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과학교사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와 오답 반응 분석: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Research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Chemistry Concept and Analysis of Incorrect Responses: Focus on Middle School Curriculum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5 no.6, 2011년, pp.1030 - 1041  

이현정 (청계자유발도르프학교) ,  최원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중학교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화학 개념의 이해도를 조사하고 예비 과학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답지 반응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오답을 선택하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모든 문항에서 나타났으며, 문제를 해결했더라도 각 문항의 해결에 필요한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특정 문항에 대해서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고등학교 시절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선택 과목으로 화학을 선택한 것과 상관없이 정답률이 낮았다. 이 결과의 원인을 찾기 위한 심층질문을 통해 몇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을 예비 과학 교사들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대학수학능력시험 선택 과목으로 화학 선택 유무에 따라 정답률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개념에 대한 본질적 이해 전에 계산을 통한 문제 풀이나 단순 기억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학습 습관은 오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형성된 오개념은 대학생이 되어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about the chemistry concept of middle school curriculum using some item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analyzed the resul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The result was tha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과학 오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을 가지고 예비 과학 교사들이 중학교 교육과정 수준의 개념에 대하여 어떤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고, 오개념 형성에 어떤 경험이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봄으로써 중등 과학 수업이나 예비 과학 교사의 양성 프로그램에서 오개념을 과학 개념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고려할 사항들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usubel, D. Educational psychology; Holt, Rinehart & Winston: New York, U. S. A., 1968. 

  2. Park, J. A.; Han, S. J.; Noh, T. H. J. Korea Assoc. Sci. Edu. 2010, 30(1), 42. 

  3. Park, K. Y.; Kim, Y. M. J. Korea Assoc. Sci. Edu. 2009, 29(8), 910. 

  4. Oh, W. K.; Kim, J. W. Sae Mulli 2006, 52(6), 512. 

  5. Koo, S. A.; Chae, H. K. J. Korea Assoc. Sci. Edu. 2008, 28(5), 383. 

  6. Park, J. H.; Kim, D. U.; Paik, S. H. J. Korea Assoc. Sci. Edu. 2006, 26(2), 279. 

  7. Yoon, H. S.; Jeong, D. H. J. Korea Assoc. Sci. Edu. 2006, 26(7), 805. 

  8. Kim, Y. M.; Ree, J. B.; Lee, S. K. Research of Curriculum Instruction 2007, 11(1), 295. 

  9. Han, S.; P, Y.; P, J.; N, 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0, 54(1), 142. 

  10. Lee, B. K.; Chang, S. C.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08, 26(2), 191. 

  11. Han, Y. H.; Heo, Y. H.; Paik, S. H. J. Korea Assoc. Sci. Edu. 2008, 28(1), 15. 

  12. Jeong, E. Y.; Choi, W. H.; Lee, I. H.; Kim, M. Y.; Shin, S. J.; Kim. J. K.; Choi, I. B.; Kim, H. K.; Kim, S. Y.; Yu, J. 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 Evaluation, 2009, RRE 2009-9-4. 

  13. Choi, W. H.; Lee, I. H.; Lee, C. H.; Jeong, E. Y.; Park, J. K.; Shin, M. K.; Kim. J. K.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 Evaluation, 2010, RRE 2010-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