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근무 중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과 정서적 반응 및 대처방안
Experience of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and Ways to Deal with Verbal Abuse against Nurses in Hospital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3, 2011년, pp.270 - 278  

조윤희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성남)) ,  홍유리 (중앙대학교병원) ,  이아미 (성남중앙병원) ,  김미경 (중앙대학교병원) ,  이혜진 (중앙대학교병원) ,  한애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성남)) ,  김은정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성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experience of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and ways to deal with verbal abuse against nurses in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and conducted from April to July 2011. One hundred and seventeen nurses with over one-year experienc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Cox, 1987; Hills, 2008; Sofield & Salmond, 2003).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의 실태를 확인하고 언어폭력 경험 후 간호사들의 정서적 반응 및 영향, 대처방안에 대해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의 유형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언어폭력의 경험을 확인하고, 언어폭력을 경험한 후의 정서적 반응과 그로 인한 영향, 그리고 폭력 후의 대처방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간호사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언어폭력을 사전에 예방하고 언어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를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경험 후의 정서적 반응 및 대처방안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언어폭력 경험 후의 정서적 반응 및 대처방안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반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의 유형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언어폭력의 경험을 확인하고, 언어폭력을 경험한 후의 정서적 반응과 그로 인한 영향, 그리고 폭력 후의 대처방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간호사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언어폭력을 예방하고 언어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를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 지역 200병상 이상 병원 중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1년 이상 경력을 가진 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1년 4월부터 7월까지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폭력이란 무엇인가? 폭력은 자신보다 낮은 지위의 사람에게 말이나 어투, 태도, 비언어적 암시 등을 통해서 자신이 가지는 위치에서 나오는 지배적 힘을 사용하는 행동을 의미하며(Diaz & McMillin, 1991), 언어적, 신체적 상해 등을 모두 포함할 뿐만 아니라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근로조건의 불이익이나 부당한 인사조치 등도 작업장의 폭력으로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Park et al., 2001).
병원이란 무엇인가? 병원은 다양한 직종이 모여 근무를 하는 곳으로 업무의 전문적 분화 작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관련 직종들의 적극적 협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이 환자나 보호자로 방문을 하는 곳이다. 간호사는 업무 특성상 병원 내 다른 어떤 직종들보다도 많은 사람을 대하고 의사소통할 일이 많은데, 따라서 간호사는 전 세계적으로 병원 내에서도 폭력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직업군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Kisa, 2008).
간호사들의 언어폭력 경험은 어떤 영향을 주는가? 언어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는 개인의 일상생활과 간호사로서의 업무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정적 감정을 느낀다(Diaz & McMillin, 1991). 실제로 본 연구에서 언어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들은 ‘우울하다’, ‘짜증이 난다’, ‘화가 난다’고 하였으며, 더불어 ‘사직하고 싶다’는 답변이 있었는데, Kisa(2008)와 Celik 등(2007) 역시 언어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는 화, 슬픔, 충격, 굴욕감, 무기력 등을 느낀다고 하여 많은 간호사들이 부정적 감정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부정적 감정은 실제 간호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Yang과 Jung(2009)은 폭력반응을 경험한 간호사의 부정적 반응 강도가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도 높아진다고 하였으며(r=.649, p<.001), Kisa(2008) 역시 언어폭력이 간호사의 감정을 소모시키고 사기를 저하시키며, 업무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간호사들은 언어폭력이 주는 영향으로 ‘직업 만족도의 감소’, ‘낮은 자아존중감’, ‘부정적 인간관계’, ‘업무생산성의 감소’ 등을 뽑았고, 이는 결국 폭력에 노출된 많은 간호사들이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지 못할 경우 자아존중감이 감소되거나 소진되어 간호사로서의 업무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더 나아가 직업 만족도를 낮추거나 업무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등의 결과로 인해 질적 간호를 제공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환자간호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Lee와 Chung(2007b) 역시 간호사간의 언어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에서 언어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는 큰 정신적 상처뿐 아니라 직무만족도와 의욕저하로 인해 높은 이직률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Cox(1987) 역시 간호사 이직의 16~18% 정도는 언어폭력으로 인한 결과라고 하였는데, 간호 관리자뿐만 아니라 병원은 간호사의 이직을 막기 위해서라도 사전에 언어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J. Y.(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in a specialized hospital for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 Braun, K., Christle, D., Walker, D., & Tiwanak, G.(1991). Verbal abuse of nurses and nurses and non-nurses. Nursing Management, 22(3), 72-76. 

