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The Effect of Task oriented Imagination Training on the Function of Upper limb and Daily Activities of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0 no.10, 2015년, pp.1163 - 1174  

손영효 (첨단우암병원) ,  김승일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정화식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수희 (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정현애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3개월 이상 경과된 만성 뇌졸중환자 3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분배하였다. 실험군은 과제 지향적 훈련과 상상훈련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과제 지향적 훈련만을 실시하였고, 모든 중재는 8주간 주5회 회30분씩 시행되었다. 중재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상지 기능은 MFT, OPTIMAL을, 일상생활활동은 MB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보였으며(p<.001), 실험군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 the task-oriented imagination train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have on the function of upper limb and their daily activities(: ADL).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mposed of 30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over three months of ailment history, with ea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국내에서도 꾸준히 상상훈련을 통한 뇌졸중 환자의 기능 회복과 관련된 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에 관련된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과 기존 전통적 과제 지향적 훈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며, 아울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와 그로 인한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상상훈련과 함께 적용하여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과정에 있어서 상상훈련이 적용될 때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상상훈련은 신체의 움직임을 수행하지 않고 머릿속으로 그 움직임을 상상하고 해당 과제를 반복적으로 연습하여 운동기술을 습득하고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재 방법이며, 시각적 상상과 운동성 상상으로 나뉘게 된다[32].
  •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은 100점으로 환자의 일상생활수행 시 직접적인 관찰과 면접을 통해 의존의 정도를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일상생활에서의 독립적인 능력과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편측무시는 정답 수와 관계없이 오른쪽과 왼쪽에 답한 문항 수를 계산하여 대상자가 답한 문항이 한쪽으로 심한 불균형을 이루는지를 통해 편측무시를 판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상훈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편측무시 환자를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 MFT(: Manual Function Test)는 상지의 기능회복과정과 일상생활동작의 실제 활용 수준을 반영하고 있는 도구로써[25], 상지운동(4항목), 장악력(2항목), 손가락 조작(2항목)으로 구성되고 각 하위검사에서 가능한 경우 1점, 불가능한 경우 0점으로 처리되며, 총점은 32점이다. 연구에서는 상지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 정청희 등[35]의 연구에서는 운동성 상상이 실제로 운동을 할 때의 느낌을 얻을 수 있어 추천되어지지만, 본 연구에서는 운동장면 검사(VMIQ)를 통해 시각적 상상과 운동성 상상 중 대상자가 상상하기 편한 방법으로 시행하였으며, 상상훈련을 신체연습과 병행하여 상상훈련의 효과를 최대화 하고자 하였다. Dunsky 등 [36]의 연구에서 신경계 병변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의 적정 시간이 10분 이내가 좋다는 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상훈련을 5분으로 하여 연구 대상자가 효과적으로 주의집중을 잃지 않고 따라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대상자가 정확하게 상상을 하고 있는지 관찰이 어려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상상훈련동안 2회 이상 질문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실수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연구 대상자의 숫자가 적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만성 뇌졸중 환자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셋째, 대상자의 컨디션에 따라 신체적, 심리적 상태에 대한 요인은 변수로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상훈련그룹에서 더 많은 뇌 기능 향상이 관찰된 이유는? 이러한 결과는 Dijkerman 등[39]의 연구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상훈련을 실시하는 그룹과시각적 되먹임만 적용한 그룹, 아무런 중재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으로 분류하여 손 기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모든 그룹에서 손기능이 향상되었지만, 상상훈련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더 향상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과제들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기능적인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이끌어 낸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과제 수행에 앞서 상상훈련을 통해 과제에 대한 피드백이 과제의 특성을 분석하여 기능의 향상에 영향을 준다는 방대혁 등[20]의 연구가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 준다.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이란 뇌혈관의 이상으로 뇌 조직에 출혈이 발생하여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지배하는 뇌의 기능이 상실되는 뇌혈관 질환을 말한다[1]. 뇌졸중 환자의 증상은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운동 및 감각 장애, 인지장애, 정서장애,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2-3].
뇌졸중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뇌졸중이란 뇌혈관의 이상으로 뇌 조직에 출혈이 발생하여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지배하는 뇌의 기능이 상실되는 뇌혈관 질환을 말한다[1]. 뇌졸중 환자의 증상은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운동 및 감각 장애, 인지장애, 정서장애,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2-3]. Ryerson[4]은 뇌졸중 환자들의 대부분이 환측 하지는 보행을 통해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지지만, 환측 상지는 학습으로 인한 구축과 비사용, 비대칭적인 자세 패턴 등의 문제를 초래하며, 기능적 제한이 더 심해진다고 하여, 상지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재활치료학적 접근방법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 A. Sharp and B. J. Brouwer,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8, no. 11, 1997, pp. 1231-1236. 

