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절 연쇄 보조기무릎관절의 개발
Development of 4-Bar Linkage Orthotic Knee Joi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2, 2011년, pp.317 - 325  

김장환 (한서대학교 의료보장구학과) ,  이진복 (한서대학교 의료보장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마비, 하지 근력약화 등의 장애인이 사용하는 잠금형 보조기무릎관절을 대체하기 위하여, 4절 연쇄 방식의 입각기조절형 보조기무릎관절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4절 연쇄 보조기무릎관절은 기존의 입각기조절형 보조기무릎관절과 달리, 기하학적으로 잠금상태가 제어되어 전기제어 부품 등이 필요하지 않으며 부피를 최소화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소아마비로 진단받고 잠금형 보조기무릎관절을 사용해온 소아마비자가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대상자의 걸음걸이를 3차원으로 분석한 결과, 4절 연쇄 보조기무릎관절을 착용했을 때 입각기 동안 무릎관절의 신전이 유지되고 유각기 동안 무릎관절이 굴곡되며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tance-control typed 4-bar linkage orthotic knee joint that replace the locked orthotic knee joint for the disabled with poliomyelitis and muscle weakness of lower limb. Unlike the existing stance-control orthotic knee joint, there are no needs of electric power, con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개발한 4절 연쇄 보조기무릎관절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잠금형 장하지보조기의 단점은 물론 지금까지 개발된 입각기조절형 장하지보조기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보완하고 경제적인 보조기를 제공하고자 개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4절 연쇄 의지무릎관절의 기전을 보조기무릎관절에 적용하여 기존의 입각기 조절형 보조기무릎관절이 가지는 특성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4절 연쇄 입각기조절형 보조기무릎관절은 근위부, 원위부, 전방연결부, 후방연결부인 네 개의 뼈대(link)로 크게 나뉘며, 4개의 핀(pin)을 사용하여, 연쇄(linkage)를 이루는 구조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잠금형은 물론 입각기조절형 보조기무릎관절이 가지는 몇 가지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4절 연쇄(4-bar linkage) 기전의 입각기조절형 보조기무릎관절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하지보조기는 어떠한 사람들에게 처방되는가? 이런 장하지보조기에는 일반적으로 잠금장치(lock)가 있는 잠금형 보조기무릎관절(orthotic knee joint)이 포함되어 있으며, 하지가 구부러져 주저앉는 것(collapsing)을 막고 입각기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완전히 신전된 자세에서 잠금 상태로 사용하거나 무릎관절의 자유로운 굴곡을 위하여 풀림 상태로 사용한다[1]. 장하지보조기는 소아마비, 퇴행성 근 질환, 뇌졸중, 불완전 척수손상, 선천성 결손, 노화 등과 같이 대퇴사두근에 약화를 보이는 사람에게 처방되며, 일반적으로 무릎관절이 완전히 신전되어야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장하지보조기를 사용한다[2].
장하지보조기는 무엇을 위해 사용된는가? 무릎관절-발목관절-발 보조기(knee-ankle-foot orthosis, KAFO)는 장하지보조기라고도 하며,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의 비정상적인 기능이나 기형을 예방 및 교정하고 체중지지를 위하여 사용된다. 이런 장하지보조기에는 일반적으로 잠금장치(lock)가 있는 잠금형 보조기무릎관절(orthotic knee joint)이 포함되어 있으며, 하지가 구부러져 주저앉는 것(collapsing)을 막고 입각기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완전히 신전된 자세에서 잠금 상태로 사용하거나 무릎관절의 자유로운 굴곡을 위하여 풀림 상태로 사용한다[1].
잠금형 보조기무릎관절이 적용된 장하지보조기를 착용한 후 고정된 무릎관절로 걸으면 어떠한 경향이 나타나는가? 잠금형 보조기무릎관절이 적용된 장하지보조기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무릎관절은 완전히 신전되므로 체중지지 문제는 해결되지만, 직선으로 뻗은 하지로 걷기 때문에 입각 초기에 무릎관절 굴곡이 일어나지 않아 하중 충격을 급격히 받게 되고 신체의 체중심(center of mass, COM)이 부드럽게 진행되지 않는다[1]. 또한 고정된 무릎관절로 걸으면 걸음걸이의 효율성을 떨어지고 보조기 착용자의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3][4]. 또한 유각기 동안 상체의 외측 이동(lateral sway), 입각 쪽 발목관절 저굴(vaulting), 유각 쪽 고관절 거상(hip hiking), 또는 하지 선회(circumduction) 등의 보상작용을 활용하게 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T. Yakimovich, E. D. Lemaire, and J. Kofman, "Engineering design review of stance-control knee-ankle-foot orthoses," J.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6, No.2, pp.257-267, 2009. 

