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유치원 교육실습에서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교육신념 및 교사가 느끼는 조직건강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s of Student-teaching in Kindergarten through Educational Diary on Pre-service Teacher Efficacy,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Organizational Health원문보기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교육신념, 그리고 그들이 느끼는 실습유치원의 조직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의 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4학년 34명을 대상으로, 이질통제집단전후검사 설계 방식에 의해 실험이 이루어졌고, 자료에 따라 $x^2$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사신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느낀 실습학교의 조직건강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습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기본 전제 조건인 반성적 저널쓰기를 실용성 차원에서 실습일기 쓰기로 대체할 수 있다는데 있다.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없이 단지 교육 실습일기 쓰기만으로도 교사효능감은 증진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교육신념, 그리고 그들이 느끼는 실습유치원의 조직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의 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4학년 34명을 대상으로, 이질통제집단전후검사 설계 방식에 의해 실험이 이루어졌고, 자료에 따라 $x^2$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사신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느낀 실습학교의 조직건강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습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기본 전제 조건인 반성적 저널쓰기를 실용성 차원에서 실습일기 쓰기로 대체할 수 있다는데 있다.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없이 단지 교육 실습일기 쓰기만으로도 교사효능감은 증진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keeping a educational diary in which no feedback is given in the teaching practice in kindergartens affects a teacher efficacy and the educational belief of preschool teachers-to-be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kindergartens to practice accord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keeping a educational diary in which no feedback is given in the teaching practice in kindergartens affects a teacher efficacy and the educational belief of preschool teachers-to-be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kindergartens to practice according to the way teachers feel. With this aim, the study aimed at 34 seniors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our-year college in Chungnam. The study conducted this experiment using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carried out a $x^2$ analysis and a t-test according to the data. Concerning the research results, first, keeping a educational diary of teaching practice affirmatively affected a teacher efficacy. Second,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 teacher's educational belief. Third,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kindergarten to practice according to the ways teachers-to-be fe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keeping a reflective journal in which feedback by a guidance teacher for practice becomes the basic proposition may be replaced with the keeping of a diary of practice at the level of practicality. This means that a teacher's sense of efficacy may improve simply by keeping a educational diary of teaching practice without feedback by a guidance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keeping a educational diary in which no feedback is given in the teaching practice in kindergartens affects a teacher efficacy and the educational belief of preschool teachers-to-be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kindergartens to practice according to the way teachers feel. With this aim, the study aimed at 34 seniors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our-year college in Chungnam. The study conducted this experiment using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carried out a $x^2$ analysis and a t-test according to the data. Concerning the research results, first, keeping a educational diary of teaching practice affirmatively affected a teacher efficacy. Second,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 teacher's educational belief. Third,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kindergarten to practice according to the ways teachers-to-be fe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keeping a reflective journal in which feedback by a guidance teacher for practice becomes the basic proposition may be replaced with the keeping of a diary of practice at the level of practicality. This means that a teacher's sense of efficacy may improve simply by keeping a educational diary of teaching practice without feedback by a guidance teach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교육실습에 대한 이러한 정의와 목적을 염두에 둔다면 교육실습은 질적 수준이 높은 전문적 교사를 준비시키기 위한 필수과정이라고 보아야 한다. 다시 말해 교육실습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자질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하겠다. 교육실습에 대해 긍정적인 연구와 부정적인 연구가 같이 공존하는 바(김병찬, 2003), 이정미, 김은정(2009)의 연구에 의하면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능력을 향상시켜 주었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실습경험도 만족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또한, 최동선(1996)은 기관의 교장(원장)이 교사들을 격려하고 지지해 주며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며, 동료교사들이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공유하는 바람직한 환경 속에서 교사들의 개인적 효눙감이 증진된다고 하였으며, 김희진, 이분려(1999)도 교사가 지각한 유치원의 조직풍토와 교사효능감과의 높은 상관성을 보고하면서, 유치원 조직에서 원장의 개방적인 태도와 교사에게 필요한 정보 및 격려 제공을 해주는 분위기를 형성해 주고, 동료 교사 들의 신뢰성 형성 및 아이디어 교환, 바람직한 평가 교환 등의 분위기가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 효능감 개발을 돕는다고 시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사효능감과 조직풍토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어, 교육실습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면 실습일기를 쓰는 교육실습생이 느끼는 조직건강은 실습일기를 쓰지 않는 교육실습생이 느끼는 조직건강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견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과연 교육실습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과 교육신념, 예비유아 교사가 느끼는 조직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여 교육실습에서 최소한의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교육적 행위를 찾아 교육실습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교육실습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과 교육신념, 그리고 예비유아교사가 느끼는 조직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에 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34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에 대해 실시된 연구 설계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 방식이며, 조직건강에 대한 연구 설계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에서 통제집단을 제외한 ‘단일집단 전후검사 설계’이다.