  2. L. Mercier, T. Audet, R. Hebert, A. Rochette, and M. F. Dubois,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vol. 32, no. 11, 2001, pp. 2602-2608. 

  3. E. Seo, H. Beak, and J. Kim, "The effect of Direct Swallowing Treatment on the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Stroke Patien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vol. 8, no. 9, 2013, pp. 1413-1420. 

  4. S. D. Ryerson, Hemiplegia in D. A. Umphred(Ed) Neurological rehabilitation. 4th edition. St. Louis, MO: Mosby, 2001. 

  5. D. Corbetta, V. Sirtori, L. Moja, and R. Gatti,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J.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vol. 46, no. 4, 2010, pp. 537-544. 

  6. C. A. Trombly and M. V. Radomski,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 

  7. H. Ko, J. Park, K. Lee, E. Lee, and M. Oh, "The Effect of action-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based on mirror neuron system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vol. 9, no. 1, 2014, pp. 123-130. 

  8. J. Kim and M. Oh, "IT based EMG biofeedback training on the effect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vol. 9, no. 1, 2013, pp. 41-50. 

  9. G. Yavuzer, R. Selles, N. Sezer, S. Suutbeyaz, J. B. Bussmann, F. Kooseoglu, M. B. Atay, and H. J. Stam, "Mirror therapy improves hand function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9, no. 3, 2008, pp. 393-398. 

  10. J. H. Carr and R. B. Shepherd, In movement science foundations for physical therapy in rehabilitation. Austin: Pro-Ed, 2000. 

  11. J. Jung, Y. Jo, and S. Chae, "The Effect of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Extremity,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J. of Rehabilitation Resarch, vol. 15, no. 3, 2011, pp. 231-253. 

  12. C. Y. Wu, C. A. Trombly, and K. Lin, "A kinematic study of contextual effects on reaching per for mance in persons with and without stroke: Influence of object availability," A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1, no. 1, 2000, pp. 95-101. 

  13. J. H. Carr and R. B. Shepherd, Stroke Rehabilitation. Newton, MA: Butterworth-Helenemann, 2003. 

  14. T. Weiss, E. Hansen, and L. Beyer, "Activation process during mental practice in stroke patients," Int. J. of Psychophysiology, vol. 17, no. 1, 1994, pp. 91-100. 

  15. S. M. Kosslyn, C. Ganis, and W. C. Thompson, "Neural foundation of imagery," Natural Reviews Neuroscience, vol. 2, no. 9, 2001, pp. 635-642. 

  16. F. Filimon, J. D. Nelson, D. J. Hagler, and M. I. Sereno, "Human cortical representations for reaching: mirror neurons for execution, observation, and imagery," Neuroimage, vol. 37, no. 4, 2007, pp. 1315-1328. 

  17. C. A. Trombly and C. Y. Wu, "Effect of rehabilitation tasks on organization of movement after stroke," The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3, no. 4, 1999, pp. 333-344. 

  18. S. J. Page, P. Levine, S. A. Sisto, and M. V. Johnston, "Mental practice combined with physical practice for upper-limb motor deficit in subacute stroke," Physical Therapy, vol. 81, no. 8, 2001, pp. 1455-1462. 

  19. T. E. Hewett, K. R. Ford, P. Levine, and S. J. Page, "Reaching Kinematics to measure motor change after mental practice in strok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vol. 14, no. 4, 2007, pp. 23-29. 