  3. Celik, S. S., Celik, Y., Agırbas, I., & Ugurluoglu, O.(2007). Verbal and physical abuse against nurses in Turkey.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4(4), 359-366. 

  4. Choi, I. S., Bark, H. M., Lee, S. R., Noh, S. H., Cho, E. K., Park, S. J., et al.(2003). Violence in Korea: Diagnosis and prospects.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35, 31-828. 

  5. Cox, H. C.(1987). Verbal abuse in nursing: Report of a study. Nursing Management, 18(11), 47-50. 

  6. Diaz, A. L., & McMillin, J. D.(1991). A definition and description of nurse abus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3(1), 97-109. 

  7. Duldt, B. W.(1982). Helping nurses to cope with the angerdismay syndrome. Nursing Outlook, 30(3), 168-174. 

  8. Hader, R.(2008). Workplace violence survey 2008: Unsettling findings. Nursing Management, 39(7), 13-19. 

  9. Henderson, A. D.(2003). Nurses and workplace violence: nurses' experiences of verbal abuse at work. Nursing Leadership(Tor Ont), 16(4), 82-98. 

  10. Hills, D.(2008).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management training, perceived self-efficacy and rural general hospital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aggression. Contemporary Nurse, 31(1), 20-31. 

  11. Kim, H. S., Yim, H. W., Jeong, S. H., & Jo, S. J.(2009). An association among verbal abuse,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for special unit nurses in a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Medicine, 21( 4), 388-395. 

  12. Kim, S. Y., Eom, M. R., Oh, H. Y., & Ahn, H. Y. (2007). Violence episodes and responses of emergency room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4), 446-456. 

  13. Kisa, S.(2008). Turkish nurses' experiences of verbal abuse at work.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2(4), 200-207. 

  14. Ku, J. K.(2007). The effect of verbal abuses on casino dealer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15. Kwon, H. J., Kim, H. S., Choe, K. S., Lee, K. S., & Sung, Y. H.(2007).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113-124. 

  16. Lanza(1988). Assault response questionnaire.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9(1), 17-29. 

  17. Lee, S. H., & Chung, S. E.(2007a). Nurses's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in hospital set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4), 526-536. 

  18. Lee, S. H., & Chung, S. E.(2007b). The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between nurses. Qualitative Research, 8(1), 79-89. 

  19. Nam, K. D., Yoon, K. S., Chung, H. S., Park, S. A., Jang, B. Y., & Sung, Y. H.(2006). Verbal abuse of operating nurses by physicians and othe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3), 343-354. 

  20. Pai, H. C., & Lee, S.(2011). Risk factors for workplace violence in clinical registered nurses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9-10), 1405-1412. 

  21. Park, E. O., Kang, S. J., Lee, E. K., Ji, E. J., Kang, L. H., & Peak, C. H.(2001). Violenc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7(2), 187-202. 

  22. Park, M. A.(2003). The content analysis of verbal violence in the class -centered around boys' middle school at Pus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3. Pich, J., Hazelton, M., Sundin, D., & Kable, A.(2010). Patientrelated violence agains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Nursing & Health Science, 12(2), 268-274. 

  24. Ryan, J., & Poster, E.(1991). "When a Patient Hits You." Can Nurse, 87(8), 23-25. 

  25. Sofield, L., & Salmond, S. W.(2003). Workplace violence: A focus on verbal abuse and intent to leave the organization. Orthopaedic Nursing, 22(4), 274-283. 

  26. Son, H. J.(2010).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hospital nurses and consequent emotional reactions and job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7. Sung, M. H.(2008). Relationship of the experience of violence to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2), 83-92. 

  28. Yang, J. H., & Jung, H. Y.(2009).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coping, and burnout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103-111. 

  29. Yun, Y. K.(2010).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 assertiveness and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