  2. T. Yakimovich, E. D. Lemaire, and J. Kofman, "Preliminary kinematic evaluation of a new stance-control knee-ankle-foot orthosis," Clinical Biomech, Vol.21, No.10, pp1091-1099, 2006. 

  3. E. Hanada, and D. C. Kerrigan, "Energy consumption during level walking with arm and knee immobilized," Archive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2, No.9, pp.1251-1254, 2001. 

  4. K. R. Kaufman, S. E. Irby, J. W. Mathewson, R. W. Wirta, and D. H. Sutherland, "Energy -efficient knee-ankle-foot orthosis: a case study," J. of Prosthetics and Orthotics, Vol.8, No.3, pp.79-85, 1996. 

  5. D. C. Kerrigan, E. P. Frates, S. Rogan, and P. O. Riley, "Hip hiking and circumduction; quantitative definitions," American J.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79, No.3, pp.247-252, 2000. 

  6. A. G. McMillan, K. K. Kendrick, J. W. Michael, J. Aronson, and G.W. Horton, "Preliminary evidence for effectiveness of a stance control orthosis," J. of Prosthetics and Orthotics, Vol.16, No.1, pp.6-13, 2004. 

  7. J. W. Michael, "Prosthetic primer: prosthetic knees," In Motion, Vol.9, No.6. pp.29-31, 1999. 

  8. D. N. Condie, "The modern era of orthotics,"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Vol.32, No.3, pp.313-323, 2008. 

  9. A. Zissimopoulos, S. Fatone, and S. A. Gard, "Biomechanical and energetic effects of a stance-control orthotic knee joint," J. of Rehabilitati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4, No.4, pp.503-514, 2007. 

  10. R. B. McGhee, R. Tomovic, P. Y. Yang, and I.C. Maclean, "An experimental study of a sensor-controlled external knee-locking system,"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25, No.2, pp.195-199, 1978. 

  11. J. F. Lehmann, and J. B. Stonebridge, "Knee lock device for knee ankle orthoses for spinal cord inured patient: an evalu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59, No.5, pp.207-211, 1978. 

  12. S. E. Irby, K. R. Kaufman, J. W. Mathewson, and D.H Sutherland, "Automatic control design for a dynamic knee-brace system," IEEE Transaction on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7, No.2, pp.135-139, 1999. 

  13. K. A. Bernhardt, S. E. Irby, and K. R. Kaufman, "Consumer options of a stance control knee orthosis,"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Vol.30, No.3, pp.246-256, 2006. 

  14. T. Suga, O. Kameyama, R. Ogawa, M. Matsuura, and H. Oka, "Newly designed computer controlled knee-ankle-foot orthosis (Intelligent Orthosis)," Prosthetics and Orthototics International, Vol.22, No.3, pp.230-239, 1998. 

  15. J. S. Rietman, J. Goudsmit, D. Meulemans, J. P. Halbertsma, and J. H. Geertzen, "An automatic hinge system for leg orthoses,"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Vol.28, No.1, pp.64-68, 2004. 

  16. J. S. Hebert, and A. B. Liggins, "Gait evaluation of an automatic stance-control knee orthosis in a patient with postpoliomyelit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6, No.8, pp.1876-1680, 2005. 

  17. L. R. Fisher and D. L. McLellan, "Questionnaire assessment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lower limb orthoses from a district hospital,"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Vol.13, No.1, pp.29-35, 1989. 

  18. Y. Tokuhara, O. Kameyama, T. Kubota, M. Matsuura, and R. Ogawa, "Biomechanical study of gait using an intelligent brace," J. of Orthopadic Science, Vol.5, No.4, pp.342-348, 2000. 

  19. A. I. BataviaI, and G. S. Hammer, "Toward the development of consumer-based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assistive devices," J.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27, No.4, pp.425-436, 1990. 

  20. J. W. Breakey and S. H. Marquette, "Beyond the four-bar knee," J. of Prosthetics and Orthotics, Vol.10, No.3, pp.77-80, 1998. 

  21. C. W. Radcliffe, "Above-knee prosthetics,"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Vol.1, No.3, pp.146-160, 1997. 

  22. S. E. Irby, K. A. Bernhardt, and K. R. Kaufman, "Gait changes over time in stance control orthosis users,"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Vol.31, No.4, pp.353-36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