  20. D. Bang, Y. So, and H. Cho, "Imagery training effects of Upper limb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ubracute Stroke Patients," The J.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8, 2013, pp. 235-242. 

  21. J. Hwang,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Function of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ged and Dementia, vol. 7, no. 1, 2013, pp. 46-56. 

  22. Y. Kwon and J. Park,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 Korean Neuropsychiaty Assoc, vol. 28, no. 1, 1989, pp. 125-135. 

  23. A. Issac and D. F. Marks, "Individual differences in mental imagery experience: Developmental changes and specialization," British J. of Psychology, vol. 85, no. 4, 1994, pp. 479-500. 

  24. M. J. Bouska and E. Kwatny, Manual for the application of th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o the adult population.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Rehabilitation Reserch and Training Center, 1983. 

  25. M. Kim, "A Study of Manual Functional Test for C.V.A," J.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 no. 1, 1994, pp. 19-26. 

  26. A. A. Guccione, T. J. Mielenz, R. F. DeVellis, M. S. Goldstein, J. K. Freburger, R. Pietrobon, S. C. Miller, L. F. Callahan, K. Harwood, and T. S. Carey,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self-report instrument to measure actions: outpatient physical therapy improvement in movement assessment log(OPTIMAL)," Physical therapy, vol. 85, no. 6, 2005, pp. 515-530. 

  27. F. I. Mahoney and D. Barthel,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 vol. 14, 1965, pp. 56-61. 

  28. J. H. Carr and R. B. Shepherd, Neurological Rehabilitation 2n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010. 

  29. J. Kim, Y. Kook, K. Kim, J. Kim, H. Park, M. Song, Y. Wu, M. Lee, and M. Jung, Neurological Rehabilitaion. 2nd Edtion. Seoul: Panmun Education. 2012 

  30. D. E. Krebs, D. M. Scarborough, and C. A. McGibbon, "Functional vs. strength training in disabled elderly outpatients," American J.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6, no. 2, 2007, pp. 93-103. 

  31. W. Shin, S. Lee, S. Lee, D. Lee, and C. Song, "The Effects of Task-Oriented Functional Training on a Muscle Strength, Balance and Gait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J. of Adapped Physical Activity, vol. 16, no. 3, 2008, pp. 149-165. 

  32. S. M. Braun, A. J. Beurkens, P. J. Borm, T. Schack, and D. T. Wade, "The effects of mental practic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7, no. 6, 2006, pp. 842-852. 

  33. A. Dunsky, R. Dickstein, E. Marcovitz, S. Levy, and J. Deutsch, "Home-based motor imagery training for gait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9, no. 8, 2008, pp. 1580-1588. 

  34. R. Van Leeuwen and T. J. Inglis, "Mental practice and imagery: a potential role in stroke rehabilitation," Physical therapy reviews, vol. 3, no. 1, 1998, pp. 47-52. 

  35. C. Jung, Y. Lee, H. Lee, and Y. Jung, Sports Psychology. Seoul: Medical Korea, 2009. 

  36. A. Dunsky, R. Dickstein, C. Ariav, J. Deutsch, and E. Marcovitz, "Motor imagery practice in gait rehabilitation of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four case studies," Int. J.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29, no. 4, 2006, pp. 351-356. 

  37. M. Lamirand and D. Rainey, "Mental imagery, relaxation, and accuracy of basketball foul sooting," Perceptual and Motor Skills, vol. 78, no, 3, 1994, pp. 1229-1259. 

  38. N. Maclean, P. Pound, C. Wolfe, and A. Rudd, "The concept of patient motiva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stroke professional' attitudes," Stroke, vol. 33, no. 1, 2002, pp. 444-452. 

  39. H. C. Dijkerman, M. Ietswaart, M. Johnston, and R. S. MacWalter, "Does motor images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troke patients? A Pli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8, no. 5, 2004, pp. 538-549. 

  40. B. Kim, "The Effects of Affer-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12. 

  41. Y. Choi, "The Effects of Mental Practice for Performing of Functional Activities to Unilateral Neglect and ADL in Person With Stroke," Korea Academia-Industial Cooperation Society, vol. 10, no. 12, 2009, pp. 3879-38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