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감각기능과 상지기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The Influence of Sensory and Upper limb func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Chronic Cerebrovascular Accid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2, 2011년, pp.5731 - 5740  

송원일 (삼성서울병원 작업치료실) ,  차태현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우희순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감각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서 추후 감각기능 재활의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후 6개월이 경과된 환자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138명이었으며, 우측편마비 환자가 45명(33%), 좌측편마비 환자가 93명(67%) 이었다. 만성뇌졸중 환자들의 감각기능, 운동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검사하여 수집한 값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우측편마비 환자에서 환측(우측)의 서화지각과 고유수용성 감각은 개인위생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 좌측편마비 환자군에서는 건측 상지의 기능은 여러 일상생활활동 수행영역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 좌 우측 편마비 환자군 모두에서 건측 상지의 운동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function and performances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ronic CVA patients. One-hundred and thirty-eight CVA patients, who experienced their CVA more than 6 months ago, were recruited. Their sensory, motor and cognitiv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지각 및 인지기능 그리고 상지의 운동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건측 상지의 감각기능에 대한 평가와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관계를 연구한 경우는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측의 감각기능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또한 상지기능이 미치는 영향과 비교 고찰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할 때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감각기능 및 상지기능간의 상관성과 감각 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감각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 방법은 재활의학과 작업치료 실에 의뢰된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감각기능,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측정하여 기록한 값을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감각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후 6개월이 경과된 자로 우측편마비 환자가 45명(33%), 좌측편마비 환자가 93명(67%) 이었다.
  • 각 영역은 과제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최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중등도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최소의 도움이나 감시가 필요한 경우, 완전히 독립적인 경우의 5단계로 평가되며, 각 영역의 중요도 별로 가산점이 부과 되는 검사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사하기, 옷 입기, 개인위생, 목욕하기, 용변처리의 다섯 가지 영역을 평가하여 기록하였다.
  • 또한 뇌졸중 운동기능 검사에서 견관절 굴곡 90° 이상이며, 쥐기와 펴기가 가능한 대상자들만을 선정함으로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대한 운동기능의 영향을 최대한 통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감각기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피부에 쓰여진 글씨나 숫자를 느껴 알아맞추는 능력이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서 대뇌 감각 피질 혹은 통합 감각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이다. 평가결과는 자극에 대하여 올바르게 반응하면 2점, 틀리게 반응하면 1점, 반응하지 못하면 0점으로 기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L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은 금전 관리, 가사 수행, 교통수단 이용, 시장 보기, 건강 유지 활동, 전화사용 등과 같이 지역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과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일상생활활동은 연령[6], 신체질환, 그리고 인지기능 장애[7]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정한영 등(1991)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였을 때 상지기능평가척도와의 상관계수가 바델지수(barthel index)의 초기 수치나 시지각능력, 또는 관절위치감각보다 높은 상관 계수(0.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CVA)이란?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CVA)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해당 뇌 부위에 따른 의식, 운동조절, 감각, 인지, 언어, 균형 등의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신경학적 손상이다[1]. 뇌졸중은 우리나라 성인의 주요 사망 원인 중하나로, 2007년에는 우리나라 총 사망자의 18.
일상생활활동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일상생활활동은 기본적 일상생활활동(basic ADL)과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DL)으로 구분된다.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가정이나 병원과 같은 제한된 장소에서 자신의 신체를 돌보는 기술과 행위로 정의되며, 옷차림, 식사, 대소변 가리기, 화장실 사용, 의자와 침대간 이동, 걷기, 계단 오르기, 목욕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활동들을 의미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Geneva, 1980. 

  2. Statisstics Korea, "Study on death and the cause of death in 2007", 1992. 

  3. Martins, T., Riberto, J. P., & Garrett, C., "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Evaluation nine months after discharge", Revista de Neurologia, Vol. 42, No. 11, pp. 655-659, 2006. 

  4. Park, K. J., & Lee, K. W., "Study on Activ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individual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 No. 1, pp. 27-33, 1997. 

  5. Kemp, B. J., & Mitchell, J. M., "Functional Assessment in Geriatric Mental Health. In : Handbook of Mental Health and Aging", 2nd Edition, San Diego: Academic Press, 1992. 

  6. Hunt, A., "Some aspects of the health of elderly people in England", Health Trends, Vol. 11, No. 1, pp. 21-23, 1979. 

  7. Ferm, L., "Behavioral activities in demented geriatric patients",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Vol. 16, No. 4, pp. 413-420, 1974. 

  8. Jane, E., Sullivan, & Lois D. Hedman., "Sensory Dysfunction Following Stroke: Incidence, Significance, Examination, and Intervention", The Stroke Rehabilitation, Vol. 15, No. 3, pp. 200-217, 2008. 

  9. Schabrun, S. M., & Hillier, S., "Evidence for the retraining of sensation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Rehabilitation, Vol, 23, No. 1, pp. 27-39, 2009. 

  10. Carey, L. M., "Somatosensory loss after stroke", Critical Reviews in Phys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Vol. 7, No. 1, pp. 51-91, 1995. 

  11.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Cox Steck, G. A., Spichiger, R., Vereeck, L. E., Putman, K. D., & Van Hoydonck, G. A.,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Vol. 29, No. 4, pp. 785-792, 1998. 

  12. Carey, L. M., Matyas, T. A., & Oke, L. E., " Sensory loss in stroke patients: effective training of tactile and proprioceptive discrimin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4, No 6, pp. 602-611, 1993. 

  13. Tyson, S., Hanley, M., Chillala, J., Selley, A. C., "Sensory loss in hospital-admitted people with stroke: characteristics, associated factors and relationship with function", Neurorehabil and Neural Repair, Vol. 8, No. 8, pp. 1-7, 2007. 

