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역 물수지를 이용한 연 실제증발산 산정에 미치는 수문기후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Hydroclimatic Effects on the Estimation of Annual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Watershed Water Balance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12, 2011년, pp.915 - 928  

임창수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임가희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윤세의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댐유역의 연 실제증발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수문기후요소를 파악하고 유역으로부터의 연 실제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다변량회귀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5개 댐유역(괴산댐, 섬진강댐, 소양강댐, 안동댐, 합천댐)에서연 물수지분석을실시하여 연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고, 수문기후자료를 이용한 다변량회귀식으로부터 산정된 증발산량과 비교 검토함으로서 다변량회귀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잠재증발산식들을 이용한 실제증발산량 산정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잠재증발산식들(Penman식, FAO P-M식, Makkink식, Preistley-Taylor식, Hargreaves식)로부터 산정된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실제증발산량과 잠재증발산량 사이에 상관관계가 적어서 잠재증발산량을 이용한 실제증발산량 산정방법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제안된 유역 실제증발산량 산정식들과 비교를 통하여 연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다변량회귀식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댐 유역의 실제증발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수문기후요소는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통적으로 강수량이 연 실제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주요 기후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ydroclimatic factors on annual actual evapotranspiration and to suggest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annual actual evapotranspiration from watershed.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5 dam wat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거 연구사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 국외에서는 유역 물수지분석을 이용하여 수문기후요소와 실제증발산량간의상관성을 분석하고 유역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려는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개 댐유역으로부터 물수지분석을 실시하고 물수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유역규모에서 연 실제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또한 유역 실제 증발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기후요소의 영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문기후요 소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연 실제증발산량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변량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증발산은 중요한 지구상의 물순환 과정의 하나로서 증발산 현상을 이해하는 것은 수문기후요소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댐 유역의 연 물수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유역 규모의 연 증발산량을 분석하고 증발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기후 학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경우 유역 물수지분석을 이용한 실제증발산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반면에 국외에서는 일부 연구자들 (Pike, 1964; Milly, 1994; Leopoldo et al.
  • 과거 연구사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 국외에서는 유역 물수지분석을 이용하여 수문기후요소와 실제증발산량간의상관성을 분석하고 유역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려는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개 댐유역으로부터 물수지분석을 실시하고 물수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유역규모에서 연 실제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또한 유역 실제 증발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기후요소의 영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문기후요 소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연 실제증발산량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변량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PET는 기준잠재증발산량 (mm/ year)으로 본 연구에서는 FAO P-M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w지수는 Zhang et al. (2001)이 제시한 값을 적용하였으며, 수역의 실제증발산량의 경우 Allen et al. (1998)과 Xu et al. (2006)의 연구결과에 기초 하여 FAO P-M 증발산량은 증발접시 증발량의 약 0.67배정도이고, 또한 증발접시 증발량과 저수지 증발량과의 비는 약 0.72로 가정하여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남원, 김철겸(2004). "유역 증발산 산정을 위한 Penman- Monteith 방법과 Morton CRAE 방법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한국수자원학회, pp. 1077-1081. 

  2. 박종철(2009). "환경변화가 구량천 유역의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 예측." 한국지형학회지, 한국지형학회, 제16권, 제3호, pp. 113-126. 

  3. 양해근(2007).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물수지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42권, 제3호, pp. 405-420. 

  4. 이병주, 정일원, 배덕효(2008). "기온변화가 유역물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048-1052. 

  5. 이상진, 김주철, 노준우(2010). "대청유역 물수지 분석을 위한 장기 유출모의."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9권, 제10호, pp. 1211-1217. 

  6. Allen, R.G., Smith, M., Perrier, A., and Periira, L.S. (1994). "An update for the defini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CID Bull., Vol. 43, No. 2, pp. 1-34. 

  7.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AO. 

  8. Arora, V.K. (2002). "The use of the aridity index to assess climate change effect on annual runoff." Journal of Hydrology, Vol. 265, Issue: 1-4, pp. 164-177. 

  9. Boulain, N., Cappelaere, B., Seguis, L., Favreau, G., and Gignoux, J. (2009). "Water balance and vegetation change in the Sahel: A case study at the watershed scale with an eco-hydrological model."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Vol. 73, No. 12, pp. 1125-1135. 

  10. Budyko, M.I. (1958). The heat balance of the earth's surface. U.S. Dept. of Commer., Washington, D.C. 250 pp. 259 

  11. Droogers, P., and Allen, R.G. (2002). "Estimating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nder inaccurate data conditions."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Vol. 16, Issue 1, pp. 33-45. 

  12. Fox, D.G. (1981). "Judging air quality model performance: A summary of the AMS workshop on dispersion model performance." Bull. Am. Meteorol. Soc., Vol. 62, Issue 5, pp. 599-609. 

  13. Gavilan, P.D. (2002). "La adveccion de calor sensible en el Valle Medio del Guadalquivir y su influencia en la Medida y la estimacion de la evapotranspiracion." Ph.D. Thesis, Cordoba University, Spain. 

