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감 분말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고추장의 물리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 변화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Functional Components of Gochujang with Different Amounts of Sweet Persimmon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2, 2011년, pp.1668 - 1674  

황수정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김정연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기능성식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감 분말을 달리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여 $20^{\circ}C$에서 9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단감고추장의 물리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점도는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 전 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색도는 $L^*$값, $a^*$값, $b^*$값 모두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단감 분말 첨가구는 고추장 숙성 전 과정에 걸쳐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단감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숙성 초기 13.72~16.13 mg% 범위로 나타났으며 단감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숙성 마지막 단계인 90일 째에는 13.72~16.09 mg% 범위로 나타났으며, 숙성 초기의 함량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단감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단감 분말의 첨가로 단감고추장의 기능성 성분인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여 단감 분말의 첨가는 고추장의 기능성을 높이는데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단감 분말의 첨가가 고추장의 색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추후 고추장의 색감 증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red pepper paste, or gochujang,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for 90 days with different amounts of sweet persimmon powder. The viscosity of the paste decreased a little with increasing fer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감의 다양한 연구에도 전통발효식품과의 접목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에 단감을 기능성 부재료로 사용하여 단감의 이용증대와 기능성 고추장의 다양한 연구개발을 위하여 단감을 분말화 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여 단감 고추장의 물리적 특성과 기능성 성분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psaicin의 생리 활성은 무엇인가? 고추장이 우리나라 전통 발효 식품류와 다른 큰 특성은 주재료인 고추에 함유되어 있는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trans-8-methyl-N-vanillyl-6-nonenamide)으로 생화학적 및 신경생리학적으로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고 아울러 자극성이 있어 식욕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이러한 매운 맛 성분은 고추장의 관능적 기호도를 높일 뿐 아니라 항암성, 혈압저하, 다이어트 등의 생리활성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밝혀지면서 전통발효식품으로 그 기능성을 인정받고 있다(4).
단감은 한방에서 어떤 용도로 사용해 왔는가? 단감(Diospyros kaki T.)은 감미가 강한 기호성이 높은 과실류로 한방에서 지혈작용, 기관지염, 고혈압, 심장질환 등에 좋고, 중풍 예방약으로도 쓰여 왔다(10). 감에는 당질이 15~19%로 포도당 및 과당이 함량이 비교적 많으며, 비타민 C와 β-cryptoxanthin, zeaxanthin 및 β-carotene 등 카로티노이드 및 탄닌의 함량이 높다(11).
기능성 식품소재로 단감을 이용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에는 감에 함유된 영양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폴리페놀 및 식이섬유소가 풍부하여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로써 이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기능성 식품소재로 단감을 이용한 연구로는 감와인(12), 식초(13), 장아찌(14), 조청(15), 식빵(16), 요구르트(17)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7-1475. 

  2. Cui CB, Oh SW, Lee DS, Ham SS. 2002. Effects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traditional Kochujang added with sea tangle (Laminaria longissima). Korean J Food Preserv 9: 1-7. 

  3. Yu R, Kim JM, Han JS, Kim BS, Lee SH, Kim MH, Cho SH. 1996. Effects of hot taste preference on food intake pattern, serum lipid and antioxidative vitamin levels in Kore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338-345. 

  4. Lee SM, Lim IJ, Yoo BS. 2003. Effect of mixing ratio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4-51. 

  5. Shin HJ, Shin DH, Kwak YS, Choo JJ, Ryu CH. 1999.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red ginseng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66-772. 

  6. Na SE, Seo KS, Choi JH, Song GS, Choi DS. 1997. Preparation of low salt and functional Kochujang containing chitosan. Korean J Food Nutr 10: 193-200. 

  7. Bang HY, Park MH, Kim HG.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4-49. 

  8. Kim DH, Ahn BY, Park BH. 2003. Effect of Lycium chinense frui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61-469. 

  9. Lee MJ, Lee J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Maesil (Prunus mume) extract during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22-628. 

  10. Lee HH, Koh BK. 2002.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 gwa with persimmo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16-224. 

  11. Lee SJ, Ryu JH, Kim RJ, Lee HJ, Sung NJ. 2010. Effect of removed peel from sweet persimmon on nutritional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95-1502. 

  12. Bea SM, Park KJ, Kim JM, Shin DJ, Hang YI, Lee JC. 200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weet persimmon win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66-70. 

  13. Jeong YJ, Seo KI, Lee GD, Youn KS, Kang MJ, Kim KS. 1998. Monitoring for the fermentation conditions of sweet persimmon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8: 57-65. 

  14. Jeoug DY, Kim YS, Jung ST, Shin DH. 2006.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soaking of persimmon pickles treated with organic acids and sug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92-399. 

  15. Bea SM, Park KJ, Kim JM, Shin DJ, Hang YI, Lee JC. 2002.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 rice bran and barley br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46-250. 

  16. Ching JY, Kim KH, Shin DJ, Son GM. 2002. Effects of sweet persimmon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38-742. 

  17. Cho YS, Cha JY, Kwon OC, Ok M, Shin SR. 2003. Preparation of yoghurt supplemented with persimmon powde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0: 175-181. 

  18. Kim DH, Choi HJ.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prepared by Bacillus sp.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74-1181. 

  19. AOAC. 198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Method 914-915. 

  20. Kwon YD, Ko EY, Hong SJ, Park SW. 2008. Comparison of sulforaphane and antioxidant contents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maturity broccoli. J Kor Soc Hort Sci 26: 344-349. 

  21. Kim DH. 2005.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Kochujang prepared with mixture of sub-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49-455. 

  22. Moon TW, Kim ZU. 1988 Some chemical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Kochoojang from various starch sources. J Korean Agric Chem Soc 31: 387-393. 

  23.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 EY. 199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7-912. 

  24. Kim DH, Lee JS. 2001. Effect of condim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53-360. 

  25. Lee KY, Kim HS, Lee HG, Han O, Chang UJ. 1997.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the shelf-life of Kochujang throug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i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88-594. 

  26. Bang HY, Park MH, Kim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4-49. 

  27. An ML, Jeong DY, Hong SP, Song GS, Kim YS. 2003. Quality of traditional Kochujang supplemented with mushroom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229-234. 

  28. Lee TB. 1979. I llustrated flora of Korea. Hang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11. 

  2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30. Seo JH, Jeong YJ, Kim KS. 2002. Physiology characteristics of tannins isolated for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12-217. 

  31. Choi JH, Lee EY, Kim GJ, Park IH, Kim JS, Choi GB, Jung SG, Ham YS.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lsan sweet persimmon peel, flesh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 Soc Appl Biol Chem 49: 309-314. 

  32. Kim SK, Lim JH, Kim YC, Kim MY, Lee BW, Chung SK. 2005.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persimmon peels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 Soc Appl Biol Chem 48: 70-76. 

  33. Hong JH, Kim HJ, Choi YH, Lee IS.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57-964. 

  34. Yang HS, Lee YC. 2000.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ft persimmon and puree during froze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35-340. 

  35. Yang YJ. 1996.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carotenoid pigments in peel of 'Fuyu' sweet persimmon fruit during cold and CA storage. J Kor Soc Hort Sci 37: 787-790. 

  36. Lee HD, Lee CH. 1992. Studies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d pepper by color measurement. Korean J Dietary Culture 7: 102-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