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오개념: 병진, 진동 그리고 회전 운동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Misconceptions about Motions of Molecular Gases: Translational, Vibrational and Rotational Motion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4 no.6, 2010년, pp.799 - 808  

서영진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최진권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채희권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오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교재 분석 및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화학 교재는 간단한 모형과 기본적인 개념 설명을 통해 기체 분자 운동을 다루고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회전 운동에서 무게 중심에 대한 언급이 없는 교재가 상당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물리화학 교재는 주로 분광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고 심화된 내용을 다양한 모형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조사한 모든 교재에서 회전 운동의 무게 중심을 언급했다. 한편, 예비 교사들은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대한 이해 정도 및 자신감이 상당히 낮았으며, 많은 오개념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예비 화학 교사들이 자신의 선개념에 근거한 직관 및 교재에서 제시한 시각 자료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textbook analysis and a conceptual test in order to investigate misconception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in understanding motions of molecular gase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many of the general chemistry textbooks not only introduce motions of molecular 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기체 분자 운동 방식에 대한 예비 화학 교사의 오개념을 확인하고 궁극적으로 학생들에게 기체 분자 운동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교수하고 학생들의 오개념을 수정할 수 있을 내용학적 측면에서의 개선을 이끌어 내기 위해 일반화학 및 물리화학에서 기체 분자의 운동을 다루는 내용을 분석하고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체 분자 운동에 대한 오개념을 조사해 보았다.
  • 하지만, 이러한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이 대학 교재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 개념에 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오개념을 다룬 선행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 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대한 이해 정도를 확인하고 오개념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언함으로써 예비 화학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기체 분자 운동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전달하고 학생들의 오개념을 수정해줄 뿐 아니라 미시적 입자 개념의 이해 전반에 걸친 완전한 개념 이해를 도모하고자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문항 구성은 기체 분자의 운동을 분광학적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자기적 스펙트럼의 영역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후 각 영역에 해당하는 분자 운동 방식을 물어보는 문항(문항 1), 진동 운동과 회전 운동을 에너지 준위와 관련지어 비교할 수 있는지 물어보는 문항(문항 2), 회전 운동의 기본적인 특성인 관성 모멘트의 개수를 묻는 문항(문항 3),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원리와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대한 문항(문항 4), 환경 문제인 지구 온난화 현상을 분자 운동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지 물어보는 문항(문항 5)으로 총 5문항이며 이 문항들은 과학교육 전문가 2인과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5명에게 안면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한편, 5문항 중 객관식 3문항에 대해서는 5단계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각각의 답변에 대한 자신감 수준을 나타내게 하여 자신감이 높으나 틀린 문항에 대해 자세한 피드백을 주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면담자 : 적외선 영역은 병진운동, 마이크로파 영역은 진동운동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 것이 야?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chmidt, H. J.; Kaufmann, B.; Treagust D. F. Chem. Educ. Res. Pract. 2009, 10, 265. 

  2. Barke, H.-D.; Hazari, A.; Yitbarek, S. Misconceptions in Chemistry; Springer: Milton Keyes, UK, 2009 

  3. Hurst, O. M. J. Chem. Edu. 2002, 79, 763. 

  4. Gilbert, J. K.; Treagust D. (Eds), Multiple Representations in Chemical Education; Springer: Milton Keyes, UK, 2009. 

  5. Venkataraman, B. Chem. Educ. Res. Pract. 2009, 10, 62. 

  6. Ardac, D.; Akaygun, S. J. Res. Sci. Teach. 2004, 41, 317. 

  7. Roh, H. K.; Kong, Y. S.; Park, C. Y.; Chung, K. S. J. Korea Assoc. Sci. Edu. 2005, 25, 547. 

  8. Cho, I. Y.; Park, H. J.; Choi, B. S. J. Kor. Chem. Soc. 1999, 43, 

  9. Hur, M. H.; Jeon, H. S.; Paik, S. H. J. Kor. Chem. Soc. 2008, 52, 73. 

  10. Kang, H. S.; Shin, S. J.; Noh, T. H. J. Kor. Chem. Soc. 2008, 52, 550. 

  11. Kim, S. H.; Lee, E. S.; Paik, S. H. J. Korea Assoc. Sci. Edu. 

  12. Han, Y. H.; Heo, Y. H.; Paik, S. H. J. Korea Assoc. Sci. Edu. 2008, 28, 15. 

  13. Ha, S. J.; Kim, B. G.; Paik, S. H. J. Korea Assoc. Sci. Edu. 2005, 25, 88. 

  14. Johnstone, A. H. Chem. Edu. Res. Pract. in Europe 2000, 1, 9. 

  15. Han, S. J.; Park, Y. O.; Park, J. A.; Noh, T. H. J. Kor. Chem. Soc. 

  16. Ryoo, J. J.; Ryoo, J. E.; Paik, S. H. J. Kor. Chem. Soc. 2010, 54, 

  1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Daehan Textbook Publishing: Seoul, Korea, 1998. 

  18. Cho, I. Y.; Park, H. J.; Choi, B. S. J. Kor. Chem. Soc. 1999, 

  19. Pallant, A.; Tinker, R. J. Sci. Edu. Tech. 2004, 13, 51. 

  20. Korean Chemical Societ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Standards for Chemistry Teachers, Details of Assessment Categories and Evaluation of Teaching Competence; Korea 

  21. Seo, Y. J.; Chae, H. K. J. Kor. Chem. Soc. 2009, 53, 62. 

  22. Leff, H. Found. Phys. 2007, 37, 1744. 

  23. Sozbilir, M. A.; Bennett, J. M. J. Chem. Edu. 2007, 84, 1204. 

  24. Lambert, F. L. J. Chem. Edu. 2007, 84, 1548. 

  25. Venkataraman, B. Chem. Educ. Res. Pract. 2009, 10, 62. 

  26. Wu, H. K.; Shah, P. Sci. Edu. 2004, 88, 465. 

  27. Cook, M. P. Sci. Edu. 2006, 90, 1073. 

  28. Tuvi-Arad, I.; Blonder, R. Chem. Educ. Res. Pract. 2010, 11, 48. 

  29. Atkins, P.; Jones, L. Chemical Principles- The Quest for Insight; 

  30. Oxtoby, D. W. Gillis, H. P.; Campion, A.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Brooks/Cole: Belmont, California, USA, 2008. 

  31. Siska, P. University Chemistry; Pearson-Benjamin Cummings: 

  32. Chang, R. Chemistry; McGraw-Hill Higher Education: New York, USA, 2007. 

  33. Laird, B. B. University Chemistry; McGraw-Hill Higher Education: New York, USA, 2009. 

  34. Atkins, P.; de Paula, J. Atkins' Physical Chemistry;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USA, 2006. 

  35. Engel, T.; Reid, P. Physical Chemistry;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2005. 

  36. Chang, R. Physical Chemistry for the Chemical & Biological Sciences; University Science Books: Sausalito, California, USA, 2000. 

  37. Whittaker, G.; Mount, A.; Heal, M. Physical Chemistry; Taylor &Francis: Oxford, U.K., 2001. 

  38. McQuarrie, D. A.; Simon, J. D. Physical Chemistry - A Molecular Approach; University Science Books: Sausalito, California, USA,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