실험 집단에 일기(저널)쓰기의 개념, 목적, 방법에 대해 4월 22일(교육실습 2주 전)에 2시간의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그 다음 주(4월 29일, 교육실습 1주 전)에 기존의 연구 결과에 나타난 교생 일기의 예를 들어 2 시간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에 들어가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을 검사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에게 교사효능감과 교육신념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는 교육실습 직전인 2011년 4월25일에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인 교육실습생을 대상으로 강의실에서 약 15분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에 들어가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을 검사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에게 교사효능감과 교육신념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는 교육실습 직전인 2011년 4월25일에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인 교육실습생을 대상으로 강의실에서 약 15분 동안 실시하였다.
교육실습 일기는 실습이 실시되는 5월 2일부터 5월 27일까지 4주 동안(실습일수는 공휴일과 재량 휴업일을 제외하고 17-18일 이었다) 매일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매일 일기 쓰기가 곤란할 경우에는 일주일에 3-4회), 쓰여진 일기는 연구자의 메일로 매일 보내기로 하였다. 그러나, 매일 보낸 경우는 드물며 2-3일에 한 번씩, 경우에 따라서는 일주일에 한 번 모아서 보내기도 하였다.
또한, 과거 교육실습에서 실습기간동안 지도교사나 지도교수가 얼마나 도움을 주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χ2분석을 실시하였다.
4주간의 교육실습을 마친 다음 주 5월 30일에 교사효능감과 교사신념은 사전 검사와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습유치원의 조직건강에 대해서는 조직건강 척도를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 대상은 충남에 있는 한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4학년 36명이다. 이 중에 설문 응답에 오류가 있는 1명과, 연구의 목적 상 지도교사나 지도교사가 일기에 코멘트를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는바, 교육실습일기에 대해 교사가 코멘트를 해준 1명을 제외하고 34명이 최종 연구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 대상은 충남에 있는 한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4학년 36명이다. 이 중에 설문 응답에 오류가 있는 1명과, 연구의 목적 상 지도교사나 지도교사가 일기에 코멘트를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는바, 교육실습일기에 대해 교사가 코멘트를 해준 1명을 제외하고 34명이 최종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렇게 하여 교육일기를 쓴 학생(실험집단)과 쓰지 않은 학생(비교집단)은 각각 17명씩 이다.
이 중에 설문 응답에 오류가 있는 1명과, 연구의 목적 상 지도교사나 지도교사가 일기에 코멘트를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는바, 교육실습일기에 대해 교사가 코멘트를 해준 1명을 제외하고 34명이 최종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렇게 하여 교육일기를 쓴 학생(실험집단)과 쓰지 않은 학생(비교집단)은 각각 17명씩 이다. 이를 구분하여 나타내면 다음 표 2와 같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는 교육실습에서 일기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들이 느끼는 조직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 교육실습에서 실습기간동안 지도교사나 지도교수가 얼마나 도움을 주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χ2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Enochs & Riggs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 보완한 김순남(200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적 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경심(2009)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내용은 아동관, 교육 목적 및 목표·내용·방법 등에 대한 신념을 측정하여 행동 주의, 성숙주의, 상호작용주의의 각 10개 항목으로 되어 있는 30문항 5단계 평정척이다.
