 있도록 그것을 발전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대한 정의는 무수하게 많다. 이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여러 가지 정의 중에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을 다루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드너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무엇이라 하였는가?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정의는 대부분 삶의 질과 시민 들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코드너(Cordner)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전략적이며 프로그램적이며 구조와 관리 그리고 정보를 강조하는 조직적인 부분이라고 하였 다[3]. 스코건(Skogan)에 따르면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있어서 시민들의 참여, 문제 해결 그리고 분권화가 가장 주요한 요소라고 하였다[4].
컴스탯의 주요 특징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1) 임무의 명확화   (2) 내부 책임감 양성   (3) 운영적인 명령에 있어 지리적인 구조   (4) 자료로부터의 문제 식별   (5) 자료로부터의 문제 평가   (6) 혁신적인 문제 해결 전략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은 어디에서 실제 운용되었는가?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은 1970년대 후반 골드슈타인 (Goldstein)에 의해 개척되었고 이러한 경찰활동은 1980년대 초반 메디슨(Madison), 위스콘신(Wisconsin), 뉴포트뉴스(Newport News), 버지니아(Virginia)경찰 서에서 실제 운용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박재풍, "Third party policing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13권, 제2호, pp.133-160, 2011. 

  2. W. Spelman and D. K. Brown, Calling the Police: Citizen Reporting of Serious Crim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1984. 

  3. G. W. Cordner, "Community policing elements and effects," Police Forum, Vol.5, No.3, pp.1-8, 1995. 

  4. W. Skogan, "The promise of community policing," in Weisburd, D. and Braga, A.A. (Eds), Police Innovation: Contrasting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27-43, 2006. 

  5. 이황우, 경찰행정학, 법문사, 서울, 2007. 

  6. M. C. Scheider, R. Champman, and A. Schapiro, "Towards the unification of policing innovations under community policin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 Management, Vol.32, No.4, pp.694-718. 

  7. Scott, M. and Goldstein, H., Shifting and Sharing Responsibility for Public Safety Problems, Office of Community Oriented Policing Services, US Department of Justice, Washington, DC, 2005 

  8. Schmerler, K., Perkins, M., Phillips, S., Rinehart, T. and Townsend, M., Problem-solving Tips: A Guide to Reducing Crime and Disorder through Problem-solving Partnerships, Office of Community Oriented Policing Services, US Department of Justice, Washington, DC, 1998. 

  9. Clarke, R.V. and Eck, J.E., Crime Analysis for Problem Solvers: 60 Small Steps, Office of Community Oriented Policing Services, US Department of Justice, Washington, DC, 2005. 

  10. H. Goldstein, Problem Oriented Policing, McGraw-Hill, New York, NY, 1990. 

  11. G. L. Kelling and J. Q. Wilson, "roken windows: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Atlantic Monthly, Vol.249, pp.29-38, 1982. 

  12. 정우일, "깨진 창 경찰활동과 기초질서위반사범",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4호, pp.303-328, 2009. 

  13. V. Henry, The COMPSTAT Paradigm: Management Accountability in Policing, Business and the Public Sector, Flushing, N Y:Looseleaf Law Publications, Inc. 2003. 

  14. D. Weisburd, S. D. Mastrofksi, A. M. McNally, R. Greenspan, and J. J. Willis, "Reforming to preserve: Compstat and strategic problem solving in American policing," Criminology and Public Policy, Vol.2, pp.421-456, 2003. 

  15. D. Weisburd, "Hot spots policing experiments and criminal justice: Lessons from the field,"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No.599, pp.220-245, 200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