  14. Holmgren, H., Leijon, G., Boivie, J., Johansson I, & Ilievska, L., "Central post-stroke pain.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 relation to location of the lesion and sensory signs", Pain, Vol. 40, No. 1, pp. 43-52, 1990. 

  15. Winward, C. E., Haligan, P. W., & Wade, D. T., "Somatosensory recovery: longitudinal study of the first 6 months after unilateral 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29, No. 4, pp. 293-299, 2007. 

  16. Lundgren, J., Flodstrom, K., Sjogren K, Liljequist, B., Fugl-Meyer, A. R., " Site of brain lesion and functional capacity in rehabilitated hemiplegics",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14, No. 3, pp. 141-143, 1982. 

  17. Chester, C. S., & McLaren, C. E., "Somatosensory evoked response and recovery from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0, No. 7, pp. 520-525, 1989. 

  18. Kusoffsky, A., Wadell, I., & Nuksson, B. Y., "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impairment and motor recovery in patients with hemiplegia",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14, No. 1, pp. 27-32, 1982. 

  19. La Joie, W. J., Reddy, N. M., & Melvin, J. L., "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their predictive value in right hemipleg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63, No. 5, pp. 223-226, 1989. 

  20. van Buskirk, C., & Webster, D., "Prognostic value of sensory deficit in rehabilitation of hemiplegics", Neurology, Vol. 5, No. 6, pp. 407-411, 1955. 

  21. Tyson, S. F., Hanley, M., Chillala, J., Selley, A, & Tallis, R. C.,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ical Therapy, Vol. 86, No. 1, pp. 30-38, 2006. 

  22. Sorock, G. S., & Labiner, D. M., "Peripheral neuromuscular dysfunction and falls in an elderly cohort",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 136, No. 5, pp. 584-591, 1992. 

  23. Yates, J. S., Lai, S. M., Duncan, P. W., & Studenski, S., "Falls in community-dwelling stroke survivors: an accumulated impairments mode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39, No. 3, pp. 385-394, 2002. 

  24. Cheng, P. T., & Hong, C. Z., "Prediction of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in hemiplegic patients by electromyographic study", Stroke, Vol. 26, No. 12, pp. 2277-2280, 1995. 

  25. Daviet, J. C., Preux, P. M., Salle, J. Y., Lebreton, F., Munoz, M., dudognon, P., Pelissier, J., & Perrigot, M., "Clinical factors in the pro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after stroke: a prospective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1, No. 1, pp. 34-39, 2002. 

  26. Pertoldi, S., Di Benedetto, P., "Shoulder-hand syndrome after stroke. A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Vol. 41, No. 4, pp. 283-292, 2005. 

  27. Hartman-Maeir, A., Soroker, N., & Katz, N., "Anosognosia for hemiplegia in stroke 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Vol. 15, No. 3, pp. 213-222, 2001. 

  28. Levine, D. N., Calvanio, R., & Rinn, W. E., "The pathogenesis of anosognosia for hemiplegia", Neurology, Vol. 41, No. 11, 1770-1778, 1991. 

  29. Boomkamp-Koppen, H. G., Visser-Meily, J. M., Post, M. W., & Prevo, A. J. "Poststroke hand swelling and oedema: prevalence and relationship with impairment and disability",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9, No. 5, pp. 552-555, 2005. 

  30. Chang, J. J., Tsau, J. C., & Lin, Y. T., "Predictors of shoulder subluxation in stroke patients", The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Vol. 11, No. 5. 250-256, 1995. 

  31. McClatchie, G., "Survey of the rehabilitation outcomes of strokes",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Vol. 1, No. 13, pp. 649-651, 1980. 

  32. Shin, J. B., Joe, K. J., & Shin, J. S., "The ADL evaluation of the disabled",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tation Medicine, Vol. 11, No. 1, pp. 10-21, 1987. 

  33. Pedretti, L. W.,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in", St. Louis: Mosby, 2001. 

  34.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troduction for individuals with cerebral palsy", 1997. 

  35. Butefisch, C., Hummelsheim, H., Denzler, P., & Mauritz, K. H., "Repetitive training of isolated movements improves the outcome of motor rehabilitation of the centrally paretic hand",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Vol. 130, No. 1, pp. 59-68, 1995. 

  36. Dennis, A. Nowak., "The impact of stroke on the performance of grasping: Usefulness of kinetic and kinematic motion analysi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Vol. 32, No. 8, pp. 1439-1450, 2008. 

  37. Gresham, G. E., "Rehabilitation of the geriatric patient. Stroke rehabilitation, the rehabilitation team, and the usefulness of functional assessment", Primary Care, Vo. 9, No. 1, pp. 239-247, 1982. 

  38. Lee, T. Y., Oh, J. K., Kim, H. Y., Lee, K. S., & Kim, M. H., "The effects of the involved upper extremity's function on the dexterity of uninvolved hand in st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7, No. 1, pp. 56-67, 1999. 

  39. Jung, H. Y., Gwon, H. G., & Oh, J. H., "The study on the initial evaluation in the beginning of rehabilitation and the functional outcome in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tation Medicine, Vol. 15, No. 4, pp. 398-404, 1991. 

  40. Han, T. R., Kim, J. H., Lee, S. J., & Kim, S. B., "The significance of the hand function test in the hemiplegi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tation Medicine, Vol. 16, No. 4, pp. 423-430, 1992. 

  41. Pfeffer, R. I., Kurosaki, T. T., Harrah, C. H., Chance, J. M., & Filos, S., "Measurement of functional activities in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The Journal of Gerontology, Vol. 37, No. 3, pp. 323-329,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