유치원조직 건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질문지는 조기홍(2002)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내용은 조직구조, 조직풍토, 원장의 지도성, 교사의 능력 각 6문항씩 총 24문항 5단계 평정척이다.
성능/효과
표 1에 의하면 지도교사와 지도교수를 합쳐 약 응답자의 30%가량 만이 긍정적이라는 응답을 하였으며, 유치원과 초등, 그리고 중등을 합쳐 지도 교사에 대한 도움의 정도를 빈도분석한 결과는 χ2 =4.57로서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지도 교수에 대한 도움의 정도를 빈도분석한 결과는 χ2=25.63으로서 p<.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첫째, 교육실습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t=2.481로서 p<.0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효능감의 하위 요소인 일반적 교사효능감은 t=1.832로서 p<.05수준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교육실습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들이 실습한 학교에 느끼는 조직건강 점수에 미치는 효과는 t=1.495로서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일기 쓰기가 교사신념에 미치는 효과는 t=-.211로서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임경심(2009)의 연구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일반교사효능감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의의도가 p=.076으로 미세한 차이로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잃고 있어 연구가 반복된다면 임경심의 연구처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 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실험처치와 관련지어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일기 쓰기에 대한 사전 강의 2시간과, 교육실습일기 예에 대한 사전 강의 2시간을 합쳐서 총 4시간의 사전강의가 있었다. 이러한 사전강의는 실험결과가 사전교육 때문이었는지 교육실습일기 쓰기 때문인지를 확인할 수 없는 실험연구의 내적타당도로 작용할 수 있어(김종한 편, 2011) 교사효능감이 전적으로 교육실습일기 쓰기의 결과라고 결론 내리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단순한 교육실습일기 쓰기도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둘째, 교육실습일기 쓰기는 실용적 입장에서 현장에서 적용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어 최소한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해서 반성적 저널쓰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후속연구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어떤 지도교사나 지도교수의 교육적 피드백도 제공받지 않고도 교사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에 큰 의의를 둘 수 있다. 사전 교육이 단순히 교육실습일기 쓰기에 따른 실험결과의 내적 타당도를 저해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4시간의 사전 교육에 의해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면 이것은 대단한 교육의 힘이라고 볼 수 있어, 교육실습 전에 저널쓰기가 되었든, 아니면 교육실습일기 쓰기가 되었든 이러한 교육을 하고 교육실습생에게 교육실습일기를 쓰도록 한다면 보다 긍정적인 교육실습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단순한 교육실습일기 쓰기도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둘째, 교육실습일기 쓰기는 실용적 입장에서 현장에서 적용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어 최소한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해서 반성적 저널쓰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교육실습에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육실습 일지에 교육실습 일기 쓰는 란을 마련하거나, 교육실습생 자신이 쓴 일기를 지도교사가 보는 것에 대해 부담스러워 할 때는 교육실습 과목을 담당한 지도교수가 학교 강의와 연계지어 학생들에게 교육실습 과목의 과제로 부과하고 학점과 연계하는 방안도 신중히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실습이란?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인 교육실습생이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필수과정의 일부로서 부속 또는 협력 학교에서 교육이론을 교육현장에 실지로 적용 또는 실천함으로써 교사활동을 직접 체험하고 자신의 교직적성을 점검또는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실습의 목적은 교육이론의 현장 적용 또는 체험, 현장의 교육경험 체득, 교육에 필요한 조건과 기술의 습득, 교육관 확립, 교육문제의 이해 및 해결능력 습득, 교직적성 평가 등을 주요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적 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 된 임경심(2009)의 도구의 내용은 무엇인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적 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경심(2009)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내용은 아동관, 교육 목적 및 목표·내용·방법 등에 대한 신념을 측정하여 행동 주의, 성숙주의, 상호작용주의의 각 10개 항목으로 되어 있는 30문항 5단계 평정척이다. 행동주의는 인간의 성장 발달에 있어서 유전적인 영향보다는 환경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교육을 지식, 기능, 가치 그리고 사회 도덕적 규칙을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 전달하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교육 실습의 목적은 무엇인가?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인 교육실습생이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필수과정의 일부로서 부속 또는 협력 학교에서 교육이론을 교육현장에 실지로 적용 또는 실천함으로써 교사활동을 직접 체험하고 자신의 교직적성을 점검또는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실습의 목적은 교육이론의 현장 적용 또는 체험, 현장의 교육경험 체득, 교육에 필요한 조건과 기술의 습득, 교육관 확립, 교육문제의 이해 및 해결능력 습득, 교직적성 평가 등을 주요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교육실습은 교육실습생으로 하여금 교사로서 품성과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한국교사교육학회, 2001).