  14. Hargreaves, G.H., and Samani, Z.A. (1985).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from temperature." Appl. Engr. Agric., Vol. 1, No. 1, pp. 96-99. 

  15. Im, S.J., Kim, H.J., Kim, C.G., and Jang, C.H. (2004). "A simple approach for estimating annual evapotranspiration with climate data in Korea."Water Engineering Research, Vol. 5, No. 4, pp. 185-193. 

  16. Koster, R.D., and Suarez, M.J. (1999). "A simple framework for examining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land surface moisture fluxes." Journal of Climate, Vol. 12, Issue 7, pp. 1911-1917. 

  17. Kunkel, R., and Wendland, F. (2002). "The GROWA98 model for water balance analysis in large river basinsthe river Elbe case study." Journal of Hydrology, Vol. 259, Issue 1-4, pp. 152-162. 

  18. Leopoldo, P.R., Franken, W.K., and Villa Nova, N.A. (1995). "Real evapotranspiration and transpiration through a tropical rain forest in central Amazonia as estimated by the water balance metho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 73, Issue 1-3, pp. 185-195. 

  19. Li, L.J., Zhang, L., Wang, H., Wang, J., Yang, J.W., Jiang, D.J., Li, J.Y., and Qin, D.Y. (2007).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variability and human activities on streamflow from the Wuding River basin in Chin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1, Issue 25, pp. 3485- 3491. 

  20. Liu, Q., and Yang, A. (2010). "Quantitative estimation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ctual evapotranspiration in the Yellow River Basin, China." Journal of Hydrology, Vol. 395, Issue 3-4, pp. 226-234. 

  21. Lu, J., Sun, G., McNulty, S.G., and Amatya, D.M. (2005). "A comparison of six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methods for regional use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3, pp. 621-633. 

  22. Mac Nish, R.D., Unkrich, C.L., Smythe, E., Goodrich, D.C., and Maddock III, T. (2000). "Comparison of riparian evapotranspiration estimates based on a water balance approach and sap flow measurement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05, Issue 1-3, pp. 271- 279. 

  23. Makkink, G.F. (1957). "Testing the Penman formula by means of lysimeters." J. Instit. Water Engineers, Vol. 11, pp. 277-288. 

  24. McVicar, T.R., Van Niel, T.G., Li, L.T., Hutchinson, M.F., Mu, X.M., and Liu, Z.H. (2007). "Spatially distributing monthly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pan evaporation considering topographic influences." Journal of Hydrology, Vol. 338, Issue 3-4, pp. 196-220. 

  25. Milly, P.C.D. (1994). "Climate, soil water storage, and the average annual water balance." Water Resour. Res., Vol. 30, No. 7, pp. 2143-2156. 

  26. Ol''dekop, E.M., (1911). "On evaporation from the surface of river basins." Trans. Met. Obs. lur-evskogo, Univ. Tartu 4 in Russian. 

  27. Penman, H.L. (1948). "Natural evaporati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 Roy. Soc. London, Vol. 193. No. 1032, pp. 120-146. 

  28. Pike, J.G. (1964). "The estimation of annual runoff from meteorological data in a tropical climate." Journal of Hydrology, Vol. 2, pp. 116-123. 

  29. Preistley, C.H.B., and Taylor, R.J. (1972). "On the assessment of the surface heat flux and evaporation using large-scale parameters." Monthly Weather Review, Vol. 100, No. 2, pp. 81-92. 

  30. Ramirez, J.A., and Hobbins, M.T. (2005) "Observational evidence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regional evaporation lends strong support for Bouchet's hypothesi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2, L15401, doi:10.1029/2005GL023549. 

  31. Schreiber, P. (1904). "Uber die Beziehungen zwischen dem Niederschlag und der Wasserfuhrung der Flusse in Mitteleuropa." Z. Meteorol., Vol. 21, No. 10, pp. 441-452. 

  32. Xu, C.Y., Gong, L., Jiang, T., Chen, D., and Singh, V.P. (2006).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trend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pan evaporation in Changjiang (Yangtze River) catchment." Journal of Hydrology, Vol. 327, Issue 1-2, pp. 81-93. 

  33. Yoshiyuki, Y., Murugesu, S., and Taikan, O. (2008). "Investigating the roles of climate seasonality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n mean annual and monthly water balances." Journal of Hydrology, Vol. 357, Issue 3-4, pp. 255-269. 

  34. Zhang, L., Dawes, W.R., andWalker, G.R. (2001). "Response of mean annual evapotranspiration to vegetation changes at catchment scal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7, No. 3, pp. 701-708. 

  35. Zhang, L., Hickel, K., Dawes, W.R., Chiew, F.H.S., Western, A.W., and Briggs, P.R. (2004). "A rational function approach for estimating mean annual evapotranspir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0, W02502, doi:10.1029/2003WR0027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