참고문헌 (30)
The Society of Korean Teacher Education ed.(2001). The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Practice. Seoul:KoYukKwaHakSa Co. 9-10.
Kim Byeong-Chan(2003).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entrance into teachers college and the process of their adapt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 57-83
Lee Jung-Mee, Kim Eun-Jung(2009). The Differences of Teaching Practices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6), 303-325.
Kim Jung-Eun, Jung Gyeong-Ok (2009). The Investigation on the Change of Teacher Efficacy of Student Special Education Teacher Through Teaching Practicum.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52(4), 367-384.
Choi Jin-Sook(2005). Comparison of Perceptions about Teaching Practices by Student Teachers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4), 113-123.
Lee Eun-Ha, Goh Eun-Kyoung(2008). An Analysis on the Image of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6), 145-177.
Park Eun-Hye(1999). Use of Journal Writing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6(2), 195-216.
Lee Saeng-Ju(2006), The Explorative Study on the Reflective Journal Writ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e Jin-Ok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Journal Writing Mentoring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Seok Eun-Jo(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Journal Writing on Reflective thinking, Self-regulated learning and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Yim Kyoung-Sim(2009). (An)Effects of Student-teaching in Kindergarten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Teache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n Kyung-Hwa, Hur Yun-Jeong, Han Nam-Joo(2006). The Investigation on the Change of Teacher Efficacy of Practice Student through Teaching Pract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0(4), 295-329.
Bae So-Youn(1993).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1(5), 153-171.
Yoon Ki-Young, Bae So-Youn, Cho Boo-Kyung(1994). A study on the nature of field experience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t four-year colleg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4(1), 173-197.
Bennie, W. A.(1972). In-service education of the supervising teacher-A changing emphasis. Notre Dame Journal of Education, 32(2), 167-170.
Edrman, I. I.(1984). Assessing the purposes of early field experienced program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4), 27-31.
Guyton. J. L.(1987). Working with student teachers; incentives, problems, and advantages. The Professional Educator, 10(1), 21-28.
Koster, B., Korthagan, F. A. J. & Wubbels, T. H.(1998). Is there anything left of us:Functions of cooperating teacher and teacher education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1(1), 75-89.
Choi Dong-Sun(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Teacher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im Hee-Jin Lee, Bun-Ryeo(1999).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6(1), 161-181.
Kim Sun-Nam(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Role Perfermanc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im Jong-Han ed.(2011). ET KimInSik Pedagogy (Vol. 2). Seoul:PakMunGak Co. 772.
Lee Hyun-Sook(2001). The candidates' recognition of the role and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Journal of Kyung Book, 5, 313-328.
Won Mi-Kyoung, Kang Seung-Hee(2007). The Effect of Journal Writing on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Fish, Marine, Science Education, 19(3), 429-440.
Sohn Ji-Hyun (2007).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n reflective journals. Journal of Art Education, 22, 155-172
Park Sung-Hee, Lee Ok-Im, Lee Hye-Kyoung, Eom Un-Na(2006).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Cooperating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Young Children's behavior Guida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53-74, 10(2)
Lim Jin-Hyung(2000). The Relations Among Kindergarten Beginning Teacher'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Occupational Stres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Hong Hye-Jung(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Health/Level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erceived by Pre-school Teachers and Their Sense Efficac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Hong Hye-Jung, Ahn Sun-Hee(2004). Relationships among Sense of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the Organizational Health, and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1(4), 255-273.
Kim Ong-Chul(2008). Study on Relation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Teacher Efficac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In Educational University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